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7월 넷째주 일요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15.07.28 조회4,683회 댓글0건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호진스님종교 쇠퇴의 시대에 불교의 가능성
붓다는 불교를 한마디로 정의해서 ‘괴로움[苦]과 해탈에 대한 가르침’이라고 했다. 붓다의 표현을 빌리면 “나는 단지 괴로움과 괴로움으로부터 해탈하는 것만을 가르친다.”는 것이다. 불교의 모든 교리와 실천 방법은 이 하나의 목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붓다는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괴로움의 원인을 찾아내고 그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 내었다. 그리고 그것을 실천함으로써 목적을 성취할 수 있도록 했다.
경전에 의하면 괴로움의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가운데 가장 직접적인 것은 욕망이다. 욕망 때문에 모든 괴로움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 욕망 역시 발생 원인이 있다. 그것은 ‘내[我]가 존재한다는 생각’이다. 결국 ‘내가 존재한다는 생각’은 괴로움의 근본 원인이다. 그래서 불교는 ‘나[我]란 무엇인가’라는 문제를 규명할 필요가 있게 되었다. ‘나’를 알아본 결과, ‘나’라는 것은 ‘고정 불변한 어떤 것’이 아니라 몇 종류의 요소들이 임시로 모여 이루어진 실체(實體)가 없는 존재, 즉 ‘무아적(無我的)인 것’이었다. 우리 존재가 무아적이라는 것을 확실히 이해할 때 그 어디에도 더 이상 욕망을 일으킬 수 없게 된다. 욕망이 사라지면 괴로움 역시 사라진다. 따라서 무아설(無我說)은 불교의 핵심교리로서 불교를 가장 불교답게 하는 것이다.
불교에서 또 하나의 중요한 교리는 윤회설(輪廻說)이다. 이 사상은 불교 이전에 성립되었다. 그러나 불교는 윤회설을 처음부터 외래적인 것이 아닌 불교 고유의 사상으로 생각했다. 사실 불교는 윤회사상을 전제로 해서 출발했다. 어떤 경(經)에서 붓다가 “비구들아, 나는 단 한 가지 사실, 즉 업(業, 윤회의 동의어)만을 가르친다.”라고 말하는 것을 보아도 알 수 있다. 불교의 거의 모든 교리는 이 윤회사상 위에 세워져 있다. 윤회설은 불교와 불가분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불교의 모든 교리는 윤회를 인정하는 데서 그 존재 이유를 가지게 된다. 왜냐하면 불교의 궁극 목적이 바로 윤회에서 벗어나는 것이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무아설과 윤회설은 불교라는 하나의 건축물을 세우고 있는 두 개의 기둥이라고 할 수 있다. 무아설을 포기할 때 불교는 더 이상 불교가 아니다. 역시 윤회설을 제거해 버릴 때 불교라는 구조물은 붕괴되고 만다. 불교는 이 두 교리 가운데 어느 하나도 포기할 수 없다.
윤회의 의미
윤회설에 의하면 현재 생(生)은 수없는 생(生) 가운데는 하나의 생이다. 하나의 생, 그것은 “윤회라는 (큰)강물 속의 하나의 물결에 지나지 않는다.” 좀 더 명확하게 말하면 윤회란 “한 인간이 죽은 후 그가 전생에 행한 행위(業)에 따라 결정된 새로운 모습으로 지상에 다시 오는 것이다.
바가바드 기따는 이것을 간결하게 설명하고 있다. “태어난 자는 틀림없이 죽는다. 그리고 죽는 자는 틀림없이 다시 태어난다.” “다시 몸을 받는 영혼은 낡은 육체를 버리고 새 육체로 바꾸어 입는다. 마치 사람이 낡은 옷을 버리고 새 옷으로 바꾸어 입는 것처럼.
윤회의 원리는 간단하다. 영혼은 다른 생(生)에서 정해진 기간이 지나면 남아 있는 업(業, 까르만)을 가지고 이 지상이나 다른 곳에 가게 된다. 이 남아 있는 업이 새로운 생을 결정짓는다. 다시 태어날 세계, 종족, 사회적인 계급, 성(性), 모습 등은 모두 이 업에 의해 결정된다. 업이 남김없이 소멸되면 윤회는 끝나게 된다. 이것이 해탈이다.
- 「무아ㆍ윤회 문제의 연구」에서 발췌 -
금주의 다짐
언제나 부처님 공덕 충만한 바라밀을 생각하자. 남의 단점이 보일 때는 그 사람의 본성의 원만성을 생각하고 병자를 만날 때는 부처님이 가호하시는 본래 건강한 몸을 관하고 염불하자. 생각하는 것은 현실로 나타나고 어지러운 현상은 해결된다.법회 소식
오늘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
· 보현행자의 서원 제 6 수희분, 법회요전 p.163 / 불광의범 p.30
· 호진스님 저서 사인회 법회가 끝난 후 바로 진행됩니다.
법당 내 봉사자의 안내에 따라 질서를 지켜 주시기 바랍니다.
· 불교입문 교육 오후 1시 교육원 2층 강의실
※ 매월 마지막주 일요일은 ‘새법우, 스님과의 차담시간’이 불교 입문교육으로 대체됩니다.
