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2569(2025). 1. 11.(토) 토요법회 및 천팔십일기도 5차 회향 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25.01.14 조회1,435회 댓글0건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현진스님(여의도포교원장)행복으로 가는 길 - 깨어 있는 사람은(2) -
모두가 행복을 갈망하며 삶의 지평을 열어갑니다.
그럼에도 행복을 구하는 사람들의 행위나 생각들을 보면 오히려 행복과 멀어지는 행동들을 많이 봅니다.
“행복이란 지혜에 이르는 길이다.”라고 가르치며, 지혜에 이르는 길은 자신으로부터 일어나는 느낌, 행동을 알아차림이라고 말합니다.
알아차린다는 것은 바르게 보는正見이요, 바르게 생각하는正思것이며, 바르게 기억正念하는 일입니다.
보통의 사람들의 삶은 자기 안에서 일어나는 생각을 보지 못하고, 듣지 못하고, 기억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것이 아닙니까?
스스로의 자기 안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바깥의 보이는 일에만 휘말리며 다음에 다가오는 것을 모르는 것이 마치 몸속의 암세포가 자라는 것을 모르고 사는 것과 같음이요, 건강을 위하여 과식하지 말라 하지만 맛깔스런 음식의 외형에 빠져 너무 먹어서 탈을 일으켜 건강을 해치는 것과 같은 것입니다.
다시 말해, 우리가 행복이라는 통로에 들어가는 지혜의 길이란 생각이나 감정, 느낌들이 바깥에 있지 않고 내 안에 있는 내면의 마음작용임을 깨닫는 것입니다.
보십시오! 비가 오고, 태풍 불고, 눈보라 쳐서 자기가 하는 일에 불편을 끼친다고 화를 내는 경우를 종종 보는데 그것이 화를 내고 할 일인가요?
비바람은 자기의 일을 하고 있을 뿐이요, 날씨는 춥다거나 덥다는 어떤 감정의 말을 하지 않습니다. 오직 내가 그렇게 여기는 감정과 느낌일 뿐입니다.
벌레나 뱀이 애초부터 싫어하는 동물인가? 그것들을 싫어하는 마음을 일상 가지고 사는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뱀은 그냥 뱀이요, 벌레는 그냥 벌레일 뿐으로 싫어하는 마음은 나의 싫다고 물들어 있는 마음일 뿐인 것입니다.
이렇게 모든 생각이나 일들이 바깥의 모양에 있음이 아니라 내 안의 마음 작용임을 알아차리는 것이 지혜요, 이러한 지혜는 혼돈을, 어리석음을 넘어서 밝음이 있는 곳으로 스스로가 인도되니, 그곳을 우리는 행복의 적정 묘유妙有의 곳간이라 부르는 것입니다.
죄무자성종심기 罪無自性從心起
죄는 자성 없이 마음 따라 일어나는 것이니
심약멸시죄역망 心若滅時罪亦亡
마음이 소멸하는 때에 죄 또한 없어지리라
죄라는 것, 허물이라는 것, 좋은 것, 나쁜 것, 두렵고 화내는 것 등등 이 모든 것이 자기의 집착으로 만들어가는 것이니, 이것을 통찰하고 자각한 경지에서 일체에 걸리지 않는 자유로운 사람을 관자재觀自在보살이라고 부릅니다. 보살은 들녘에 피어 있는 꽃 한 송이 있는 그대로 관조觀照하라고 합니다.
행복은 누가 주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비추어 갖는 뜻이라는 말입니다. 행복한 자유를 갈망하는 사람은 바깥 것에 집착을 버리고 자기의 틀 안에 갇혀 있는 잘못된 마음의 틀을 매일매일 새롭게 바꾸어야 합니다. 이 바꾸어가는 힘을 지혜라 부릅니다.
나는 오늘의 고통, 괴로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에게 행복을 위해 살아가는 생명 패러다임을 바꾸라고 말합니다. 그것은 남들이 변하기만을 투쟁하며 매달려 에너지를 낭비하고 또 그렇게 살아갈 사람들의 아픔을 치유하는 길이기 때문입니다.
변해야 할 것은 오직 나 자신이요, 다른 무엇이 아님을 깨닫고 사는 것이 깨어 있는 사람이요, 지혜가 열린 사람이니 이 사람은 정진하게 되고 자기 영혼을 비추는 참수행의 길을 걷는 사람인 것입니다.
“생명에 있어서 죽는다는 것은 다시 영원히 살아 있음이다.” 하신 붓다의 말씀은 내 안의 행복에 대한 생명의 찬탄이며 싱그러운 삶의 영원성을 말하는 것입니다.
