7월1일 범어사 보제루서 영결식 후 다비
평생 후학 양성과 역경 저술에 매진

경장을 손에 놓지 않고 공부에 다함이 없음을 몸소 보여 준 전 범어사 강주 정혜당 지오(至晤 定慧堂)스님의 영결식과 다비식이 엄수됐다.
정혜당 지오 대강백 범어문도장 장의위원회는 7월1일 범어사에서 ‘정혜당 지오 대강백 범어문도장 영결식 및 다비식’을 봉행했다.
보제루에서 엄수된 영결식에는 금정총림 범어사 지유대종사, 원로의원 정여대종사, 범어사 주지 보운스님, 중앙종회의원 무관스님, 석산스님, 금하광덕문도회 문장 지정스님을 비롯한 문도회 스님, 조원호 불광법회장 등 사부대중 2000여명이 동참해 지오 대강백 각령이 속환사바해 중생을 제도해 줄 것을 서원했다.
영결식은 명종 5타, 삼귀의례, 지오스님을 청해 모시는 영결법요에 이어 동명사 회주 지명스님의 행장소개, 추도 입정, 지유대종사 법어, 금하광덕문도회 문장 지정스님의 영결사, 범어사 주지 보운스님의 추도사, 조원호 전 불광사 불광법회장의 조사, 헌화, 상좌대표 인사말 순으로 진행됐다.
금하광덕문도회 문장 지정스님은 영결사에서 “스님의 지혜롭고 자상한 모습이 우리 문도들에게는 교훈이 되었으며 스님의 열정적이로 해박한 경전 법문은 수많은 신도님들에게 감동을 주셨는데, 오늘 이렇게 홀연히 떠나시니 저희들의 허전한 마음을 어떻게 위로하겠습니까”며 “당신 뜻을 이어 갈 후학들을 믿으시고 온갖 업무 훌훌 털어 버리시고 어차피 가시려고 나서셨으니 편안한 극락에 가셔서 잠시 휴식하셨다가 다시 오셔서 이 어지러운 사바세계를 불광정토로 만들어 주십시오”라고 말했다.
범어사 주지 보운스님은 “언제나 경장을 손에서 놓지 않으시고 공부에는 다함이 없음을 몸소 보여주셨던 대강백 정혜당 지오 큰스님이 원적에 드신 오늘 우리는 적멸로 떠나시는 스승의 장삼자락을 그저 바라만 보고 있습니다”라며 “지오 큰스님, 범어사 강당에는 여전히 스님의 음성이 남아있습니다. 책상에는 스님의 온기가 남아있습니다. 스님과 함께한 옛일이 오늘처럼 생생한데, 어찌 이 모든 것을 두고 세연을 다하셨습니까, 너무나 이른 작별입니다. 서둘러 떠나신 만큼 속환사바하시어, 대기대용의 설법을 토해 주시길 청합니다”고 추도했다.
상좌대표 용인 관음사 주지 대혜스님은 “스님께서는 몸이 많이 편찮으셔서 병원에 계실 때에도 상좌들이 문병이라도 가려고 하면 병원에 올 시간에 공부하라며 병원에 오지도 못하게 하셨다”며 “은사 스님께서 걸어오셨던 수행과 중생제도의 길을 이제부터는 저희 상좌들이 스스로 가야할 것이며, 항상 스님께서 저희 상좌들에게 하신 말씀 간직하며 공부 열심히 하고 스님께서 보여주신 여법한 수행자의 모습을 조금이라도 닮아가고자 노력하겠다”고 인사말을 했다.
지오스님은 1947년 음력 10월7일 경남 밀양에서 태어났다. 1970년 범어사 금강계단에서 광덕스님을 계사로 사미계를 수지하고, 1972년 범어사에서 석암스님을 계사로 비구계를 수지했다. 1973년 범어사 승가대학 대교과를 졸업하고 1975년 동국대 부설 동국역경원 역경사를 수료했다. 1976년부터 40여 년간 해인사, 범어사, 송광사, 통도사, 대만 묘종사, 중국 안휘성 감로사, 기원선사, 중국 양주 고민선사 등 제방 선원에서 35안거를 성만했다. 범어사 제97회, 98회 보살계 수계법회 유나, 해인사 승가대학 학장, 범어사 승가율원 율원장, 범어사 승가대학 학장, 학교법인 금정학원 이사 등을 역임했다. 스님은 6월27일 오후1시32분 범어사 서지전에서 원적에 들었다. 세수 77세, 법랍 54세.
저서로는 ‘사성체경’, ‘팔성도경’, ‘치선병비요경’, ‘불자독송집’, ‘초전법륜의 근본이념에서 본 교육적 의의(논문)’, ‘관음전예문’, ‘팔양신주경’, ‘보살계수계산림계본’, ‘약사경’, ‘초발심자경문’, ‘불교교리(구사 유식 5위 75과 100법)’, ‘반야심경사기’, ‘좌선하는 법(5문선경요용법)’, ‘참선의 요의(선요)’, ‘부파 및 종단불교’, ‘지장경’, ‘사미율의 1~3책’, ‘사미니율의 1~3책’, ‘범망경’, ‘보살계본경(보살계본1권(담무참역), 불설대승계경, 불설팔종장양공덕경, 보살수재경, 재가보살계, 보살계본(현장역), 보살선계경1권, 보살5법참회문, 보살계 갈마문, 불설재경, 불설8관재경)’, ‘화엄경 1~12책’, ‘부처님 법 우리가 지키고 보호하리(불설법멸진경)’, ‘금강경 5가해(범본 · 육가한역) 1~5책’, ‘서장 1~5책’ 등이 있다.
지오스님은 “신수피염의(身雖披染衣)하나 심의비정색(心衣非定色)이라. 아금탈양의(我今脫兩衣)하니 불공수자나(佛恐羞自裸)이라. 몸은 비록 염의(染衣)를 걸쳤으나, 마음의 옷은 정해진 색이 없어라. 내가 지금 두 옷을 다 벗어 버리니, 부처가 나신(裸身)이 부끄러워 도망가네“라는 임종게를 남겼다.
정혜당 지오 대강백 초재는 7월3일, 2재 10일, 3재 17일, 4재 24일, 5재 31일, 6재 8월7일 용인 관음사에서, 막재는 서울 불광사에서 봉행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