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2568(2024). 10. 5.(토) 토요·포살법회 > 법회보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불기2568(2024). 10. 5.(토) 토요·포살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24.10.05 조회1,895회 댓글0건

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동명스님(불광사 주지)

기도의 여섯 가지 요소 - 발원문 쓰는 법
귀의(믿음)는 기도의 출발이다
불자들이 귀의해야 할 대상은 부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과 승가입니다. 그런데 요즘 불자들 중에서는 부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에는 귀의하지만, 승가에는 귀의하지 않겠다고 말하는 분이 계십니다. 승가에 귀의하지 않으면 부처님과 부처님의 가르침에도 귀의하지 않는 것임을 우리는 명심해야 합니다. 부처님도 승가의 일원이시고, 부처님의 가르침 중에서 특히 중요한 것이 승가에 귀의하라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지극한 마음(믿음)으로 불보살님께 귀의한다면, 기도는 이미 반은 성취된 것입니다.

감사는 기도의 기본이다
어떤 일을 하든 기본이 갖추어져야 수월합니다. 구구단을 모르면 인수분해를 할 수 없는 것입니다. 감사하는 마음은 기초실력과 같습니다. 나를 여기에 있게 한 부모를 비롯하여 조상님들께 감사하고, 내 인생에 도움되는 인연들에게 감사하며, 무엇보다도 우리의 기도를 들어주실 불보살님께 감사해야 합니다. 또한 나와 함께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 우주 삼라만상에 감사해야 합니다. 우리는 모두 서로 연결되어 있어서, 서로가 긍정적인 에너지로 작용할 때 기도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집니다.

찬탄으로 구업을 맑히고 시작합시다
천수경의 시작은 정구업진언으로 “수리 수리 마하수리 수수리 사바하”입니다. 구업을 맑히는 진언이 “좋구나, 좋구나, 크게 좋구나, 좋고 좋구나, 사바하”라는 찬탄 그 자체입니다. 기도할 때는 몸과 말과 마음이 모두 청정해야 합니다. 몸은 목욕으로 맑히고, 말은 찬탄으로 맑힙니다. 찬탄이야말로 말로 지은 업을 청정히 하는 방편임을 정구업진언은 잘 말해주고 있습니다. 불보살님의 덕성을 찬탄함으로써 구업을 맑히고 기도에 임하겠습니다.

참회는 마음의 청소이다
마음은 무엇으로 맑혀야 할까요? 바로 참회입니다. 청소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구를 훌륭하게 배치할 수 없듯이, 참회 없이 내 마음(삶)에 새로운 가구를 들일 수 없습니다.

발원(서원)은 기도의 ‘앙꼬’이다
기도의 핵심은 당연히 발원에 있습니다. 발원은 곧 목표의식입니다. 목표한 바가 분명하지 않고는 그 성취도 없습니다. 발원과 더불어 서원을 함께하는 것이 좋습니다. 발원의 중심은 내가 바라는 바이지만, 서원의 중심은 내가 실천하겠다는 다짐입니다. 발원이 곧 기도의 목적이므로, 발원이야말로 기도의 절정이자 핵심이라고 하겠습니다.

회향은 기도의 완성이다
회향은 내가 지은 공덕을 널리 중생을 위해 베풀겠다는 마음입니다. 본인의 소원을 위해 기도했다고 해도, 그 성과를 불보살님의 바람대로 만생명을 위해 바치겠다는 마음일 때 그 기도는 완성됩니다.

한 관아의 은혜의 물결 세속에 미치니/ 천마봉 아래 노승은 한가롭기만 하여라/ 경전을 읽는 것 외에 다른 일 없으니/ 기도하고 향 살라놓고 홀로 사립문 닫아거네
(一府恩波沾四俗 天磨峰下老僧閑 金文看讀無餘事 祝壽焚香獨掩關)
- 허백명조(虛白明照, 1593~1661), 「개성유수를 받들다(奉開城留守)」

금주의 다짐

두려워 말고 흔들리지 말고 앞으로 나아가자. 희망과 용기와 자신을 더하고 성공을 꿈꾸자. 영겁의 생명, 진리의 태양은 지금 우리의 가슴을 뛰고 시시각각 우리의 결단을 기다리고 있다. 원래로 보름달과 같이 원만한 우리 마음인데, 이를 가로막는 것은 감정의 구름덩어리다. 원래로 행복한 우리 인생인데, 불행하게 만든 것은 번뇌 망상이다.

