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2569(2025). 2. 1.(토) 토요·포살법회 및 입춘 3일기도 입재법회 > 법회보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불기2569(2025). 2. 1.(토) 토요·포살법회 및 입춘 3일기도 입재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25.02.01 조회1,309회 댓글0건

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동명스님(불광사 주지)

삼재(三災)를 삼재(三財)로 만들자! -탐진치(貪瞋癡)를 원력지(願力智)로
탐욕보다 더한 불길은 없고/ 성냄보다 더한 밧줄도 없다./ 어리석음보다 더한 그물은 없고/ 갈애보다 더한 강물도 없다. (『법구경』 251송)

염세주의자 구영탄(가명)은 세상은 썩어빠졌고, 가난한 자신은 세상에 설 자리가 없다고 생각하면서 살았습니다. 부조리한 현실 속에서 바르게만 살아서는 생존하기도 힘들다고 생각했던 그는 부유한 이의 재물을 빼앗아도 된다고 생각하고 강도질을 감행하다 붙잡혀 감옥에서 생활하게 되었습니다. 수형생활 중 불교참회반에 들어가 착실하게 수형생활하던 중 어머니가 강도를 당해 정강이뼈가 골절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분노가 폭발하여 동료 수형자들을 폭행하였습니다.

불교참회반에서 쫓겨나 조사수용이 된 얼마 후 어머니가 면회를 왔습니다. 어머니가 당신을 다치게 한 범인을 이미 용서했다고 말하니, 아들이 “엄마를 그렇게 만든 놈을 어떻게 그리 쉽게 용서할 수 있어요?”라고 묻습니다. 이에 어머니가 대답합니다.

“남을 해친 자식을 둔 어미가 자식과 똑같은 짓을 한 사람을 용서하지 못할 것은 뭐니? 네가 고통을 준 사람들이 너를 용서해주길 간절히 바라는 마음으로 엄마도 그 사람 용서한 거다.”

순간 영탄은 머릿속이 하얘졌습니다. 어머니가 모진 일을 당한 것을 보니, 자신이 그 동안 손가락질하며 증오했던 대상들이 자신과 다르지 않음을 깨달은 것입니다. 그때부터 어머니가 접견 후 넣어준 참회진언 사경 노트에 “옴 살바 못자 모지 사다야 사바하”라고 따라 적기 시작했습니다. 6개월 이상 사경하면서 그는 주위 사람들이 자신을 대하는 태도가 달라졌음을 느꼈습니다. 사실은 그 이전에 자신에게 ‘구치소도 살 만한 곳이구나’라는 긍정적인 마음이 싹텄기 때문입니다. 모든 것은 그대로였지만, 자신의 마음이 변하자 세상도 달라지기 시작했던 것입니다.

입춘(立春)입니다. 아직 한겨울인데 입춘이라니요. 그러나 봄은 이미 오래 전에 내재되어 있었습니다. 나의 본성이 마하반야바라밀임을 알기 이전에 나의 본성이 이미 마하반야바라밀이었듯이, 계절의 순환 속에서 봄은 이미 계절의 본성이었습니다.

올해 우리 절에서는 입춘기도와 더불어 삼재기도를 함께 봉행합니다. 삼재기도는 입춘 무렵의 계절이 현상적으로는 한겨울이지만 이미 봄이듯이, 삼재가 세 가지 재앙이 아니라 세 가지 보배임음 확인하는 기도입니다.

땅은 복밭을 열어 이 땅과 함께 오래되었고/ 하늘은 덕의 집을 열어 저 하늘과 함께 오래되었네/ 첩첩 산봉우리가 줄지어 늘어서서 천 번을 응하면/ 모든 물은 흐르고 흘러 기필코 만 리를 가네
地闢福田同地久 天開德宇共天長 羣峯揖立應千疊 衆水朝流必萬行
-해붕전령(海鵬展翎, ?~1826), 「석천암(題石泉菴)」

누가 불의 공을 제대로 알아주랴/ 그 공이 시방의 만물에 미쳤어라/ 수인씨 수인씨(燧人氏)가 불을 피우지 않았더라면/ 고금에 얼마나 많은 이가 굶거나 얼어서 죽었겠는가
孰能知得八人功 功及十方萬類中 若匪燧皇繩鑚力 古今飢凍死無窮
-월파태율(月波兌律, 1695~1775), 「불(火)」

바다와 산을 본래 집으로 삼고/ 바람과 달을 새 이웃으로 더해/ 넝쿨 침상 위에 높이 누웠더니/ 작은 새들이 새봄이라 알리네
海山爲本宅 風月忝新隣 高臥蘿牀上 小禽報元春
-월하계오(月荷戒悟, 1773~1849), 「우연히 쓰다(偶題)」

금주의 다짐

나는 불행하다고 생각하였을 때, 불행한 일은 찾아든다. 그러니 결코 근심스러운 표정이나 성난 표정은 하지 말아야 한다. 생각은, 이것이 하나의 조각가와도 같다. 사람의 용모 위에 재주를 부린다. 사람을 미워하면 주름살을 나타내고, 슬퍼하면 얼굴 위에 슬픔을 그려낸다.

