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2568(2024). 7. 13.(토) 토요법회/백중 2재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24.07.13 조회2,200회 댓글0건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현주스님(조계종 교육아사리, 전남대 학술연구교수)사찰에서 제사를 지내는 의미
고대 인도인은 죽은 자를 두 부류로 인식하였는데 하나는 이곳저곳을 방황하는 혼령인 쁘레따(preta), 즉 아귀였으며, 다른 하나는 음계에 거주하는 삐뜨르(pitṛ), 즉 조령(祖靈)이었다.
브라만교에서 지내던 조령제는 불교에도 수용되었는데 그 성격이 달라졌다. 초기불교에서 구제되어야 하는 조상인 쁘레따는 브라만교와 마찬가지로 마르고, 굶주리고, 헐벗고 있는 귀신인 아귀로 인식되었다. 하지만 부처님께서는 아귀고에 고통받는 조상들은 전통적인 희생제의가 아니라 삼보에 대한 보시의 공덕을 통해 구제할 수 있다고 말씀하셨다.
중국의 불교식 사자의례(死者儀禮)는 위진남북조 시기 우란분재를 효시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우란분재는 중국의 효 사상과 조응해 가장 먼저 성립한 중국불교의 추선공양(追善供養) 의례였지만, 자자일인 7월 15일에만 설행할 수 있는 시기적 한계가 있었다.
당말 성행한 시아귀회는 『염구경』을 토대로 시기에 상관없이 의례를 설행할 수 있었고, 구제 대상도 윤회에 헤매는 중생들로 확장되었다. 하지만 이들 중생은 모두 전생의 부모와 친척이라는 인식에서 비롯되었기 때문에 시아귀회는 조상에 대한 추선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이에 반해 송대 성립한 수륙재는 추선이나 기양(祈禳)의 목적에 따라 아무 때나 설행할 수 있었고, 시식(施食) 대상 또한 육도중생은 물론 불보살과 나한 등의 성인까지 포함해 법계(法界)의 성범(聖凡)에게 공양을 올려 공덕을 쌓는다는 점이 특징이었다.
중국에서는 이미 한대부터 음양론에 근거를 두고 전쟁이나 기근, 전염병 등으로 편안하지 못한 죽음을 맞이한 귀신들이 대량으로 발생하면 이들이 횡액을 일으킨다고 믿었다. 그리고 이러한 귀신들을 위령하기 위한 의례는 도교, 유교, 불교에서 각각 만들어졌는데 수륙재는 불교에서 성립된 대표적인 고혼 위령하기 위한 의례이다. 위령 대상이 되는 귀신은 각 종교에 따라 여러 가지로 표현되는데 불교에서는 아귀 혹은 고혼(孤魂)이란 표현을 주로 쓰며, 유교에서는 제사를 받지 못하는 무사귀신(無祀鬼神) 혹은 해악을 끼치는 악귀란 의미로 여귀(厲鬼)란 표현을 쓴다.
이러한 수륙재 의례를 바탕으로 한국불교의 제사의례인 관음시식이 구성되었다. 즉, 불교의 제사란 조상만을 천도하는 목적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성인과 범부에게 공양을 올리고, 특히 아귀로 대표되는 불쌍한 귀신들도 함께 구제하여 그 공덕을 조상에게 회향하여 조상을 천도시키는 것이다.
