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2568(2024). 12. 18.(수) 지장재일법회 > 법회보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불기2568(2024). 12. 18.(수) 지장재일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24.12.18 조회1,586회 댓글0건

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동명스님(불광사 주지)

새해는 새해라는 이름일 뿐 새해가 아니지만
봄이 오면 따뜻해지고 여름이면 더워지고
가을이 되면 싸늘해지고 겨울이면 추워라
더위가 가고 추위가 오는 일 이상한 일 아니고
가을 겨울 봄 여름 오가는 일 또한 그러해라
넉넉한 봄날의 마음이면 반쯤은 평안하리니
크게 문을 열어라 무에 그리 옹색한가
春來之暄兮 夏之熱 秋到之冷兮 冬之寒
暑往寒來非有異 秋冬春夏亦如是 悠悠春意一半平 大施門開何擁塞
- 나옹혜근(懶翁惠勤, 1320~1376), 「동화사에서 묵은해 보내고 새해 맞으며 (桐華寺新舊年作)」

진리란 의외로 단순한 것일 수 있다. 봄이 오면 따뜻해졌다가 여름이면 더워지고, 가을이면 싸늘해졌다가 겨울에는 꽁꽁 얼어붙는다는 변화의 흐름 자체가 진리이다. 봄과 여름, 가을과 겨울, 어디에도 좋음과 나쁨이 따로 있지 않고, 봄은 봄대로, 여름은 여름대로, 가을은 가을대로, 겨울은 겨울대로 의미가 있다는 것, 그런 것이 바로 진리라는 것이다.

벼 그루터기만 남은 겨울 들녘에는 희망에 부풀어 싹을 틔우던 씨앗의 열정도, 무성하게 자라오르던 푸르른 생명력도, 황금빛으로 장엄했던 결실도 사라지고 없다. 그러나 겨울 들녘이라고 아무 일도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겨울 들녘은 꽁꽁 얼어붙었다가 살짝 녹기를 반복하면서 명상하다가, 명상을 마치면 냉수마찰을 한다. 그렇게 자신을 단련하다 보면, 봄이 왔을 때 얼른 기지개를 켜고 일어설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선사는 "더위가 가고 추위가 오는 일", 사계절이 오가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라고 노래한다. 지극히 자연스러운 일이 진리라고 노래한다.

부처님의 깨달음이 왜 아누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인가? 아누따라(anuttarā)는 ‘위가 없는 최상의 것’을 뜻하며, 삼먁삼보디(samyak-saṃbodhi)는 ‘바르고 평등한 깨달음’을 말한다. 최상이라는 것은 어떤 것과도 비교할 수 없다는 뜻이며, 바르고 평등하다는 것은 부처님의 깨달음이 특별한 발명품이라기보다는 자연의 순리에 다름 아니어서 높고 낮음을 논할 필요가 없음을 말한다.

이렇게 1년이 다 가고 있다. 새해가 되어 새 달력을 준비하다 보면 1년이란 시간이 마치 어떤 실체인 것처럼 느껴지기도 하지만, 1년은 실체가 아니다. 그저 시간의 흐름일 뿐, 그 흐름의 법칙을 인간이 잘 파악하여 일정한 단위를 만든 것일 뿐, 다시 말해 1년은 1년이란 이름일 뿐 1년이 아니다.

그래서 나옹선사는 위 시 앞에 “지난해가 간 것도 아니고(舊歲不去), 새해가 온 것도 아니다(新年不來). 새해가 왔다고 한들(新年之以來兮) 찾아봐도 형체가 없고(覔之無體), 지난해가 갔다고 한들(舊歲之以去兮) 찾아봐도 자취가 없다(尋之沒蹤). 어쩌자고 공에 갇히며(何關於空) 어찌하여 유에 붙들리는가(豈攝於有)? 음과 양이 서로 마주하고(乃陰陽之相對) 해와 달이 서로 따른다(亦日月之相隨)”라고 적어두었다. 이 부분 또한 시의 일부라고 할 수 있으나, 그냥 오늘날의 용어로 ‘시작노트’라고 생각해도 무방하다.

『금강경』에서 부처님께서는 모든 중생들의 마음을 다 알고 계신다고 말씀하신다. 중생의 마음이란 ‘마음이라는 실체’라기보다는 ‘마음의 흐름’이요, 그러기에 누구건 과거의 마음도 얻을 수 없고 미래의 마음도 얻을 수 없으며 현재의 마음도 얻을 수 없지만, 부처님께서는 그 흐름을 알고 계시기에 중생들의 마음을 다 알고 계신다고 말씀하신 것이다.

그 흐름 속에서, 몹시 추운 계절을 그 흐름에 따라 연말연시로 규정한 것일 뿐이어서, 연말연시는 연말연시가 아니라 연말연시라는 이름일 뿐이지만, 봄날의 넉넉한 품성으로 마음을 활짝 열어젖히고, ‘연말연시의 들녘’에 단단한 ‘희망의 씨앗’을 심어본다.

법회 소식

동지 3일기도 입재법회
·일시: 12월 19일(목)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가섭스님(대한불교조계종 중앙종회의원)
·동참금: 3만원
※동지 팥, 찹쌀 헌공금 및 현물 보시 받습니다.

동지 팥죽 울력
·12월 20일(금) 동지 팥죽 울력을 진행하오니 많은 동참 바랍니다.

12월 셋째주 토요법회 및 동지법회
·일시: 12월 21일(토)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광우스님(BTN 소나무 진행자)

불기2568(2024)년 송년법회
·일시: 12월 28일(토)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주지 동명스님
·주요행사: <참불광행자상> 표창장 수여, <송년 음악회> 진행

천팔십일기도 5차 108일 회향 기념 특별순례기도
·일시: 2025년 1월 12일(일) 오전 7시 출발
·장소: 태화산 마곡사
·동참금: 5만원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불기2569(2025)년 을사년 설날합동차례
·일시: 2025년 1월 29일(수) 오전 10시, 보광당(지하4층)
·동참금: 10만원(친외가 양가 접수 15만원)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불광사 단청불사 모연
·대웅전, 연화당, 사모정(엘리베이터), 일주문(남쪽/동쪽) 등을 아름다운 빛깔로 장엄하는 단청불사를 모연하오니 많은 동참 바랍니다.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일요다라니기도 안내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대웅전(5층)

광덕큰스님 법어록 읽기 및 법문 듣기 모임
·일시: 매주 일요일 오후 1시 30분 ~ 4시 30분, 회의실(3층)

불광사 유튜브채널 <대한불교조계종 불광사>
·www.youtube.com/@bulkwangsa1974 (유튜브에서‘불광사’검색)
·스마트폰 카메라로 오른쪽 QR코드를 스캔하세요!! 불광사 홈페이지 및 SNS(밴드,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 QR코드 링크: linktr.ee/bulkwangsa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