법회 소식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
·금강경 독송: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 / 442일차, 금강경 <하>편 독송
·보현행자의 서원: 제9 수학분 / 『불광법요집』 큰책 121쪽, 작은책 191쪽
※부촉: 공양봉사팀, 새신도안내팀, 연꽃어린이법회, 재봉사팀
※새법우환영법회: 법회를 마친 후, 큰스님기념관(지하 2층)
※거리전법: 새법우환영법회 후, 석촌역 주변

천팔십일기도 4차 108일 회향 기념 특별순례기도 및 학업성취성지순례
·일시: 10월 6일(일) 오전 7시 출발
·장소: 보은 속리산 법주사
※준비물: 불광법요집(작은책), 얇은 겉옷, 우산(우천시)

불광 창립 50주년 기념법회
·일시: 10월 12일(토)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장산스님(대각회 이사장)

10월 셋째주 토요법회
·일시: 10월 19일(토)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선업스님(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장)

불광 창립 50주년 기념 제2차 학술대회
- 새로운 시대의 전법교화의 방향 -
·일시: 10월 19일(토) 오후 2시, 보광당(지하4층)
·후원 안내: 학술대회 및 불광 창립 50주년 행사가 원만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후원해주시기 바랍니다.
·후원 문의: 종무소 및 접수처 02-413-6060

만불전 원불봉안 접수
·만불전 원불봉안 접수를 받사오니 많은 관심 바랍니다.
·동참금 : 108만원
·접수 및 문의 : 접수처 02-413-6060

학업성취 백일기도 안내
·입재: 8/6(화) ~ 회향: 11/13(수)
·미시기도: 오후 2시 ~ 3시, 대웅전(5층)
·동참금: 10만원
※대중법회시 미시기도를 생략하고, 법회 중 축원해드립니다.

[ 봉사자 모집 안내 ]
<공양봉사팀> 대중공양, 공양간 미화 / <새신도안내팀> 새신도 안내, 지원
<교육봉사팀> 교육 업무지원 / <재봉사팀> 재시식 의전
<꽃공양팀> 법당 꽃 장엄 / <종무지원팀> 기도접수, 종무행정
<도서실봉사팀> 도서 대여, 장서관리 / <청향회> 다도,헌다,육법공양
<바라밀공방팀> 연등만들기, 행사지원 / <파라미타합창단> 음성공양
<법당안내팀> 법회 동참자 안내 / <호법팀> 법회 질서유지
<보문부> 영가시식준비, 안내 / <연꽃어린이법회> 어린이법회 진행 보조
<불광안내팀> 불광사 사중 안내
·접수 및 문의: 종무소 02-413-6060 (종무소에 비치된 신청서 작성)

계층법회 후원 안내
·금강청년법회, 연꽃어린이법회에서 후원을 받습니다. 후원금은 불교의 미래를 밝히는 계층법회 활성화를 위한 법회 운영지원금으로 사용됩니다.
·접수: 접수처 02-413-6060

불광사 유튜브채널 <대한불교조계종 불광사>
·www.youtube.com/@bulkwangsa1974
·스마트폰 카메라로 오른쪽 QR코드를 스캔하세요!!불광사 홈페이지 및 SNS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왕생극락을 기원합니다
·9월 26일 권오성 거사님의 부친
·9월 27일 이병기 거사님의 모친
·10월 2일 박수일 거사님의 모친

꽃비

<꽃비>
불기2568(2024)년 9월 27일(금) ~ 10월 3일(목)
[1080일기도] 216,000 권인석 나현주 | 108,000 강미례 권오선 김영순 김주홍 박근태 박기태 박선희 박인선 박정민 서민식 우리친환경 이만우 정재준 최운주 최형근 | 100,000 윤장호 | 50,000 강정기 | 30,000 김유미 안갑숙 홍대용
[창립법회헌공금] 5,000,000 배선희 | 400,000 화엄1신행회 | 300,000 종무지원팀 |200,000 바라밀1신행회(대중공양) 박종분 윤정로 | 50,000 김동학 김민선 김수정 김훈배 |30,000 김금희
[성지순례설판] 25,000 김민선 김홍연
[떡공양헌공금] 60,000 유지만
[감사헌공금] 100,000 이성민 포개농산
[금강청년법회후원금] 400,000 이명숙
[연꽃어린이법회후원금] 50,000 김민규 김민선

불사 봉납 2024년 총액 71,353,000 (9/27 ~ 10/3 합계 860,000)
[만불봉안] 300,000 최부규 | 100,000 김대순 | 90,000 박성준 박지호 박지환 | 60,000 천희영 | 40,000 이을선 | 30,000 김민규 김민선 김소율

불광장학회 2024년 총액 3,225,000 (9/27 ~ 10/3 합계 75,000)
30,000 서양옥 | 20,000 이광세 | 10,000 백성례 | 5,000 권혁재 이현숙 최운주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