금주의 다짐
따뜻한 자비심은 보살을 나타내고, 근심 걱정 할 때에는 용모를 어둡게 만들어 간다. 용모가 어두울 때, 어두운 운명이 오는 법이다. 마땅히 모든 근심 걱정 털어버리고 밝은 행복을 생각할 것이다. 평화롭고, 만족스런 표정, 희망에 넘치는 미소는 그 사람에게 영원한 젊음과 아름다움을 나타낸다.법회 소식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금강경 독송: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 / 358일차, 금강경 <하>편 독송
·보현행자의 서원: 제9 수학분 / 『불광법요집』 큰책 121쪽, 작은책 191쪽
7월 셋째주 토요법회/백중3재
·일시: 7월 20일(토)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 4층)
·법문: 법인스님(전 조계종 교육부장)
학업성취 100일기도 안내
·입재: 8월 6일(화) ~ 회향: 11월 13일(수)
·기도시간: 미시(오후 2시 ~ 3시) 단독 기도 / 대웅전(5층)
·동참금: 10만원
연꽃어린이법회 여름캠프
·일시: 7월 20일(토) 오전 10시 30분 ~ 오후 5시
·식순: 불광사(법회, 점심공양) → 동국대 정각원(예불, 놀이) → 남산 산책 → 불광사(저녁공양 및 회향)
·동참금: 무료
·문의: 종무소 02-413-6060 / 간사선생님 010-3885-9518
백중기도 기간 中 사시기도 안내
·월요일~토요일: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 4층)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대웅전(5층)
·의식: 천수경→상단불공(지장정근)→축원→백중기도 발원문→반야심경→금강경→아미타불 정근(21독)
백중 49일기도 접수
·입재: 6월 29일(토) ~ 회향: 8월 17일(토)
·동참금: 5만원(영가4위), 영가 추가 시 1위당 1만원
백중 승보공양 안내
·부처님 법을 지키고 널리 전하는 승가에 대한 공양은 무량한 공덕이 있습니다.
백중설판
·초재 ~ 7재 제사 설판을 받습니다.
·백중을 맞아 조상님의 공덕과 삼보님의 공덕을 기리며, 불보살님께 설판 공양을 올리고 그 위신력을 빌어 중생이 지은 악업의 무거움을 구제하고 가정이 평안하시고 소원성취 이루시기를 기원드립니다.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불사 모연 안내
·비로자나부처님 전 야외 촛대함과 석조 공양대 조성 불사 모연을 받습니다.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계층법회 후원 안내 금강청년법회, 연꽃어린이법회에서 후원을 받습니다. 후원금은 불교의 미래를 밝히는 계층법회 활성화를 위한 법회 운영지원금으로 사용됩니다.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 봉사자 모집 안내 ]
<공양봉사팀> 대중공양(토요법회/각 재일법회/평일 점심공양), 공양간 미화
<바라밀공방팀> 연등만들기, 행사지원 / <종무지원팀> 기도접수, 종무행정
<법당안내팀> 법회 동참자 안내 / <청향회> 다도,헌다,육법공양
<보문부> 영가시식준비, 안내 / <파라미타합창단> 음성공양
<불광안내팀> 불광사 사중 안내 / <호법팀> 법회 질서유지
<새신도안내팀> 새신도 안내, 지원 / <교육봉사팀> 교육 업무지원
<미타공양팀> 재시식 의전 / <꽃공양팀> 법당 꽃 장엄
·접수 및 문의: 종무소 02-413-6060 (종무소에 비치된 신청서 작성)
불광사 유튜브채널 <대한불교조계종 불광사>
·www.youtube.com/@bulkwangsa1974 (유튜브에서 ‘불광사’ 검색)
·법회·기도 라이브 방송, 법문·교육 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꽃비
<꽃비>불기2568(2024)년 7월 5일(금) ~ 7월 11일(목)
[1080일기도] 216,000 윤성준 | 108,000 김상수 김재연 조예솔 청목스님 | 72,000 김리암 | 30,000 안갑숙 이만규 이승우 이은숙 이현석 홍대용
[법보시] 50,000 송지윤
[백중설판] 500,000 지세웅 | 100,000 권희정 박준석 박현수 안병애 최남숙 | 50,000 가정희 박세제
[백중승보공양] 100,000 백승화 | 50,000 김광연 최남숙 한순복
[감사헌공금] 200,000 강정기 | 100,000 포개농산
[금강청년법회후원금] 400,000 이명숙
[현물보시] 생수(백중2재) 우리친환경 | 두리안(5박스) 오경택
불사 봉납 2024년 총액 62,777,000 (7/5 ~ 7/11 합계 3,722,000)
[만불봉안] 1,080,000 원용재 원유민 이재흥 | 108,000 김광연 김광연 류경아 청목스님 | 30,000 | 류혜경 20,000 김성림
불광장학회 2024년 총액 2,230,000 (7/5 ~ 7/11 합계 145,000)
30,000 서양옥 | 20,000 이광세 | 10,000 고명순 권혁준 김태균 김희정 문건호 문명옥 백성례 | 5,000 고진희 김신자 이현숙 전은영 최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