7월 31일(금) 백중3재 기도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백중 49일 기도
·회향 : 8월 28일(금, 음 7/15) 오전 10시
·기도시간 : 새벽예불 4:30 대웅전, 사시예불 10:30 보광당, 저녁예불 6:30 대웅전
·시식일 : 3재 7/31, 4재 8/7, 5재 8/14, 6재 8/21, 회향 8/28
·동참금 : 친․외가 각 5만원(영가4위), 영가 1위 추가 시에 1만원
◉ 영가물품 판매 : 남/여 구분 1세트 13,000원(구입 및 문의 : 반야원 419-3344)
※ 대중공양 과일, 떡, 공양미 등 현물보시 받습니다.
※ 영가용품이 필요한 후원처는 법회사무국으로 접수 및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백중(우란분절) 효자·효부(효행상) 추천공고
·표창 일시 : 8월 28일(금) 백중회향 법회 시 ·표창 내역 : 표창장 및 부상
·추천 마감 : 8월 23일(일)까지 ·접수 : 법회사무국(☏ 413-0309)
계층법회 여름 수련회
1. 목련싣달 청소년 여름수련회 ‘하계 횃불 정진대회’
․ 기간 : 7월 30일(목) ~ 8월 2일(일) ․ 장소 : 하동 쌍계사 ․ 참가비 : 7만원
․ 대상 : 중․고등학생 40명 ․ 문의 : 주임교사 010-3282-4535
2. 금강 청년법회 MT
․ 기간 : 8월 8일(토) ~9일(일) ․ 장소 : 강화도 보문사 ․ 참가비 : 일반 3만원, 학생 2만원
․ 대상 : 대학생 ~ 35세 미만 ․ 문의 : 청년법회 010-2739-3220
불광교육원 신입/경력직원 모집
·모집 : 0명, 채용시까지 ·업무 : 신도교육 업무 ·자격 : 대졸 혹은 졸업예정자
·서류 : 이력서, 자기소개서, 최종학력 증명서 및 성적증명서
·서류접수 : bksedu@hanmail.net ·문의 : 불광교육원(☏ 417-2551)
학업성취 100일 기도
․ 입재 : 8월 4일(화)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 2016년 대입수능시험을 맞이하여 수험생 불자를 위한 학업성취 100일 기도를 봉행합니다.
․ 동참금 : 100,000원 ․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10월 31일(토) 학업성취 기원‘3000배 용맹정진’
11월 11일(수) 학업성취 100일 기도 회향
불광사 만불 봉안 안내 【만불봉안】108만원
․ 석가모니佛 ․ 아미타佛 ․ 비로자나佛 ․ 노사나佛
․ 연등佛 ․ 미륵佛 ․ 약사佛 ․ 문수보살
․ 보현보살 ․ 관세음보살 ․ 지장보살
·문의 : 종무소(☏ 413-6060)
(종단행사)‘제5차 사부대중 100인 대중공사’
·일시 : 7월 29일(수) 오전 10시 ~ 오후 5시 ·장소 : 불광사 보광당
※ 대중공사 행사관계로 주차장 이용이 제한됩니다.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주시기 바라며, 불광 형제 여러분들의 많은 관심과 동참바랍니다.
※ 당일(7/29, 수) 사시예불은 대웅전에서 10시 30분에 진행합니다.
불광교육원 강좌 안내 - 문의 및 접수 : 불광 교육원(☏ 417-2551)
1. 반야심경(4주)
·개강일 : 8월 5일(수) ·지 도 : 효신스님
·시 간 : 아침반 10:00, 저녁반 7:30 ·동참금 : 2만원
“주지스님과 함께하는 인도ㆍ네팔성지순례”모집
·순 례 : 11월 18일(수) ~ 30일(월) 13일
·주요일정 : 인천 > 뭄바이 >엘로라 >아잔타 > 아그라 > 사르나트 > 바라나시 > 부다가야 >
라지기르 > 쿠쉬나가르 > 쉬라바스티 > 룸비니 > 포카라 > 카투만두 > 인천
·동 참 금 : 30명 이상시 3,390,000(현금가) / 3,490,000(정상가)
·포 함 : 항공, 호텔(2인1실 기준), 차량, 전 일정공양, 한국어가이드, 입장료, 여행자보험
·마 감 일 : 8월 14일(일) ·접 수 : 불광교육원(☏ 417-2551)
구법회 법등소식 ·송파21구 1․2법등, 송파28구 3법등, 송파29구 2법등 모임이 진행 되었습니다.
자원봉사소개 : 7/17~7/26 송파7구․송파8구․송파9구 7/27~8/2일 송파9구․송파10구․송파19구
왕생극락을 기원합니다
·7월 14일 바라밀전법단 자화심(배선희) 보살의 친정어머니
·7월 19일 대원3구 3법등 법광(이상문) 거사의 어머니
·7월 20일 재봉행팀 총무 청명주 보살의 가부
※ 위 세 분이 세상 인연이 다하여 이 땅을 하직하셨습니다.
다음주(8/2)법회안내 : 회주스님의 법문이 있습니다. 법우형제분들의 많은 동참을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