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2568(2024). 10. 26.(토) 토요법회/관음재일법회 > 법회보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불기2568(2024). 10. 26.(토) 토요법회/관음재일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24.10.26 조회1,825회 댓글0건

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일화스님(불광사 교무)

칭명염불로 무량수·무량광의 세계로
염(念)이란 ‘마음속으로 생각하고 기억하여 잊어버리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염불은 부처님의 지혜 덕성을 생각해 잊지 않는 것이고 칭명은 부처님 명호를 소리 내어 부르는 것이다. 염불과 칭명은 다른데 선도화상이 둘을 동일하게 실천했다.
‘생각이 바뀌면 행동이 바뀌고 행동이 바뀌면 운명이 바뀐다.’는 말이 있다. 한 생각에 우리의 운명이 바뀌고 행복과 불행, 성공과 실패로 뒤바뀐다.
불교를 얼마나 깊이 배우는가 하는 것은 죽음이 두렵지 않을 정도로 공부를 해야 그게 공부라고 할 수 있지. 그냥 본 것 가지고, 들은 것 가지고, 생각되는 것 가지고는 안된다.
그러니까 임종 시에 아미타불 열 번 부르면 극락세계에 간다. 임종 시에 열 번 부를 정도 되면 생사를 대적할 힘이 있는 것이다. → 평소에 얼마나 닦아야 되는가.
그런데 아미타불은 무량수, 무량광인데 시식할 때 보면 불신장광(佛身長廣) 상호무변(相好無邊) 금색광명(金色光明) 변조법계(遍照法界) - 서방정토 극락세계 부처님 몸 길고 크며 상호 또한 끝이 없어 금색광명은 온 법계를 비추시고 48대원으로 중생들을 해탈시켜 부처님의 몸이 길고 넓어 안 계신 데가 없다. 이런 것을 실제로 믿는다면 아미타불이 계시지 않는 곳은 한 군데도 없는 것이다. 근데 우리는 무량수, 무량광을 전혀 느끼지 못하고 병날까 걱정하고, 죽을까 걱정하고, 이게 일상생활이다. 이런 것이 우리의 모습인데 여기서 참다운 길을 찾아야 한다. (법문을 통해서, 수행을 통해서, 기도를 통해서)
극락이라고 하는 것은 아미타불이 48대원을 세워서 만들어진 세계, 부처님의 공덕으로 만들어놓은 세계다. 부처님의 오묘한 세계이기 때문에 서쪽으로 얼마나 가야 극락세계가 있느냐? 중생이 여기다, 저기다 이렇게 판단할 건 아니고 그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결정심으로, 일심으로, 염불을 자주하면 극락에 가는 데 내 힘으로 가는 것이 아니라 부처님의 가피로 가는 거다.
무량수(無量壽)는 수명이 한량이 없고, 무량광(無量光)은 광명이 한량이 없다. 따라서 무량수는 아예 죽음이 없고, 부처님이 깨달은 세계는 중생이 죽음이 없는 세계를 깨달은 것이다. 무량광은 어둠이 없어 안 비추는 곳이 없다는 것이다. ‘나무아미타불’ 한번 염송하는 것도 무량한 생명, 무량한 빛의 세계를 찬탄한 공덕으로, 부처님의 세계로 인도하는 것이다.
칭명염불은 절대적으로 타력을 세우는 것이다. 염불하는 사람은 염불할 때 자신을 보아서는 안 된다. 부처님만을 바라보아야 한다. 자기에게 어느 만큼의 힘이 있길래 부처의 힘을 의심하는 것일까. 전적으로 부처의 힘을 우러른다면 칭명염불에 무슨 의심이 일어나겠는가?
우리는 우리 자신의 힘으로 아미타불의 빛을 막아서는 안 된다. 칭명은 어디까지나 순전히 타력이어야 한다. 칭명이란 우리 자신을 버리고 부처님께 모든 것을 맡기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나무아미타불'이라는 한마디다.
칭명이 이행(易行)이라고 하는 의미는 행하기 쉽다는 뜻에서 이행이라고 말하는 것이 아니다. 이행은 타력으로 지탱되기 때문에 이행인 것이다.
부처님께 삶을 송두리째 맡기고 염불하는 순간은 자아의 죽음이요, 이때 믿음이 깊으면 안심을 얻는다. 이렇게 염불하는 순간은 곧 해탈이다. 그런데 육신의 임종 시 즉득왕생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살아서도 즉득왕생이다. 무량광명에 대한 믿음이 성취되어 염불하면 그 순간 즉득왕생인 것이다.

금주의 다짐

생명은 밝은 데서 성장한다. 인간은 밝은 사상에서 발전이 있다. 우리의 본면목이 원래로 밝은 생명이기에. 어둠을 찢고 솟아오르는 찬란한 아침 해를 보라. 거침없는 시원스러움이, 넘쳐나는 활기가, 모두를 밝히고, 키우고, 따뜻이 감싸주는 너그러움이 거기 있다. 이 한 해를 결코 성내지 않고, 우울하지 않고, 머뭇대지 않고, 밝게 웃으며, 희망을 향하여 억척스럽게 내어닫는 슬기로운 삶일으로 만들자. 빛을 향하는 곳에 행운이 있다. 성공이 온다.

