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9월 넷째주 일요법회 > 법회보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2011년 9월 넷째주 일요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11.09.24 조회4,554회 댓글0건

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지환스님

금강경의 수행과 바라밀행의 생활화
『금강경』에서는 卽非를 통해서 깨달음에 이르는 방법을 말하고 있습니다.
즉비란 ‘마음이 일어나는 순간, 곧바로 공(空)으로 보고, 환(幻)으로 보고, 꿈으로 보아 마음을 비워버리는 것’입니다.
즉비란 긍정과 부정을 초월하여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지켜보기입니다. 이것을 통해서 분별하는 마음이 일어난 즉시 알아차리면 탐진치가 비워지는데 탐진치가 약해지고 쉬어진 만큼 자유와 평화의 안락한 상태가 됩니다.
즉비를 통해서 탐욕과 집착, 적대감과 미워함이 사라집니다. 卽非가 제대로 되면 마음도 비워지고, 경계도 비워져 깨달은 삶으로 살게 됩니다.『금강경』은 즉비를 통해서 삶을 보라고 합니다. 우리의 마음이 탐심과 진심과 치심으로 일어날 때 마다 卽非를 계속해서 하여 卽非가 완벽하게 되어 분별 심을 근본적으로 비워 버리면, 곧바로 탐심, 진심, 치심이 사라진 지금 여기의 텅 빈 참마음으로 함께 어울리는 아름다운 삶, 참다운 행복의 삶을 살게 됩니다.
삶의 본래모습은 고가 아니므로 마음을 비운 순간 곧바로 고에서 벗어난 삶의 본래모습이 열리어 열반의 행복한 삶을 살 수 있게 됩니다. 일체상이 공한 모습이 삶의 본래 모습인데 공한 모습(空相)을 있는 모습(有相)으로 보기 때문에 어리석은 삶입니다. 어리석은 삶은 만족이 성취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본래 독립된 ‘나’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나’가 있다고 생각하고 나의 생각을 채우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나’가 있다고 사량 분별하는 의식은 이 생각을 끊임없이 이어갑니다. 자아의식의 작용이 끊임없이 일어나면서, ‘나’가 실제로 있는 것처럼 여기게 됩니다. 그러나 독립된 ‘나’는 없기 때문에 그런 ‘나’가 있다고 여겨 나를 위한 마음, 욕망을 채우려는 것은 마치 ‘밑 빠진 독에 물 붓기’와 같습니다. 아무리 채워도 채울 수 없습니다. 무엇인가를 채운다 해도 또 욕망이 일어나 만족이 있을 수 없습니다. 욕망은 조절하지 않으면 끝이 없습니다.
우리가 살아가면서 ‘나의 생각을 채우려는 욕망(소유)’은 만족스럽게 채울 수 없기 때문에 늘 불만족이 있기 마련이고 따라서 삶이 괴롭습니다. 그러니까 욕망을 일으키는 사량 분별(意)의 마음 작용을 즉각 멈추는 卽非를 통해 불만족이 쉬어지도록 해야 합니다. 그러면 괴로움도 그만큼 없어집니다.
마음의 분별이 사라지면, 곧 개체 의식이 사라지면서 불만족을 갖고 괴로워하는 주체도 사라집니다. 주체가 없기 때문에 불만족이나 괴로움이 있을 수 없고, 또한 다른 사람을 비판하거나 규정하지 않기 때문에 그 사람에게 괴로움을 주는 상황을 만들지도 않습니다. 이와 같은 사람을 무루법(無漏法)으로 사는 사람이라고 합니다. 유루법(有漏法)은 허망한 ‘나’를 바탕으로 ‘나’의 욕망을 채우려는 것이며, 무루법은 허망한 바탕인 ‘나’가 사라졌기 때문에 채울 필요가 없이 ‘여여하게 사는 것’입니다.
고통의 근원인 ‘나’가 본래 空하기 때문에 분별에 의한 상(相)을 버리기만 하면, 심신이 청정해져 곧바로 참다운 삶으로 살게 됩니다.
즉비의 수행은 ‘한 생각이 일어나는 즉시, 곧바로 공(空)으로, 환(幻)으로, 꿈으로 주시’하는 것입니다. 공으로, 幻으로, 꿈으로 보아 생각이 일어나고 사라짐에서 고요한 마음은 지(止)요, 생각이 일어나고 사라짐을 놓치지 않고 보는 것은 관(觀)입니다. 공의 고요하고 청정함 속에서(止) 지속적인 삶의 주시(觀)가 끊이지 않는 것이 正念수행입니다. 이것을 통해서 몸과 마음이 고요하고 청정해집니다. 고요하고 청정한 상태의 마음을 빈 마음‧무심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무심은 대단히 중요합니다. 무심은 ‘몸과 마음의 고요함속에서 삶의 모습 본래 그대로 존재하는 것’입니다. 즉비를 통해 마음을 계속 비우면 보고 듣고 냄새 맡고 생각하는 삶 전체가 동시에 빈 마음으로 바뀝니다.
처음에는 일어나고 사라지는 대상이 있습니다. 대상이 있을 때는 아직 빈 마음‧무심이 되지 않습니다. 대상도 사라지고 보는 ‘나’도 사라지면 비로소 빈 마음‧무심이 됩니다. 卽非를 통해 마음을 쉬어 ‘나와 대상’이 사라지면 모든 갈등과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는데, 이렇게 마음이 빈 상태가 무심입니다. 참다운 무심으로 사는 것이 해탈의 삶입니다.
금강경의 핵심을 간단히 말하자면 卽非를 통한 無相, 無我, 無住 妙行의 삶입니다.
이러한 바라밀행의 생활화를 다음과 같이 총괄적으로 정리해서 제안합니다.

