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7월 첫째주 일요법회 > 법회보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2013년 7월 첫째주 일요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13.07.08 조회4,780회 댓글0건

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지홍스님

공감능력과 보살심
보살은 슬픔과 가난으로 힘들어하는 자를 보고도 도와줄 재물이 없을 때는 슬퍼하고 고통 받는 사람을 보고는 눈물을 흘린다. 괴로워하는 사람을 보고도 함께 아파하는 마음이 없다면 어찌 수행하는 사람이라 할 수 있겠는가? - 대장부론 -

일본 교토대학에서 생후 10개월 아기들에게 다음과 같은 내용의 만화영상을 보여주고 아기들의 공감능력에 대한 실험을 했다. ‘파란 동그라미가 노란 네모를 쫓아다니며 성가시게 군다. 툭툭 치고 몸으로 눌러 찌부러뜨리기도 한다.’ 말을 배우기도 전의 어린 아기들은 이런 장면을 보고 나서 장난감을 선택하게 되었는데, 괴롭히는 동그라미보다 당하기만 했던 네모를 선호했다. 이 실험을 주도한 연구자들은 생후 10개월 아기들도 남을 생각하는 공감 감정을 지닌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아직 자아형성도 되지 않은 아기들이 상대방의 아픔을 읽고 약자에게 더 측은한 마음을 일으킨 것이다.

공감능력은 자신이 직접 경험하지 않아도 타인의 경험과 감정을 나누고 느낄 수 있는 뇌의 작용이다. 인간의 전두엽에는 타인과 공감할 수 있는 거울뉴런이 설계되어 있는데 이를 통해 외부 상황과 행동에 반응을 보이게 된다. 이 거울뉴런은 습관적으로 계속 사용해야 그 기능이 퇴화되지 않는다고 한다.

공감능력을 갖추기 위해 가장 우선되어야 하는 것은 다른 사람의 마음을 이해하는 것이다. 그런데 국내 한 대학(이화여대)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친구들을 때리거나 위협하는 청소년들도 마음읽기 능력이 뛰어난 것으로 조사되었다고 한다. 폭력적인 성향의 아이들은 상대방의 마음은 잘 읽지만 그 상대가 얼마나 괴로울지는 공감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결국 단순히 상대방의 마음을 읽는 것을 넘어서서 진심으로 상대방의 입장이 되었을 때 진정한 공감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현대 사회에서 사람들의 공감 능력은 점점 떨어지고 있다고 한다.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아이들은 부모에게 자신이 느끼는 감정에 대해 위로받거나 칭찬 받아 본 경험이 줄어들고, 상대방을 경쟁자로만 생각하는 사회 분위기로 인해 타인의 입장에서 생각해 볼 기회를 잃어가는 것이다. 남의 아픔이나 기분을 느끼지 못하는 공감의 부재는 집단 따돌림이나 폭력, 관계 단절 등 다양한 사회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어떤 사람이 다리를 다쳐 기브스를 하고 나타났다. 만나는 사람마다 어쩌다가 다쳤냐며 다친 이유를 궁금해 했다. 딱 한 사람만이 이렇게 대답했다. “아유, 얼마나 아프셨어요, 괜찮으세요?” 이 여성만이 다친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한 것이다. 유마거사는 ‘중생이 아프니 나도 아프다. 일체 중생의 병이 없어진다면 내 병도 없어질 것이다’라고 하셨다. 보살은 누구보다 공감능력이 뛰어나신 분이다. 그래서 중생의 아픔을 본인의 아픔처럼 느끼고 어루만져 주시는 것이다.

우리 역시 그런 보살의 모습을 닮아가고자 노력해야 한다. 가깝게는 남편이나 아내의 입장에서, 또는 자녀의 입장에 서서 상대방을 이해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이웃의 기쁨과 아픔을 함께 하고, 어려운 이들에게 도움의 손길을 내밀 수 있어야 한다. 우리가 선천적으로 가지고 있는 공감능력을 계속 사용하면서 서로를 이해하려는 노력을 지속한다면 지금보다 더 맑고 건강한 사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금주의 다짐

“나는 유능하다. 친절하고 건강하고 만사가 잘 돼간다”고 말해보라. 하루 몇 번씩이고 눈을 감고 반복해 보라. 여기서 진리가 발동한다. 끈기 있게 계속할 때 진리의 햇살이 밝아옴을 환희 알게 된다. 행운을 이렇게 만드는 것이다.

법회 소식

오늘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
1. 명등회의 - 교육원 2층, 오후 1시 15분 ~

7월 8일(월) 초하루법회 오전 10시 30분 보광당(4층), 법문 : 회주스님
7월 10일(수) 백중1재 오전 10시 보광당(4층), 시식 진행됩니다.
※ 백중을 맞이하여 떡, 과일 공양을 받습니다.


