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2568(2024). 11. 13.(수) 학업성취 백일기도 회향법회 > 법회보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불기2568(2024). 11. 13.(수) 학업성취 백일기도 회향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24.11.13 조회1,700회 댓글0건

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구담스님(불광사 총무)

항상 깨어 있겠습니다
이번 학업성취를 위해 쉼없 이 기도 정진을 해온 불자님들께 찬탄을 드립니다. 그동안 함께 기도 동참하신 분들을 볼 때, 절집에 익숙한 보살님도 계시지만, 불교가 처음이거나 잘 모르는 분들도 적지 않은 듯합니다. 그래서인지 불교가 어렵다라는 생각을 하는 분도 있어 보입니다.
불교가 처음인 분에게 전하는 때 쉬운 예가 있습니다.
중국 당나라 때 시인이자 정치가인 백거이가 항주 자사로 부임한 후 인근에서 이름난 고승이 살고 있다고 하여 찾아갑니다. 특이하게도 한 노승이 나무 위에 앉아 좌선을 하고 있었고, 백거이는 그런 노승의 모습에 한심함을 느끼고 발길을 돌리면서 슬쩍 묻습니다.
“스님, 불교의 기본 대의가 무엇이라 생각하시오?” 노승은 한마디 합니다. “제악막작 중선봉행(諸惡莫作 衆善奉行), 나쁜 짓을 하지 말고 선행을 하시오!”
이 말씀을 듣고 백낙천이 대답합니다. “그거야 세 살 먹은 어린아이도 아는 이야기가 아닙니까?”하고 반문하자, 노승은 “그렇소, 세 살 먹은 아이도 아는 이야기이지만, 팔십 먹은 노인도 행하기는 어려운 일이라오!”.
백거이는 이 말씀을 듣고 순간 깨닫고서 무릎을 꿇습니다. 그리고 바로 불법에 귀의하였으며 훗날에는 출가하여 불제자로 생을 마쳤다고 합니다.

불교는 쉽습니다. 착하게 살면 됩니다. 그런데 불교의 법이나 진리를 그저 알고 있는 것만으로는 아무 쓸모가 없으며 내 삶에서 실천될 때 비로소 값어치가 있게 되는 이치입니다.
불광사에서 항상 쓰는 ‘마하반야바라밀’은 반야심경에서도 자주 쓰이는 경구로, 풀어보면 ‘큰 지혜로 저 언덕에 이르는 길’이라는 뜻이지만 그 속뜻은 ‘나는 본래 크고 밝고 성취되는 가능성의 존재’라는 말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바라밀이란, 일상의 삶 속에서 하나의 목표를 세워 꾸준히 실천하고 그 목표를 달성해 나가는 것을 말하고, 그것을 우리는 수행이라고 합니다.
지금 여기 계신 보살님들이 ‘내 아들, 딸을 바르고 훌륭하게 키우겠다’는 원을 세웠다고 하면 이렇게 원을 세우는 것은 발보리심이고, 이를 기도 수행으로 실천하고 있다면 바라밀행을 닦고 있는 것입니다. 수행은 멀리 있지 않습니다.
더 나아가 우리가 함께했던 기도 시간에 스님들이 항상 읍소하는 축원문의 내용처럼, 처음에는 내 자식만을 위해 시작한 기도지만 결국 모든 수험생들을 위한 기도로 나아가게 되고, 또 합격만이 전부였던 기도가 점차로 내 아이를 이해하는 애틋한 기도로 바뀌어 감을 알게 됩니다. 그것은 기도하고 있는 자신이, 언제부턴가 수행하고 있는 수행자로 변해 가고 있다는 고귀한 사실이기도 합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수행 정진하되, 마음의 여유를 갖고 기도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기도와 선행, 보시를 나누는 삶이야말로 마하반야바라밀을 경험하고 실천하는 것입니다.

이제 겨울입니다. 머잖아 곧 봄이 올 것입니다. 매화는 봄의 전령사로 불리지만, 모진 추위를 이겨낸 후의 향기가 일품이기에 매화향은 진한 깊이가 있습니다. 우리의 수행도 그렇습니다.
다시 한번 학업성취 회향을 축하드리고, 내일 시험은 물론 앞으로도 불보살님의 지혜와 가피가 함께하기를 기원드립니다. 또한 학업성취 기도를 위해 애써주신 주지스님과 기도를 하신 고각스님, 대중스님, 종무원, 봉사자 여러분께 마음을 모아 깊은 감사를 대신합니다.
마하반야바라밀.

법회 소식

수능시험일 발원기도
·일시: 11월 14일(목) 오전 8시 40분, 보광당(지하4층)
※수능시험 시간에 맞춰 사중스님과 함께 기도드립니다.

동안거 결제 및 동안거 바라밀기도 입재
·일시: 11월 15일(금)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회향: 2025년 2월 12일(수)
·기도동참금: 5만원
·법문: 가섭스님(조계종 중앙종회의원)

셋째주 토요법회
·일시: 11월 16일(토)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문광스님(동국대 연구교수)

김장 담그기
·일시: 11월 28일(목) ~ 29일(금), 공양간(지하1층)
·김장 담그기 헌공금 및 현물 보시 받습니다.

동지 3일기도
·입재: 12월 19일(목)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회향: 12월 21일(토)
·기도동참금: 3만원
·동지 팥, 찹쌀 헌공금 및 현물 보시 받습니다.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2025년 달력 헌공금
·불기2569(2025)년 달력 제작 헌공금 보시 받습니다.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헌공봉투 제작 헌공금
·헌공봉투 제작 헌공금 보시 받습니다.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일요다라니기도 안내
·매주 일요일 사시에 신묘장구대다라니 독송 기도를 봉행합니다.
·일시: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대웅전(5층)

광덕큰스님 법어록 읽기 및 법문 듣기 모임
·일시: 매주 일요일 오후 1시 30분 ~ 4시 30분, 회의실(3층)
·문의: 종무소 02-413-6060 / 총무 혜심보살님

불광사 유튜브채널 <대한불교조계종 불광사>
·www.youtube.com/@bulkwangsa1974 (유튜브에서‘불광사’검색)
·스마트폰 카메라로 오른쪽 QR코드를 스캔하세요!! 불광사 홈페이지 및 SNS(밴드,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