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2569(2025). 3. 1.(토) 토요·포살법회 > 법회보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불기2569(2025). 3. 1.(토) 토요·포살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25.03.01 조회1,126회 댓글0건

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동명스님(불광사 주지)

맨몸으로 꽃을 피우는 봄나무의 마음으로
계는 부처님의 완전한 본래의 본성이자 우리 모두의 청정 본성의 구체적 행동 덕목이다. 청정 본성은 형상이 없지만, 계라는 행동을 통해서 구체성을 가진다. 아무리 청정하다 할지라도 계법에 의지한 청정 덕목과 규합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관념적인 행에 불과하다. 계를 행하면 온갖 뜨거운 번뇌가 말끔히 씻겨나가며, 두려운 현상을 다 없애는 술법과 같아 세상을 해롭게 하는 것들을 제거해준다.
(『광덕스님 법어록』, 불광출판사, 2024, 172쪽)

봄에 꽃을 피우는 나무의 마음을 명상해봅니다. 나무는 어떤 마음으로 이른봄에 꽃을 피울까요? 봄꽃에 대해 명상한 결과 저는 봄나무의 마음이 곧 계를 지키는 것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았고, 더불어 고요함을 유지하고, 자신의 욕망을 비울 줄 아는 지혜와 연결되어 있음을 통찰했습니다.

첫째, 나무는 본성을 찾기 위해 계를 지켰습니다. 나무는 뿌리를 통해 수분을 흡수하려는 본능이 있고, 이파리를 통해 햇빛을 듬뿍 받으려는 본능이 있습니다. 이 본능을 절제하는 것을 저는 계를 지키는 것에 비유합니다. 나무는 유전자와 조건을 조화롭게 하여 종족을 평화롭게 유지하고자 하는 ‘본성’을 지키기 위해 본능을 절제합니다. 불자들이 본능에 넘어가지 않고 계를 지켜서 본성인 불성으로 사는 것과 같습니다.

둘째, 나무는 일념으로 오직 꽃을 피우는 것에만 집중하여 고요한 마음을 유지했습니다. 겨울나무를 한번 보십시오. 어떤 유혹에도 넘어가지 않겠다는 굳은 의지로 눈보라에도 매서운 칼바람에도 끄떡도 하지 않습니다. 일념으로 정진하는 나무를 어느 수행자가 따라가겠습니까.

셋째, 나무는 자기 자신에 대한 집착을 버릴 줄 알았습니다. 지난 봄부터 가을까지 나무는 부지런히 일했습니다. 꽃을 피우고 이파리를 피우고 열매를 맺고, 줄기는 굵게 하고 가지는 최대한 많이 뻗고, 양분을 부지런히 모아서 열매를 탐스럽게 만들었습니다. 그러나 겨울이 되기 전 나무는 그 모든 성과를 버리고 알몸으로 남았습니다. 그리고 자신을 잊는 명상 속에서 겨울잠을 자듯 한 시절을 보낸 것입니다. 그리하여 자신을 버리지 않았으면 이겨내지 못할 겨울을 거뜬히 이기고 봄꽃을 피우고야 말았습니다.

봄꽃을 피우는 나무를 보면서, 자신을 버리고 ‘진정한 자신’이 되는 봄나무의 수행을 통해 계행을 지키는 것의 소중함을 배웁니다. 첫째, 계행을 지키는 것은 곧 청정 본성으로 살기 위한 것입니다. 둘째, 계행을 지키고 일념으로 자신이 하는 일에 집중하는 것이 ‘고요한 생활’을 위한 수행입니다. 셋째, 자신에 대한 집착을 버리고 어떠한 상에도 집착하지 않는 것이 반야바라밀 수행임을 명심합니다. 넷째, 바른 원력을 세웠다면 시절인연을 기다릴 줄 알아야 함을 배웁니다.

선행은 서두르고/ 악행은 억제하라./ 선행을 더디게 하면/ 악행에 즐거워하는 마음이 일어난다. (『법구경』 116송)

마음은 항상 명료하게 입은 함부로 열지 말라
한가한 바보처럼 살다보면 마침내 도를 얻으리니
수행자의 바랑은 송곳을 감추어 끝을 보이지 않아야
이른바 훌륭한 고수로서 진실한 소식(消息) 얻으리
心常了了口常嘿 且作伴癡方始得 師帒藏錐不露尖 是名好手眞消息
-진각혜심(眞覺慧諶, 1178~1234), 「요묵에게(示了嘿)」

금주의 다짐

두려워 말고 흔들리지 말고 앞으로 나아가자. 희망과 용기와 자신을 더하고 성공을 꿈꾸자. 영겁의 생명, 진리의 태양은 지금 우리의 가슴을 뛰고 시시각각 우리의 결단을 기다리고 있다. 원래로 보름달과 같이 원만한 우리 마음인데, 이를 가로막는 것은 감정의 구름덩어리다. 원래로 행복한 우리 인생인데, 불행하게 만든 것은 번뇌 망상이다.