<총론>
이 세상이 꿈같고 환영인 줄 알아 법계인연에 맡기고 집착 없이 그때그때 최선을 다해 열심히, 지혜롭고 자비롭게 자유롭고 평화롭게 참다운 행복의 삶을 산다.

<각론>
1. 모든 생명을 부처님으로 받들며 산다.
2. 맑고 고요하게 산다.
3. 밝은 마음으로

금주의 다짐

여보세요, 현재 당신의 환경이 좀 시원치 않거든 당신 마음을 점검해 보세요. 반드시 어둡거나 나쁜 일, 불행한일, 미워하고 원망하는 일, 병이거나 근심걱정 또는 성내는 것 중 어떤 하나를 생각하고 계실 거예요. 마음을 바꾸세요. 착한 일, 아름다운 일, 맑은 일, 자비스런 일, 조화되고 넉넉한 일만을 마음에 두세요. 당신께서 생각하고 마음에 그리는 대로 환경에 나타날 거예요.

법회 소식

9월 27일(화) 초하루법회 오전 10시 30분 보광당(4층)
기와불사 모연 ․ 현관에서 기와불사 모연합니다. 많은 동참바랍니다.



불광법당 재건축 불사 기념 ‘황서이 서화’판매 전시회
․ 장소 : 불광사 교육원 계단 및 복도
․ 전시 작품 판매기금 전액은 중창불사에 봉납됩니다. 문의 : 종무소(☏ 413-6060)



학업성취 100일기도
․ 2012년 대입수능시험을 맞이하여 수험생 불자를 위한 학업성취 100일 기도를 봉행합니다. 수험생 불자들이 수능시험의 중압감에서 벗어나 불보살님의 가피로 평상심을 발휘하여,
합격의 기쁨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학업성취 100일기도>에 불자님들의 동참 바랍니다.
․ 동참금 : 100,000원 ․ 문의 및 접수 : 종무소(☏ 413-6060)
11월 9일(수) 학업성취 100일기도 회향