법회 소식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
·금강경 독송: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 / 561일차, 금강경 <상>편 독송
·보현행자의 서원: 제2 예경분 / 『불광법요집』 큰책 104쪽, 작은책 156쪽
·법회를 마친 후, <입춘다라니>를 나누어 드립니다.

입춘법회
·일시: 2월 3일(월)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총무 구담스님
※법회를 마친 후, <입춘다라니>를 나누어 드립니다.

호법법회
·일시: 2월 5일(수)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지명스님(하남 동명사 회주)

정초 7일기도 회향법회
·일시: 2월 6일(목)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주지 동명스님
·기도동참금: 3만원

금하당 광덕큰스님 원적 26주기 추모법회
·일시: 2월 8일(토)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장산스님(대각회 이사장)

동안거해제·정월대보름·정월조상합동천도기도 회향법회
·일시: 2월 12일(수)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주지 동명스님
·기도동참금: 5만원
·정월대보름 오곡 보시받습니다.

새해맞이 서원지 작성 및 소원등 달기
·기간: 2월 12일(수, 동안거해제/정월조상합동천도재)까지, 비로자나부처님 앞
·동참금: 서원지 자율보시 / 소원등 2만원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불광사 일주문 단청불사 모연
·불광사 일주문(남쪽/동쪽)을 아름다운 빛깔로 장엄하는 단청불사를 모연하오니 많은 동참 바랍니다.

공양간 노후 시설 교체 불사 모연
·공양간 대형 솥 등 노후한 시설을 교체하고자 하오니 많은 동참 바랍니다.
※불사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보현행원 구도정진
·일시: 2월 21일(매월 셋째주 금요일) 오후 7시~10시, 만불전

일요다라니기도 안내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대웅전(5층)

광덕큰스님 법어록 읽기 및 법문 듣기 모임
·일시: 매주 일요일 오후 1시 30분 ~ 4시 30분, 회의실(3층)

계층법회 안내
·금강청년법회: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보리당(본당4층)
·연꽃어린이법회: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 30분, 대법전(교육원5층)

계층법회 후원 안내
·금강청년법회, 연꽃어린이법회에서 후원을 받습니다. 후원금은 불교의 미래를 밝히는 계층법회 활성화를 위한 지원금으로 사용됩니다.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불광사 유튜브채널 <대한불교조계종 불광사>
·www.youtube.com/@bulkwangsa1974 (유튜브에서‘불광사’검색)
·스마트폰 카메라로 오른쪽 QR코드를 스캔하세요!! 불광사 홈페이지 및 SNS(밴드,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 QR코드 링크: linktr.ee/bulkwangsa

왕생극락을 기원합니다
·1/20 권미옥 보살의 모친 배재복 영가
·1/24 이석규 거사의 모친 민병례 영가

꽃비

<꽃비>
불기2569(2025)년 1월 24일(금) ~ 1월 30일(목)
[1080일기도] 324,000 김시열 | 108,000 강미례 박선희 박성억 박성준 박정민 박찬용 엄기철 전영애 정승화 정창화 최경희 최광연 | 30,000 김문회 김유미 안갑숙 홍대용
[설합동차례헌공금] 1,000,000 배선희 | 100,000 한정현
[광덕큰스님기일헌공금] 100,000 김민규 김민선
[공양간노후시설불사헌공금] 1,000,000 동명스님
[떡공양헌공금] 75,000 김민섭 | 60,000 박지빈
[승보공양헌공금] 10,000,000 박종선(묘법행)
[감사헌공금] 100,000 유동근

불사 봉납 2025년 총액 3,888,000

불광장학회 2025년 총액 430,000 (1/24 ~ 1/30 합계 85,000)
30,000 서양옥 | 20,000 이광세 | 10,000 권혁준 백성례 | 5,000 권혁재 이현숙 최운주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