법회 소식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
·금강경 독송: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 / 463일차, 금강경 <상>편 독송
·보현행자의 서원: 제11 회향분 / 『불광법요집』 큰책 126쪽, 작은책 200쪽
·신행회의 및 봉사팀장 간담회: 오후 1시 30분, 3층 회의실

음력10월 초하루법회
·일시: 11월 1일(금)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총무 구담스님

11월 첫째주 토요·포살법회
·일시: 11월 2일(토)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주지 동명스님
·주요식순: 사시기도, 신중단퇴공, 포살, 법문, 부촉
※ 법회를 마친 후 <새법우환영법회>와 <거리전법>을 진행합니다.

제79기 기본교육 해인사 수련회
·일시: 11월 2일(토) 오후 9시, 불광교육원 2층 <보현당>에서 집결
·일정: 오후 10시 출발 ~ 3일(일) 오후 5시 도착예정(무박 2일)
·동참금: 8만원
·접수: 불광교육원 02-417-2551, 접수처 02-413-6060

학업성취 백일기도 회향법회
·일시: 11월 13일(수)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총무 구담스님

수능시험일 발원기도
·일시: 11월 14일(목), 보광당(지하4층)
※수능시험 시간에 맞춰 사중스님과 함께 기도드립니다.

동안거바라밀기도
·입재: 11/15(금) ~ 회향: 2/12(수)
·기도동참금: 5만원
※접수: 접수처 02-413-6060

동지 3일기도
·입재: 12/19(목) ~ 회향: 12/21(토)
·기도동참금: 3만원
※접수: 접수처 02-413-6060

만불전 원불봉안 접수
·만불전 원불봉안 접수를 받사오니 많은 관심 바랍니다.
·동참금 : 108만원
·접수 및 문의 : 접수처 02-413-6060

헌공금 봉투 제작 설판
·<헌공금 봉투> 제작 설판 보시를 받습니다.
·접수: 접수처 02-413-6060

일요다라니기도 안내
·매주 일요일 사시에 신묘장구대다라니 독송 기도를 봉행합니다.
·입재: 10월 27일(일) 오전 10시, 대웅전(5층)
·식순: 천수경(다라니 독송)▶상단불공(바라밀정근)▶축원▶일요다라니기도발원문 ▶반야심경▶금강경(상, 하편)▶나의 신행 이야기

[ 봉사자 모집 안내 ]
<공양봉사팀> 대중공양, 공양간 미화 / <새신도안내팀> 새신도 안내, 지원
<교육봉사팀> 교육 업무지원 / <재봉사팀> 재시식 의전
<꽃공양팀> 법당 꽃 장엄 / <종무지원팀> 기도접수, 종무행정
<도서실봉사팀> 도서 대여, 장서관리 / <청향회> 다도,헌다,육법공양
<바라밀공방팀> 연등만들기, 행사지원 / <파라미타합창단> 음성공양
<법당안내팀> 법회 동참자 안내 / <호법팀> 법회 질서유지
<보문부> 영가시식준비, 안내 / <연꽃어린이법회> 어린이법회 진행 보조
<불광안내팀> 불광사 사중 안내
·접수 및 문의: 종무소 02-413-6060 (종무소에 비치된 신청서 작성)

불광사 유튜브채널 <대한불교조계종 불광사>
·www.youtube.com/@bulkwangsa1974
·스마트폰 카메라로 오른쪽 QR코드를 스캔하세요!!불광사 홈페이지 및 SNS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꽃비

<꽃비>
불기2568(2024)년 10월 18일(금) ~ 10월 24일(목)
[1080일기도] 216,000 김도형 김재우 류지영 | 108,000 박정선 박태민 백낙현 성후경 오경택 전영애 정우석 홍진희 황병훈 | 54,000 이승우 최봉준 | 30,000 김문회
[2차학술대회헌공금] 500,000 서민경
[2025년 달력헌공금] 200,000 윤정로
[승보공양헌공금] 50,000 김민규 김민선 위종관
[지장재일설판] 50,000 윤공[영]
[떡공양헌공금] 60,000 이서현 | 40,000 가병이[영] 김광일[영]
[감사헌공금] 100,000 임찬성[영] | 50,000 임양식[영]

불사 봉납 2024년 총액 74,065,000 (10/18 ~ 10/24 합계 1,846,000)
[만불봉안] 980,000 김형중 | 216,000 이준희 | 100,000 최상철 최우진 최지우 최진석 한영숙 | 30,000 박성준 박지호 박지환 | 20,000 이현석 정복례 최봉준

불광장학회 2024년 총액 3,235,000 (10/18 ~ 10/24 합계 10,000)
10,000 박종선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