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2월 첫째주 일요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13.02.16 조회4,910회 댓글0건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혜담스님대웅전 상량으로 불국토를 장엄하고 자성청정계로써 복을 닦는다
《범망경》에는 “법을 설하는 사람은 그 사람이 귀하고 덕이 높고 장해서가 아니라, 법문이 귀하고 높고 거룩하기 때문에 한 단 높은 자리에서 위의를 다 갖추고 법을 설하라”는 말씀이 있다. 이 법문에 따라 스님들은 “높고 큰 평상에 앉지 말라”는 계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높은 자리에 앉아서 법을 설한다. 이와 같은 의론은 법당을 크게 짓고 장엄하는 이유를 잘 설명하고 있다. ‘법문이 귀하고 높고 거룩하기 때문에’ 그 법이 설해지는 공간은 크고 웅장하며 잘 장엄되어야 하는 것이다. 우리 불광 형제들은 오늘 불광사 중창불사 ‘대웅전상량식’을 갖는다. 불사(佛事)라는 말은 ‘부처님이 하시고자 했던 일’이라는 뜻이다. 따라서 중창불사는 중생을 제도하기 위해서 부처님이 하시고자 했던 불국토장엄의 일을 우리들이 하는 것이고, 이 불사의 큰 전환점에 오늘의 상량식이 있다.
그렇다면 이 상량식을 어떤 마음자세로 치러야 할까? 한때에 ‘기복불교(祈福佛敎)에서 벗어나자’라는 말이 유행한 적이 있었다. 불교수행의 한 방법인 기도를 불교는 ‘단순히 복을 비는 것’으로 잘못하고 있다는 자성론에서 나온 말이다. 이 말이 자성론이다 보니 자연이 거기에 대응하는 말로서 작복(作福), 즉 보시 등을 통한 복을 짓는 불교를 해야 한다는 논의가 활발하게 일어났다. 그러나 기복이든 작복이든 기도(祈禱)라는 종교행위의 큰 틀에서 벗어나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렇다면 반야바라밀을 주창하고 있는 반야경의 입장은 어떠할까? 『금강경』에는 “무릇 있는바 상(相)은 다 이것이 허망하니, 만약 모든 상이 상 아님을 보면 바로 여래를 보리라.” 수보리가 부처님께 말씀드렸다. “세존이시여, 어떤 중생이 이와 같은 말씀의 글귀를 듣고서 자못 실다운 믿음을 낼 자가 있겠습니까?”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그런 말을 하지 말아라. 여래가 멸도에 든 뒤 후 오 백세에 이르러 계를 가지고 복을 닦는 자(持戒修福者)가 있어서 능히 이 글귀에 신심을 내며 이로써 실다움을 삼으리라.”라는 부처님과 수보리의 대화가 있다.
부처님께서는 기복이나 작복이 아닌 수복(修福)이라는 말씀을 하고 있다. 즉 ‘계를 가지고 복을 닦는 자가 능히 이 글귀에 신심을 내며 이로써 실다움을 삼는다.’라고 설하고 계신다. 그렇다면 경에서 설하고 있는 계는 무엇이고, 신심을 내고 실다움으로 삼는 글귀가 무엇일까? 부처님 멸도 뒤 2500년 경, 즉 우리들이 살고 있는 지금 이 시간에 마하반야바라밀에 신심을 내고 실다움으로 삼고 있는 글귀는 경의 말씀과 같지만, 복을 닦는 계란 우리들의 본성이 본래 청정하다는 자성청정계(自性淸淨戒)를 뜻하고 있다. 그 자리가 반야바라밀이고, 내 생명 부처님 무량공덕 생명자리다. 그리고 이 자리는 중생들의 자성공덕 생명이 살아 숨 쉬는 곳이기 때문에 한량없는 복이 화수분처럼 나오는 것이다.
