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4월 셋째주 일요법회 > 법회보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2013년 4월 셋째주 일요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13.05.04 조회4,818회 댓글0건

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혜담스님

반야바라밀 염송으로 오분법신 (五分法身)을 성취한다
불교는 종교적인 특수 계층의 사상이나 철학이 아니라 인간 생명을 키우는 가르침이다. 불법은 동물적으로 야심을 충족하고 서로 대립하고 갈등하고 극복해서 얻어지는 성공을 기쁨으로 삼는 인간이 아니라, 한 사람 한 사람이 진실을 완성하여 서로가 따뜻하게 손잡고 기뻐하고 성장하는 이러한 인간의 완성을 추구한다. 그런데 이 인간의 완성은 개인 한 사람 한 사람의 힘만 가지고는 어렵다. 이 사회의 제도가 한 사람 한 사람을 키울 수 있는 제도로 바뀌어야 한다. 이 세상은 인간을 억압하고 ‘인간은 물질이다. 인간은 육체적 존재다. 인간은 동물이다.’라고 하면서 인간을 그릇되고 타락한 사상으로 집어넣고 그것에 복종하도록 가르치는 것이 가득 물결치고 있는데, 그 속에 사는 사람들이 어떻게 자기 혼자 가슴에 진리의 등불을 안고 지키고 살 수 있겠는가?

이렇게 인간의 완성을 추구하는 불교는 그것의 성취를 위해서 오분법신(五分法身)을 닦으라고 가르치고 있는데,『대품반야경』「존도품 제 36」에는 “교시가야, 선남자·선여인이 반야바라밀을 받아 지니고 내지 바르게 사유하여 일체지의 마음을 여의지 않으면 한량없는 계라는 덕목(戒衆)을 성취하고, 한량없는 선정이라는 덕목(定衆)·지혜라는 덕목(慧衆)·해탈이라는 덕목(解脫衆)·해탈지견이라는 덕목(解脫知見衆)을 성취한다. 또한 교시가야, 이 선남자·선여인 반야바라밀을 받아 지니고, 내지 바르게 사유하여 일체지의 마음을 여의지 않으면, 이 사람은 부처님과 같이 된다고 마땅히 알아야 한다.”고 설하고 있다.

경에서는 반야바라밀 염송이 ‘오분법신을 성취하게 하고, 이러한 이유에서 그 사람이 바로 부처님’이라 설하고 있다. 그렇다면 오분법신이란 무엇인가? 첫째는 계라는 덕목인데, 계의 근본이 우리의 본성(本性)이다. 우리의 본성이 부처님 성품이고, 부처님 성품인 우리의 본성을 지키고 본성대로 행동하자는 것이 계다. 따라서 내 생명의 진실, 내 생명에 깃들어 있는 불성, 내 마음 깊이 깃들어 있는 원래부터 근본적으로 있는 불심이 계다. 둘째는 선정이라는 덕목이다. 선정은 마음이 고요한 것, 마음의 평화, 마음의 안정을 말한다. 불자들은 정을 잘 닦아야 하는데, 어떻게 닦는가 하면 바라밀염송으로 닦아야 한다. 셋째는 지혜라는 덕목인데, 현상에 집착하지 아니하고 진리 원 모습 그대로 부처님의 광명이 충만한, 부처님의 은혜가 충만한, 대자비 위신력이 충만한 그런 진리 실상에서 부동한 것이다. 다음의 해탈이라는 덕목은 마음에 반연하는 바가 없이 선도 생각하지 않고 악도 생각하지 아니하여 자재 무애한 것이고, 다섯째는 해탈지견이라는 덕목인데, 스스로의 마음에 이미 반연하는 바가 없다 하더라도 공에 잠겨 고요를 지켜서는 아니 되고, 빛을 화하여 사물을 접하되 나도 없고 너도 없는 참 성품에 변함이 없는 것이다.

금주의 다짐

마음에 안드는 사람이 있더라도 내 뜻대로 그 사람을 바꾸려 하지마라. 그 사람도 스스로 인격의 권위를 갖고 있다. 내가 바뀌어야 상대방도 바뀐다. 착한 사람으로 보고 그를 축복해 주라. 인내성 있게 꾸준히 축복해 주라. 남의 잘못을 따지지 마라. 남의 언행만을 보고 판단하지 마라. 그도 불자, 만덕을 갖추었다. 그를 찬탄하고 그의 만덕을 축복해 주자.

법회 소식

오늘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
1. 봉축 율동발표 - 법문 이후 계층법회의 율동발표가 있습니다.
2. 생태길라잡이 - 오후 1시 ~ 3시 전륜당(2층), 석촌호수 일대
※ 참석한 학생들에게는 자원봉사 인증을 해드립니다.
3. 신축 불광법당 답사 - 오후 1시까지, 신축법당 만불전(3층)에서 출발


4월 27일(토) 지장재일 오전 10시 보광당(4층)
4월 27일(토) 중창불사원만성취 1080배 정진 저녁 7시 보광당(4층)
부처님오신날 연등모연 종무소에서 부처님오신날 연등모연합니다. 많은 동참 바랍니다.