법회 소식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
·금강경 독송: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 / 589일차, 금강경 <상>편 독송
·보현행자의 서원: 제5 참회분 / 『불광법요집』 큰책 111쪽, 작은책 170쪽
·부촉: 지도법사 동민스님, 사찰운영위원, 호법1구, 불광안내팀
·새법우환영법회: 법회를 마친 후, 큰스님기념관(지하 2층)
·거리전법: 새법우환영법회를 마친 후, 석촌역 주변

3월 호법법회
·일시: 3월 5일(수)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주지 동명스님

출가재일법회
·일시: 3월 7일(금)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총무 구담스님

3월 둘째주 토요법회(스님의 날)
·일시: 3월 8일(토)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법문: 원영스님(청룡암 주지)

부처님오신날 연등 모연 안내
·기도접수처에서 부처님오신날 연등 모연을 받습니다. 난다가 부처님께 등불 공양을 올렸듯이 희망과 지혜의 등불을 밝히시어 무량한 공덕을 지으시기 바랍니다.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출가재일(스님의 날) 승보공양 안내
·부처님 법을 지키고 널리 전하는 승가에 대한 공양은 무량한 공덕이 있습니다.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출가재일법회: 3월 7일(금) 오전 10시 30분, 보광당(지하4층)
※스님의 날 <승보공양> 행사: 3월 8일(토) 토요법회 중 봉행

학업성취 일년기도 안내
·입재: 3월 1일(토) ~ 회향: 2026년 2월 28일(토)
·동참금: 30만원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불광사 일주문 단청불사 모연
·불광사 일주문(남쪽/동쪽)을 아름다운 빛깔로 장엄하는 단청불사를 모연하오니 많은 동참 바랍니다.

공양간 노후 시설 교체 불사 모연
·공양간 대형 솥 등 노후한 시설을 교체하고자 하오니 많은 동참 바랍니다.
※불사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불광교육원 강좌 안내>
1. 정규 강좌 | 시 간 | 개강 일시 | 동참금
불교기본교육(16주) | 주간반 | 3/6(목) 오후 2시 | 10만원
불교기본교육(16주) | 야간반 | 3/6(목) 오후 7시 | 10만원
불광불교대학(1년 2학기) | 주간반 | 3/4(화) 오후 2시 | 학기당 30만원
불광불교대학(1년 2학기) | 야간반 | 3/4(화) 오후 7시 | 학기당 30만원

2. 불광아카데미
선명상 공부(3/10 월), 수심결(3/7 금), 금강경 사경(3/5 수),
티베탄 싱잉볼 체험명상(3/10 월), 불화반(3/7 금)
※불광교육원 02-417-2551 / 접수처 02-413-6060

불광사 유튜브채널 <대한불교조계종 불광사>
·www.youtube.com/@bulkwangsa1974 (유튜브에서‘불광사’검색)
·스마트폰 카메라로 오른쪽 QR코드를 스캔하세요!! 불광사 홈페이지및 SNS(밴드, 유튜브, 인스타그램 등)로 이동하실 수 있습니다.
※ QR코드 링크: linktr.ee/bulkwangsa

왕생극락을 기원합니다
·2/23 황정원 보살의 모친 김덕순 영가
·2/23 류영하 거사의 부친 류시성 영가
·2/27 남현정 보살의 모친 양영자 영가

꽃비

<꽃비>
불기2569(2025)년 2월 21일(금) ~ 2월 27일(목)
[1080일기도] 580,000 한진민 | 108,000 신승재 홍시영 | 54,000 권철호 박경철 | 30,000 김문회
[공양간노후시설불사헌공금] 50,000 홍난표
[스님의날헌공금] 50,000 권영팔 김광연 최남숙

불사 봉납 2025년 총액 26,814,000 (2/21 ~ 2/27 합계 6,310,000)
[단청불사] 1,100,000 동명스님 | 500,000 이지숙 | 300,000 안상민 이주희 이호철 | 100,000 이영희 최형옥
[원불봉안] 1,080,000 김유준 동명스님 | 500,000 손희진 | 200,000 손시훈 손자훈 손효민 | 50,000 조선우 조선재 문복란 조대원 | 30,000 박지호 박지환 박성준 | 20,000 이현석 정복례 최봉준

불광장학회 2025년 총액 950,000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