바라밀 문화기행 안내
․ 답사일 : 10월 13일(목) ․ 답사지 : 문경지역(문경새재, 대승사, 김룡사)
․ 출발지 : 오전 7시 불광사 ․ 동참금 : 4만원 ․ 문의 및 접수 : 반야원(☏ 419-3344)

반야원 행사 및 물품 안내
․ 강원도 횡성 농촌에서 생산해 매주 목요일 집으로 배달되는 제철꾸러미(기본 유정란 10개, 무 농약 두부 2모 외 제철 농산물 4~5가지)를 교육원 입구에서 접수 받습니다.(한 달 4회 10만원)
․ 봉화 저농약 사과도 판매합니다.(2㎏ 8,000원, 10㎏ 39,000원)

마하보디 합창단 남성 단원모집 - 문의 : 법달 010-7589-6895, 혜성 011-447-0007
․ 마하보디 합창단에서 남성단원을 모집합니다.

연화부원 모집(거사)
․ 교육일정 : 9월 21일(수)~10월 26일(수) 매주 수요일(총 6회) 19시, 6층
․ 문의 및 접수 : 총무 법화 017-350-6658

불광교육원 가을강좌 개설
1. 제57기 불교 기본교육
․ 일시 : 9월 26일(월) ․ 시간 : 아침반 오전 10~12시, 저녁반 오후 7시30분~9시30분
2. 초기불교의 이해(10주)
․ 일시 : 9월 28일(수), 29일(목) ․ 시간 : 수요일 저녁반 오후 7시30분~9시30분
․ 강사 : 각묵스님 목요일 아침반 10시~12시
3. 붓다의 일생Ⅱ(10주)
․ 일시 : 10월 4일(화), 매주 화요일 ․ 시간 : 오후 1시30분~3시 ․ 강사 : 이미령 교수
4. 경전반 ‘천수경‧반야심경’(8주)
․ 일시 : 10월 5일(수) ․ 시간 : 아침반 오전 10~12시, 저녁반 오후 7시30분~9시30분
․ 지도 : 대혜스님
※ 문의 및 접수 : 교육원(☏ 417-2551)



구법회 법등소식
․ 송파4구 1‧2‧3‧4법등, 송파13구 2‧3‧5법등, 송파14구 2법등, 송파15구 1‧3법등, 송파19구 2‧3법등, 송파21구 3‧4‧7법등, 송파23구 1‧2법등, 송파25구 1‧4법등, 송파27구 1법등에서 모임이 진행되었습니다.

<다음주 구모임>
․ 송파4구 5법등, 송파20구 5법등, 송파21구 1‧2법등에서 모임이 있을 예정입니다.
자원봉사소개 : 9/26~10/2 송파3구 10/3~10/9 송파7구 10/10~10/16 송파8구
10/17~10/23 송파9구 10/24~10/30 송파10구 10/31~11/6 송파11구 11/7~11/13 송파12구

축하합니다
·송파2구 3법등 조기환거사 선덕화보살의 장남 재홍군과 민혜숙양이 9월 25일(일) 오후 2시 충주시 드림유웨딩홀 1층 아이리스홀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송파3구 4‧5법등 최훈경(법광)거사 고순재보살의 장남 태욱군과 이화령양이 10월 2일(일) 낮 12시45분에 가든파이브 아름다운컨벤션 1층 헤레이스홀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왕생극락을 기원합니다
·9월 12일 대원3구 3법등 이광근거사 모친 별세
·9월 13일 송파26구 장미2법등 자비원보살 부친 별세
·9월 16일 송파27구 2법등 묘지행보살 부군 별세
·9월 17일 대원3구 3법등 진월 김정동거사 모친 별세
※ 위 네 분이 세상 인연이 다하여 이 땅을 하직하셨습니다.


다음주(10/2)법회안내 : 회주스님께서 법문이 있습니다. 법우형제분들의 많은 동참을 바랍니다.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