봉축행사 관련 후원 접수 중
․ 부처님오신날 대중공양 떡, 생수, 공양미 등 공양물 후원을 받고 있습니다.
․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2013년 봉축 공지사항 “세상에 희망을 마음에 행복을”
․ 연등축제 : 5월 11일(토) 오후 동국대/종로거리
‣ 오후 4시 동국대(불광버스 오후 2시 30분 출발합니다) / 오후 6시 종로거리
‣ 연등축제는 토요일에 진행됩니다. 불광 형제여러분들의 많은 동참바랍니다.
․ 행렬등 만들기 : 도림한의원 지하 1층에서 진행되고 있습니다.
- 법우형제 여러분의 가정마다 등을 만들어, 연등행렬에 동참합시다.
․ 불기 2557년 부처님오신날
‣ 봉축법요식 : 5월 17일(금) 오전 10시 30분, 신축 불광법당
‣ 봉축문화한마당 : 오후 5시, 석촌호수 서울놀이마당
‘ 자비의 선물’ 나누기 접수 안내
․ 접수 마감 : 4월 21일(일, 오늘)까지 ․ 접수 : 법회사무국(☏ 413-0309)
※ 접수에 맞춰 자비의 선물을 준비합니다. 마감 이후 신청시 자비의 선물 전달이 불가함을 알려드립니다. 미리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자비의 선물 포장 : 4월 28일(일) 일요법회 후 대륜당(3층)에서 진행됩니다. 포장행사에 불광 형제 여러분들의 많은 동참 바랍니다.


보광당 부처님 복장 봉안불사
신축 불광법당 보광당에 부처님이 모셔집니다. 예로부터 부처님 복장에는 오보, 오약, 오곡, 오색실 등을 넣은 복장통(후령통)과 경전, 발원문, 사경 등을 봉안해 왔습니다.
불광사에서는 복장함, 경전(고서), 연꽃, 반야심경 사경 등이 복장으로 봉안되오니, 이 소중한 인연에 동참하시어 발원을 이루시기 바랍니다.
【모연품】 ‣ 부처님 : 700만원 ‣ 경전(고서) : 100만원 ‣ 복장통 : 50만원
‣ 연꽃 : 30만원 ‣ 개금불사 : 현물, 1돈에 25만원 ‣ 반야심경 사경 : 35,000원
․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 보광당 부처님 복장물 전시 중 : 종무소(2층)에 ‘보광당 부처님 복장물’이 전시 되어 있습니다. 많은 관람과 불사에 수희 동참하시기 바랍니다.
※ 부처님 복장용 반야심경 사경불사는 계속 진행 중입니다. 아직 동참하지 못하신 분들의 많은 동참을 바랍니다.


불광사 초기불전 공부모임
·모임 : 매주 수요일 오후 7시 30분 ·장소 : 전륜당(2층)
·문의 : 연오안(☏ 010-2745-1869)

불광생태길라잡이 정기 활동
·일시 : 매월 셋째주 일요일 오후 1시 ~ 3시 ·장소 : 불광사, 석촌호수 일대
·문의 : 팀장 묘음 017-574-5560 ※ 참석한 학생들에게는 자원봉사 인증을 해드립니다.

새법우(신도) 안내
·교육원 2층 종무소 앞에서 ‘새법우(신도) 안내’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불광사·불광법회를 처음 오신 법우님은 새법우 안내 데스크에서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야원 특판행사 안내
·침향은 옛날부터 방충, 방부효과가 있어 사리함에 반드시 넣는 귀한 약재입니다. 침향 으로 만든 합장주, 염주, 침향차 등을 교육원 입구에서 할인판매 합니다.
·안성 불광원에서 말린 태양초 고춧가루(500g, 20,000원)와 천연염색 면마스크, 목도리, 내의 등도 들어와 있습니다.

구법회 법등소식
·송파22구 4․6법등, 송파25구 2법등, 송파29구 1․3법등에서 모임이 진행 되었습니다.
<다음주 구모임>
․ 송파4구 3법등, 송파13구 5법등, 송파21구 1법등, 송파22구 5법등, 송파25구 1․3법등, 송파27구 3법등에서 모임이 있을 예정입니다.

자원봉사소개 : 4/15~4/21 송파27구 4/22~4/28 송파29구․강남구
4/29~5/5 강동3구․강동6구․도봉구 5/6~5/12 강동2구 5/13~5/19 강동1구․관악구․동작구

왕생극락을 기원합니다
·4월 4일 강동2구 선학 자심행 보살의 부친 별세
※ 위 한 분이 세상 인연이 다하여 이 땅을 하직하셨습니다.

다음주(4/28)법회안내 : 윤원철교수의 법문이 있습니다. 법우형제분들의 많은 동참을 바랍니다.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