백중 49일 기도 안내 ·기도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회향 : 8월 21일(수, 음 7/15)
① 음력 7월 15일은 백중(우란분재)입니다.
② 기도시간 : 새벽 4:30 대웅전 ․ 사시 10:30 보광당 ․ 저녁 18:30 대웅전
③ 시식일 : 초재 7/10, 2재 7/17, 3재 7/24, 4재 7/31, 5재 8/7, 6재 8/14, 회향 8/21
④ 동참 : 친․외가 구분 각 5만원(과일, 떡 현물보시 받습니다.)
백중 맞이‘부모은중경’사경 수행
·수행동참 : 1만원(축원) ·접수 및 문의 : 법회사무국(☏ 413-0309)


학업성취 100일 기도
․ 입재 : 7월 30일(화) 오전 10시 30분 보광당(4층)
․ 2014년 대입수능시험을 맞이하여 수험생 불자를 위한 학업성취 100일 기도를 봉행합니다. ․ 동참금 : 100,000원 ․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계층법회 여름 수련회
1. 연꽃 어린이 여름수련회 ‘處染常淨(처염상정) 더러움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 기간 : 8월 1일(목) ~ 4일(일) ․ 장소 : 강원도 횡성 대각정사 ․ 참가비: 7만원
․ 대상 : 초등학생 40명(7세부터~초등학생) 입금 선착순 마감
․ 접수 및 문의 : 주임교사 010-4173-1044
2. 목련싣달 청소년 여름수련회 ‘하계 횃불 정진대회’
․ 기간 : 8월 7일(수) ~ 10일(토) ․ 장소 : 강원도 횡성 대각정사 ․ 참가비 : 65,000원
․ 대상 : 중․고등학생 40명 ․ 접수 및 문의 : 주임교사 010-3282-4535
3. 금강 청년법회 하계 템플스테이 ‘경전속으로 참 나를 찾아!’
․ 기간 : 7월 20일(토) ~ 21일(일) ․ 장소 : 강원도 횡성 대각정사 ․ 참가비 : 3만원
․ 대상 : 20세이상 대학생, 직장인, 청년 30명 선착순 마감 ․ 문의 : 청년법회 010-2494-2317



불광아카데미 여름강좌 안내 - 접수 및 문의 : 불광교육원(☏ 417-2551)
1. 범준스님의 원각경 강의(8주)
․ 개 강 : 7월 4일(목) 매주 목요일
․ 시 간 : 아침반(오전 10시) / 저녁반(오후 7시 30분) ․ 동참금 : 6만원
2. 천수경 반야심경(8주)
․ 개 강 : 7월 4일(목) ․ 강사 : 여공스님
․ 시 간 : 아침반(오전 10시), 저녁반(오후 7시 30분)
․ 동참금 : 5만원(교재비 포함)
3. 의식집전교육(3주)
․ 개 강 : 7월 8일(월) 매주 월요일 ․ 시 간 : 오후 2시 ․ 강사 : 본공스님
․ 동참금 : 15,000원(교재비 포함) ․ 준비물 : 목탁(개별)
※ 신규 임원으로 부촉 받으신 분들은 의식집전 교육을 필히 이수하시기 바랍니다.


구법회 법등소식
·송파28구 1법등에서 모임이 진행 되었습니다.
<다음주 구모임> ·송파13구 5법등, 송파22구 임원․3․4법등, 송파27구 임원, 송파29구 임원․1․2․3법등에서 모임이 있을 예정입니다.

자원봉사소개 : 7/1~7/7 송파1구․송파2구 7/8~7/14 송파3구 7/15~7/21 송파4구
7/22~7/28 송파5구․송파12구 7/29~8/4 송파7구․송파8구

부 촉

강동3구
재무보살 수혜심 이정화
대원2구 5법등
마하보살 성 암 추은호
보현구
명등보살 은 경 정인자
송파2구
명등보살 행원성 성정희
총무보살 보현조 하순달
재무보살 만법심 김현옥
교무보살 자혜심 태명수
송파2구 1법등
마하보살 명심원 차미경
송파2구 2법등
마하보살 본묘주 이은옥
반야보살 묘광혜 마양순
송파2구 4법등
마하보살 진여정 이문열
바라밀보살 지 명 윤향란
송파3구 7법등
반야보살 대길상 이영자
송파22구 2법등
마하보살 반야신 김진화
송파27구
명등보살 감로행 이재숙
총무보살 천상화 이택분
교무보살 본성해 임영숙
재무보살 관음성 홍요원
송파27구 2법등
마하보살 본 안 유순주
반야보살 원명성 최소희
바라밀보살 천정행 길광희
보리보살 금강심 민영애
송파28구 1법등
보리보살 보현심 이숙자
송파28구 2법등
마하보살 본무생 임난희
반야보살 여진성 노영분
바라밀보살 선법심 나경래
보리보살 원묘행 이효숙
목련싣달 학생법회
지도교사 성 일 김 욱


축하합니다
·강동2구 빈성실 거사 부회장 자심행(정주현) 보살의 장남 운철군과 대원2구 3법등 법명(장대길) 거사 광진2구 선학 상명심(김민순) 보살의 장녀 은영양이 7월 13일(토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