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2569(2025). 1. 23.(목) 관음재일법회 > 법회보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불기2569(2025). 1. 23.(목) 관음재일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25.01.23 조회1,349회 댓글0건

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휴담스님(불광사 교무)

우리는 기도와 수행을 통해 어떻게 부처님의 감응을 받는가?
“부처님의 몸이 온 법계에 가득하사(佛身充滿於法界), 일체중생 앞에 두루 나타나시네(普現一切衆生前), 인연 따라 빠짐없이 두루 감응하시나(隨緣赴感靡不周), 언제나 보리좌에 항상 앉아 계신다네(而恒處此菩提座).”<여래현상품>

우리는 불상을 향해 절을 하고 예불을 드리고 공양과 기도를 올린다. 그런데 법신부처님의 존재를 생각하지 못하면 부처님께서 과연 우리의 기도에 감응해 주실까? 저 금동불상에 무슨 영험이 있겠는가? 하는 의심이 생길 수 있다. 그러나 부처님이 감응하는 이치를 확신하고 있으면 더 큰 신심으로 기도와 수행에 자신감을 얻을 수 있다.

부처님은 2500여 년 전에 입멸하여 법계로 돌아가 진리와 하나가 되었다. 부처님의 몸은 진리와 하나 된 법신부처님을 의미한다. 법신부처님은 우주법계의 삼라만상과 함께 온 누리에 계시지 않는 곳이 없다. 모양이 없고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영원하다.

깨달음의 자리인 보리수나무 아래 항상 앉아계시지만 무량한 성스러운 공덕이 작용하기 때문에 인연 따라 중생들의 간절한 기도에 중생들의 마음에 나투신다. 감응 또는 가피를 주시는 방법은 중생의 근기에 따라 마음속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고 어떤 모습으로 나투기도 한다. 부처님을 천백억 화신 석가모니불이라 부르는데 그 이유는 허공에 달이 떠오르면 달그림자가 모든 물 위에 두루 비치지 않는 곳이 없듯이, 부처님께서 시방세계의 중생들의 근기에 맞추어 감응하기 때문이다.<수심결>

대승경전에 의하면 우리도 부처님과 같은 지혜와 덕성을 가지고 태어났다. 부처님의 마음이나 우리들의 마음이나 마음은 본래 번뇌고 없고 청정하다. 단지 우리는 욕심에 눈이 멀어 앞을 제대로 못 볼 뿐이다. 욕심으로 인하여 생기는 망령된 생각은 실체가 없다. 망상이 일어나도 그것을 알아차리고 따르지 않으면 저절로 사라진다. 번뇌는 자각을 통해 깨달음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금광석을 정제하면 순금을 얻을 수 있는 것처럼 번뇌도 번뇌인 줄 알면 번뇌가 깨달음이 된다. 이것을 번뇌즉보리라고 한다.<유마경> 모든 욕심과 번뇌가 사라지면 마음은 여전히 그대로 청정한 상태, 부처님의 마음과 다르지 않다. 이와 같이 우리들의 욕심이 비워지고 마음이 청청할 때 본래의 청정한 마음은 태양처럼 밝게 빛나는 법신 부처님, 부처님의 마음과 연결된다.

금강경에 의하면 형상이나 음성으로는 여래를 친견할 수 없다. 따라서 불상은 법신부처님을 상징한다. 불상은 불상 자체보다는 예불, 공양, 기도 등의 수행을 통해 복을 얻고 형상 없는 부처를 친견하기 위한 방편이다.<대명도경 권6> 우리는 불상을 향해 절을 하고 예불을 드리고 공양과 기도를 올린다. 이때 불상 자체가 아니라 부처님 모습을 떠올린다. 그 순간 마음의 번뇌는 사라지고 부처님의 마음으로 변화한다. 이 과정에서 우리는 마음의 안식과 평화를 얻으면서 기도가 성취되기를 희망한다. 중요한 것은 부처님의 형상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에 집중하여 고요하고 평화로운 상태를 직접 확인하고 살피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나의 마음에 구현된 부처님의 마음을 지키고 따르면, 번뇌가 일어나더라도 번뇌를 따르지 않게 된다. 번뇌가 공하다는 것을 알아차리면 그대로 깨달음의 마음이다. 언제 어디서 어떤 수행을 하든 나는 법신부처님과 연결되어 있다는 깊은 믿음을 가지고 자신의 마음을 자각하면서 하는 수행을 4차원 신행이라 한다.

나무 시아본사 석가모니불() 나무 관세음보살()

법회 소식

1월 넷째주 토요법회
·일시: 1월 25일(토)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총무 구담스님

불기2569(2025)년 을사년 설날합동차례
·일시: 1월 29일(수) 오전 10시, 보광당(지하4층)
·동참금: 10만원(친외가 양가 접수 15만원)

정초 7일기도 및 정월조상합동천도재 입재
·일시: 1월 31일(금)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동참금: 정초7일기도 3만원 / 정월조상합동천도재 5만원

입춘 3일기도 입재
·일시: 2월 1일(토)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동참금: 3만원

동안거해제·정월대보름·정월조상합동천도재
·일시: 2월 12일(수)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정월대보름 오곡 보시받습니다.

새해맞이 서원지 작성 및 소원등 달기
·기간: 2월 12일(수) <동안거해제/정월조상합동천도재>까지, 비로자나부처님 앞
·동참금: 서원지 자율보시 / 소원등 2만원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공양간 노후 시설 교체 불사 모연
·공양간 대형 솥 등 노후한 시설을 교체하고자 하오니 많은 동참 바랍니다.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불광사 단청불사 모연
·대웅전, 연화당, 사모정(엘리베이터), 일주문(남쪽/동쪽) 등을 아름다운 빛깔로 장엄하는 단청불사를 모연하오니 많은 동참 바랍니다.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일요다라니기도 안내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대웅전(5층)

광덕큰스님 법어록 읽기 및 법문 듣기 모임
·일시: 매주 일요일 오후 1시 30분 ~ 4시 30분, 회의실(3층)

불광사 유튜브채널 <대한불교조계종 불광사>
·www.youtube.com/@bulkwangsa1974 (유튜브에서‘불광사’검색)
·스마트폰 카메라로 오른쪽 QR코드를 스캔하세요!! 불광사 홈페이지 및 SNS(밴드,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 QR코드 링크: linktr.ee/bulkwangsa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