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2569(2025). 3. 7.(금) 출가재일법회 > 법회보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불기2569(2025). 3. 7.(금) 출가재일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25.03.07 조회1,072회 댓글0건

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구담스님(불광사 총무)

출가정신에서 불사의 정신으로
출가를 구도와 수행의 발심이라고 할 때, 불사(佛事)는 불교를 향한 끝없는 애정과 회향의 정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 출가의 시작이 큰 발심이라면, 불사의 시작 또한 부처님을 향한 큰 서원입니다.

오늘은 익숙한 스님들의 출가가 아닌, 불자라면 누구나 가슴에 품고 있는 출가의 정신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우리 불제자들은 출가정신을 통해 큰 발심을 이루었고, 불사를 통해 불교의 혁신을 이루어왔으며, 모든 불교의 발전은 불사를 통해서 성취되었습니다.


불자의 삶은, 출가라는 구도의 마음, 수행의 마음에서 시작해서, 정신이든 물질이든, 불교를 장엄하는 불사로 이루어지고 귀결됩니다. 수행의 발심인 출가의 정신에서, 내가 부처가 되는 일과 부처님 가르침을 널리 알리는 불사는 당연한 수순일 것입니다.


불사는 불교사 전체를 통해 지속되어 왔습니다. 부처님 당시 최초의 승원과 사찰은 급고독장자가 기증한 기원정사와 마가다국의 빔비사라왕이 보시한 죽림정사로, 이때의 불사 목적은 부처님을 비롯한 수행자들의 수행 공간을 위한 공양입니다. 그리고 부처님 입멸 후에 부처님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은 가장 중요한 신앙 대상이면서 불사의 기준이었습니다. 이러한 불탑 건립이 주요한 불사가 된 것은 무한한 공덕을 쌓을 수 있다는 공덕 사상과 탑을 도는 수행으로 성취를 이룰 수 있다는 믿음이 견고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 『삼국유사』, 『세종실록』에도 ‘佛事’라는 말이 상당수 기록되어 있고 이러한 옛 문헌에서의 불사의 의미는 불교를 수호하는 일이며 불교의 중흥 운동처럼 해석의 범위가 지금보다도 더 넓습니다.

조선 건국 초부터 숭유억불로 인해 사찰의 형편은 피폐해지고, 스님들은 절을 떠나게 등 마치 풍전등화처럼 어려운 시기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시대 불교가 강한 생명력으로 꾸준한 내적 발전을 이루어 오게 된 그 원동력은 무엇일까요?

대표적으로 불교의 사찰계를 말할 수 있습니다. 사찰계란, 사찰을 중흥하기 위해 결성된 모든 모임이나 조직체로, 불교신앙을 바탕으로 수행과 신앙심을 증진시키는 일을 도모한 수행 결사체였습니다. 특히 염불계는 많은 호응을 받으며 승속을 망라한 대중적 신앙조직으로서 조선 후기 염불 신앙을 선도한 실제 사례입니다.

마찬가지로 불광사 광덕 큰스님도 호법계에 대한 말씀을 하셨습니다. 1950년대 마산에서 가셨을 때, 성철스님 모시고 호법계 모임을 하던 불자들을 보았으며, 당시 마산에 많은 불사들의 모체가 바로 호법계였음을 강조하셨습니다. 당시 호법계는 불사의 등불이었던 셈입니다.

출가재일을 맞아, 출가 정신으로 새겨진 불사가 필요함을 말씀드렸습니다. 출가정신에는 무한책임이 따르듯이, 자신의 삶을 위한 중창불사, 부처의 삶을 위한 중창불사라는 마음으로 간절히 기도해야 하겠습니다. 마하반야바라밀.

1. 연기적 세계관의 불사
2. 동체대비의 불사
3. 절제의 아름다움이 있는 불사

법회 소식

3월 둘째주 토요법회(스님의 날)
·일시: 3월 8일(토)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원영스님(청룡암 주지)

열반재일법회
·일시: 3월 14일(금)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지도법사 동민스님

<출가·열반재일 특별정진주간>
·일시: 3월 8일(토) ~ 3월 13일(목) 사시기도
·식순: 천수경, 상단불공, 축원, 출가열반재일 정진기도 발원문,반야심경, 금강경, 참선

<스님의 날> 승보공양 안내
·부처님 법을 지키고 널리 전하는 승가에 대한 공양은 무량한 공덕이 있습니다.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부처님오신날 연등 모연 안내
·접수처에서 부처님오신날 연등 모연을 받습니다. 난다가 부처님께 등불 공양을 올렸듯이 희망과 지혜의 등불을 밝히시어 무량한 공덕을 지으시기 바랍니다.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학업성취 일년기도 안내
·입재: 3월 1일(토) ~ 회향: 2026년 2월 28일(토)
·동참금: 30만원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불광사 일주문 단청불사 모연
·불광사 일주문(남쪽/동쪽)을 아름다운 빛깔로 장엄하는 단청불사를 모연하오니 많은 동참 바랍니다.
·불사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불광교육원 강좌 안내>
1. 정규 강좌 | 시 간 | 개강 일시 | 동참금
- 불교기본교육(16주) | 주간반 | 3/6(목) 오후 2시 | 10만원
- 불교기본교육(16주) | 야간반 | 3/6(목) 오후 7시 | 10만원
- 불광불교대학(1년 2학기) | 주간반 | 3/4(화) 오후 2시 | 학기당 30만원
- 불광불교대학(1년 2학기) | 야간반 | 3/4(화) 오후 7시 | 학기당 30만원

2. 불광아카데미
- 선명상 공부 | 3/10(월) 오후 7시 | 총무 구담스님 | 10만원
- 수심결(주간반) | 3/7(금) 오후 2시 | 교무 휴담스님 | 10만원
- 수심결(야간반) | 3/7(금) 오후 7시 | 교무 휴담스님 | 10만원
- 금강경 사경(주간반) | 3/5(수) 오후 2시 | 주지 동명스님 | 10만원
- 금강경 사경(야간반) | 3/5(수) 오후 7시 | 주지 동명스님 | 10만원
- 티베탄 싱잉볼 체험명상 | 3/10(월) 오후 1시 30분 | 재마스님 | 10만원
- 불화반 | 3/7(금) 오후 2시 | 이혜원 | 30만원
※불광교육원 02-417-2551 / 접수처 02-413-6060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