금주의 다짐
밝고 위대한 창조자, 그는 바로 우리의 마음이며 생명이다. 우리의 마음이 전능적인 창조주다. 우리가 자기를 상상한 대로 우리는 이루어 간다. 위대한 인간이라 상상하면 우리는 그렇게 되고 어둡고 불운한 인생이라고 생각하면 불운한 인생이 된다.법회 소식
일요법회 및 대웅전 상량식 식순1부_ 일요법회 및 상량 불공의식
一. 천수경
一. 삼귀의 / 마하반야의 노래
一. 상량 불공의식(거불/예참/정근/축원/반야심경)
一. 포살
一. 청법가
一. 예경 3배
一. 입 정
一. 법 문
一. 축 가
※ 대웅전 이동(스님 / 회장단 / 원로 / 명등 / 일반대중 순)
2부_ 상량식
一. 불사 경과보고
一. 봉행사
一. 격려사
一. 인사말
一. 상량보 올리기(묵서/상량함 봉함/발원문/정근)
一. 공지사항
一. 보현행원
一. 사홍서원
一. 인 사 (마하반야바라밀! 보현행원으로 보리 이루리!)
※ 의식 후 기념품 복주머니 배포합니다.(만불전(3층) 불단 앞)
법회소식
2월 4일(월) 입춘법회, 관음재일 오전 10시 30분 보광당(4층), 법문 : 회주스님
·입재 : 2월 2일(토) ·회향 : 2월 4일(월) ·동참금 : 3만원
2월 6일(수) 호법법회 오전 10시 30분 보광당(4층), 법문 : 혜담스님
설날 합동차례 ·일시 : 2월 10일(일, 음 1.1) 오전 10시 4층 보광당, 5층 대웅전
·동참금 : 친․외가 각 5만원
정초7일기도 ·입재 : 2월 12일(화) ·회향 : 2월 18일(월) ·동참금 : 3만원
정월조상천도기도 및 합동천도재 봉행
·입재 : 2월 12일(화) ·회향 : 2월 24일(일) ·동참금 : 친․외가 각 5만원
※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영가 물품 구입 및 문의 : 반야원(☏ 419-3344)
반야심경 사경불사 : 1인 동참 35,000원
※ 반야심경 사경 용지는 신축 불광법당에 모셔지는 부처님의 복장으로 봉안됩니다.
강남지역사암연합회와 함께하는‘ 자비의 쌀 ’나누기
·배포 : 자비의 반찬 가구, 송파구 거주 독거노인
·동참 : 20Kg 쌀 1포 5만원, 현물 올리기 ·동참 및 헌공금 납부 : 종무소(☏ 413-6060)
불광교육원 일정 - 문의 : 불광교육원(☏ 417-2551)
·2012학년도 대학․대학원 졸업식 : 2월 17일(일) 오후 2시 4층 보광당
·불교 기본교육생 모집 (3개월)
․ 시간 : 아침반(월요일 오전 10시) / 저녁반(월요일 오후 7:30)
토요반(토요일 오후 3시)
․ 개강 : 월요반 3월 11일(월) / 토요반 3월 9일(토) ․ 동참금 : 5만원
·2557(2013)학년도 불교대학ㆍ대학원 신입생 모집
․ 모집반 : 대학 - 아침반(화요일 오전 10시) / 저녁반(화요일 오후 7:30)
대학원 - 아침반(화요일 오전 10시) / 저녁반(화요일 오후 7:30)
․ 모집기간 : 1월 7일(월) ~ 2월 12일(화) ․ 개강 : 3월 5일(화)
구법회 법등소식
·송파24구 1법등 모임이 진행 되었습니다.
자원봉사소개 : 1/28~2/3 송파13구 2/4~2/10 송파14구․송파18구 2/11~2/17 송파15구
2/18~2/21 송파16구 2/22~2/24 송파19구
왕생극락을 기원합니다
·1월 29일 광진구 무학법등 진여심(강임순) 보살의 시모 별세
※ 위 한 분이 세상 인연이 다하여 이 땅을 하직하셨습니다.
다음주(2/10)법회안내 : 설 합동차례로 진행됩니다. 법우형제분들의 많은 동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