현진스님, 『새벽을 깨우는 법고소리』 에서
금주의 다짐
오늘 우리는 몇 번 남을 칭찬하였던가. 오늘 우리는 몇 번 남의 허물을 말하였던가. 칭찬하면 태양이 나의 주위에서 빛나고, 비방하면 어둠이 나를 감고 돌아간다. 칭찬하는 마음에는 천국이 열려가고, 비방하는 발길에는 가시덤불 엉기나니. 입은 진실과 광명을 토하는 문이다. 언제나 찬탄과 기쁨을 말하도록 하자.법회 소식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금강경 독송: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 / 540일차, 금강경 <하>편 독송
·보현행자의 서원: 제10 수순분 / 『불광법요집』 큰책 123쪽, 작은책 194쪽
·천팔십일기도 5차 회향 영가시식
갑진년 음력12월 지장재일법회
·일시: 1월 17일(금)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소참법문: 주지 동명스님
·동참금: 1만원
셋째주 토요법회
·일시: 1월 18일(토)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자현스님(중앙승가대 교수)
천팔십일기도 5차 108일 회향 기념 특별순례기도
·일시: 2025년 1월 12일(일) 오전 7시 출발
·장소: 공주 태화산 마곡사
※준비사항:『불광법요집』, 개인 상비약, 방한용품(옷 따뜻하게 입기)!!
새해맞이 서원지 작성 및 소원등 달기
·기간: 2월 12일(수) <동안거해제/정월조상합동천도재>까지
·장소: 비로자나부처님 앞
·동참금: 서원지 자율보시 / 소원등 2만원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불기2569(2025)년 을사년 설날합동차례
·일시: 2025년 1월 29일(수) 오전 10시, 보광당(지하4층)
·동참금: 10만원(친외가 양가 접수 15만원)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정초 7일기도 및 정월 조상합동천도재 입재
·일시: 1월 31일(금)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동참금: 정초7일기도 3만원 / 정월조상합동천도재 5만원
입춘 3일기도 입재
·일시: 2월 1일(토)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동참금: 3만원
동안거해제·정월대보름·정월조상합동천도재
·일시: 2월 12일(수)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정월대보름 오곡 보시받습니다.
불광사 단청불사 모연
·대웅전, 연화당, 사모정(엘리베이터), 일주문(남쪽/동쪽) 등을 아름다운 빛깔로 장엄하는 단청불사를 모연하오니 많은 동참 바랍니다.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일요다라니기도 안내
·일시: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대웅전(5층)
광덕큰스님 법어록 읽기 및 법문 듣기 모임
·일시: 매주 일요일 오후 1시 30분 ~ 4시 30분, 회의실(3층)
계층법회
·금강청년법회: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보리당(본당4층)
·연꽃어린이법회: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 30분, 대법전(교육원5층)
불광사 유튜브채널 <대한불교조계종 불광사>
·www.youtube.com/@bulkwangsa1974 (유튜브에서‘불광사’검색)
·스마트폰 카메라로 오른쪽 QR코드를 스캔하세요!! 불광사 홈페이지 및 SNS(밴드,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 QR코드 링크: linktr.ee/bulkwangsa
왕생극락을 기원합니다
·12/30 박한종 거사의 부친 박주현 영가
·1/1 조영식 거사의 모친 이점순 영가
·1/5 조훈 거사의 모친 최선주 영가
꽃비
<꽃비>불기2569(2025)년 1월 3일(금) ~ 1월 9일(목)
[1080일기도] 110,000 혜성스님 | 108,000 구한나 권영진 김덕재 김옥련 김정하 김종진 김진일 박도선 박상훈 박향영 성민정 성제호 성현주 오세길 윤정로 이선옥 이우중 이재준 이태일 장수연 장진영 정우찬 조민수 조운 최형근 한영임 황상준 | 100,000 윤진미 | 92,000 차미경 | 50,000 강정기 | 30,000 이만규
[성도재일헌공금] 200,000 반야1구
[설합동차례헌공금] 50,000 이현종
[승보공양헌공금] 50,000 김민규 김민선
[감사헌공금] 300,000 박기순 | 100,000 유동근 | 30,000 성창훈 | 14,000 최수옥
[금강청년법회후원금] 500,000 혜성스님 | 100,000 배선희
[연꽃어린이법회후원금] 500,000 혜성스님
[성도광명일전야철야정진 현물보시] 다과 배선희(100,000) 최경희(50,000)
불사 봉납 2025년 총액 1,448,000 (1/3 ~ 1/9 합계 698,000)
[단청불사] 300,000 국을경 | 100,000 김나영 김동학
[만불봉안] 108,000 류경아 | 30,000 김민준 박선우 천희영
불광장학회 2025년 총액 65,000 (1/3 ~ 1/9 합계 40,000)
10,000 김희정 문명옥 박준성 신명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