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2569(2025). 3. 5.(수) 호법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25.03.05 조회1,042회 댓글0건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동명스님(불광사 주지)사부대중의 허물을 말하지 말자
“호법은 부처님의 법문을 배워서 닦는 사람들의 마지막 수행이다. 다른 수행들은 자기완성과 자기성장이 목표라는 생각이 깔려 있다. 하지만 호법은 불법이 곧 자기이고 자기가 곧 불법의 경지에 이르는 수행이다. 어떠한 차별도, 아상(我相)도 없다. 자기완성은 호법을 통해서 이루어야 한다. 다른 이의 허물을 말하기보다 착한 일, 덕스러운 일, 아름다운 일을 하는 것 역시 호법이다. 보살계의 10중대계(重大戒)와 48경계(輕戒)를 합친 58계 가운데에서도 호법이 핵심이며 중요한 위치에 있다.”(『광덕스님 법어록』, 불광출판사, 2024, 141쪽)
보살계의 10중대계 중 호법과 직접 관련된 계는 6계 “사부대중의 허물을 말하지 말라”와 10계 “삼보를 비방하지 말라” 등이며, 보살계의 48경계 중 호법과 직접 관련된 계는 24계 “대중의 화합에 힘쓰고 삼보의 물건을 잘 수호할지어다”, 47계 “옳지 못한 법으로 사부대중을 제재하지 말라”, 48계 “불법을 파괴하지 말라” 등입니다.
첫째, 사부대중의 허물을 말해서는 안 됩니다. 문제가 있을 경우 대중공사를 통해서 참회하도록 하거나 계율에 따라 처벌할 수는 있지만, 허물을 외부에 알리는 것은 파법행위입니다.
둘째, 삼보를 비방해서는 안 됩니다. 숩빠뿟다는 싯닷타의 세속 인연으로 외삼촌이자 고모부였으며 장인어른이기도 했습니다. 숩빠붓다로서는 싯닷타가 자신의 딸을 두고 출가한 것이 늘 못마땅했지요. 데와닷따가 부처님께 반기를 들자 그때부터는 노골적으로 부처님을 비방하다가 결국 산 채로 지옥에 빠지고 맙니다. “하늘 위 바닷속도 아니요,/ 깊은 산 동굴 속도 아니다./ 덮쳐오는 죽음을 피할 곳은/ 그 어디에도 없다.”(『법구경』 128송)
셋째, 대중의 화합에 힘쓰고 삼보의 물건을 잘 수호해야 합니다. 이 계와 관련해서는 제가 삼보정재를 온전하게 지키지 못하고 있음을 깊이 참회합니다. 앞으로 삼보정재를 잘 지킬 수 있는 방안을 철저히 연구하여 완전하게 보존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넷째, 옳지 못한 법으로 사부대중에게 제재를 가해서는 안 됩니다. 불자인 국왕이나 왕자나 관리나 제자들은 부처님 법과 계율을 파괴할 생각으로 법을 이용하여 사부대중을 제재해서는 안 됩니다. 부처님은 “속인은 높은 자리에 앉게 하고. 비구를 땅에 서 있게 하는 등 병졸이나 종처럼 다루어서는 안 된다”(『범망경 보살계본』)라고 말씀하십니다.
다섯째, 불법을 파괴해서는 안 됩니다. 부처님께서는 “불자로서 좋은 마음으로 출가하고서도 명예와 이익 때문에 국왕과 관리들 앞에서 부처님 계를 설하면서 방자하게도 비구 비구니와 보살계 받은 제자들을 구속하고 징계하며, 감옥에 죄인 가두듯 하고 병졸과 종 다루듯 하면, 이것은 마치 사자의 몸에서 생긴 벌레가 사자의 살을 침식하는 것과 같아서 불제자 자신이 불법을 파괴하는 것이 된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혹자는 스님들만 청정하면 된다고 주장합니다. 스님들의 입장에서는 그렇게 생각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재가불자들이 그와 같은 주장을 해서는 안 됩니다. 심각한 경우 승가에 문제를 제기할 수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도 가급적이면 승가에서 자체적으로 해결하도록 해야 합니다.
앙굴리말라의 경우를 생각해보십시오. 앙굴리말라가 99명의 사람을 죽인 살인마이지만, 승가에 출가한 이상 빠세나디 왕은 앙굴리말라를 체포하기 위해 기원정사에 왔으면서도 그를 부처님께 맡기고 떠납니다.
불광의 일부 불자들이 과도하게 행동하는 것은 불광을 너무도 사랑하기 때문일 수 있지만, 부처님과 큰스님의 가르침을 어기면서 자신들이 호법행위를 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대목은 분명하게 참회해야 합니다.
지금 불광형제에게 필요한 호법행위는 첫째, 매주 불광사의 각종 법회에 열심히 동참하는 것, 둘째, 매일 불광사의 기도에 함께하는 것, 셋째, 불광교육원의 교육에 적극 동참하는 것, 넷째, 불광의 호법활동 및 봉사활동에 동참하는 것, 다섯째, 부처님의 가르침과 큰스님 사상을 널리 전하는 것 등입니다. 마하반야바라밀!
백련암은 흰 구름 가에 있어/ 반은 인간계요 반은 천상계라/ 진계에는 거마(車馬) 소리 들리지 않으니/ 세상 사람이 어떻게 시비 소리 전하랴
白蓮庵在白雲邊 半是人間半是天 眞界未聞車馬響 世人那得是非傳
-괄허취여(括虛取如, 1720-1789), 「백련암(白蓮庵)」
법회 소식
출가재일법회·일시: 3월 7일(금)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총무 구담스님
3월 둘째주 토요법회(스님의 날)
·일시: 3월 8일(토)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원영스님(청룡암 주지)
열반재일법회
·일시: 3월 14일(금)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지도법사 동민스님
<출가·열반재일 특별정진주간>
·일시: 3월 8일(토) ~ 3월 13일(목) 사시기도
·식순: 천수경, 상단불공, 축원, 출가열반재일 정진기도 발원문,반야심경, 금강경, 참선
출가재일(스님의 날) 승보공양 안내
·부처님 법을 지키고 널리 전하는 승가에 대한 공양은 무량한 공덕이 있습니다.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스님의 날 <승보공양> 행사: 3월 8일(토) 토요법회 중 봉행
부처님오신날 연등 모연 안내
·접수처에서 부처님오신날 연등 모연을 받습니다. 난다가 부처님께 등불 공양을 올렸듯이 희망과 지혜의 등불을 밝히시어 무량한 공덕을 지으시기 바랍니다.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학업성취 일년기도 안내
·입재: 3월 1일(토) ~ 회향: 2026년 2월 28일(토)
·동참금: 30만원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불광사 일주문 단청불사 모연
·불광사 일주문(남쪽/동쪽)을 아름다운 빛깔로 장엄하는 단청불사를 모연하오니 많은 동참 바랍니다.
·불사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불광교육원 강좌 안내>
1. 정규 강좌 | 시 간 | 개강 일시 | 동참금
- 불교기본교육(16주) | 주간반 | 3/6(목) 오후 2시 | 10만원
- 불교기본교육(16주) | 야간반 | 3/6(목) 오후 7시 | 10만원
- 불광불교대학(1년 2학기) | 주간반 | 3/4(화) 오후 2시 | 학기당 30만원
- 불광불교대학(1년 2학기) | 야간반 | 3/4(화) 오후 7시 | 학기당 30만원
2. 불광아카데미
- 선명상 공부 | 3/10(월) 오후 7시 | 총무 구담스님 | 10만원
- 수심결(주간반) | 3/7(금) 오후 2시 | 교무 휴담스님 | 10만원
- 수심결(야간반) | 3/7(금) 오후 7시 | 교무 휴담스님 | 10만원
- 금강경 사경(주간반) | 3/5(수) 오후 2시 | 주지 동명스님 | 10만원
- 금강경 사경(야간반) | 3/5(수) 오후 7시 | 주지 동명스님 | 10만원
- 티베탄 싱잉볼 체험명상 | 3/10(월) 오후 1시 30분 | 재마스님 | 10만원
- 불화반 | 3/7(금) 오후 2시 | 이혜원 | 30만원
※불광교육원 02-417-2551 / 접수처 02-413-6060
불광사 유튜브채널 <대한불교조계종 불광사>
·www.youtube.com/@bulkwangsa1974 (유튜브에서‘불광사’검색)
·스마트폰 카메라로 오른쪽 QR코드를 스캔하세요!! 불광사 홈페이지및 SNS(밴드,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 QR코드 링크: linktr.ee/bulkwang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