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2월 넷째주 일요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17.03.12 조회3,715회 댓글0건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본공스님한 치도 어김이 없는 인과(因果)의 법칙
우리가 일상생활을 하면서 인과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인과를 알아라’ ‘인과를 두려워하라’ ‘인과응보를 믿지 않는 사람은 어리석은 사람이다’ 등 인과라는 말을 깊이 새겨서 부끄럽지 않고 후회 없는 인생이 되게 하시기 바랍니다.
인과(因果)는 원인과 결과를 말합니다. 어떠한 사물이나 일에도 일어난 원인이 있으며, 그 원인에 따라 결과가 생깁니다. 즉 원인이 있으면 반드시 결과가 있고, 결과가 있으면 반드시 그 원인이 있다고 하는 것이 인과의 이치입니다. 사람의 행위에 따라 좋은 업인(業因)을 뿌리면 반드시 좋은 열매가 맺어지고, 나쁜 업인에는 악의 과보가 따릅니다. 이것을 선인선과(善因善果) 악인악과(惡因惡果)라고 합니다. 엄밀히 말하면 선인낙과(善因樂果) 악인고과(惡因苦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속담에는, ‘콩 심은데 콩 나고, 팥 심은데 팥 난다’ 하였으며, ‘덕은 닦는 대로 가고 죄는 지은 대로 간다’고도 하고, ‘고운 일을 하면 고운 밥을 먹는다’고 하였습니다.
『화엄경』에 보면 문수보살이 보수보살에게 묻습니다.
“불자여, 사람은 똑같이 흙, 물, 불기운, 바람기운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다 같이 나와 내 것이 없는 터인데, 어찌하여 사람은 어떤 사람은 괴로움을 받고, 어떤 사람은 즐거움을 받으며, 어떤 사람은 단정하고, 어떤 사람은 추악하며, 어떤 사람은 현세에서 과보를 받고, 어떤 사람은 후세에 가서야 과보를 받게 되는 것입니까?”
이에 보수보살은 이렇게 대답하였습니다.
“그 행위를 따라서 과보의 차이가 생기는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맑은 거울이 그 대하는 사물의 모양에 따라 비추는 모습이 각기 다른 것과 같습니다.
업의 본성(本性)도 이와 같아 밭에 뿌려진 씨가 각기 스스로 느끼지 못하지만 저절로 싹을 틔우는 것과 같으며, 환술사(幻術師)가 네거리에서 여러 몸을 나타내는 것과도 같습니다.”고 하였습니다.
또 『열반경』에 보면 이런 말씀이 있습니다.
“선악의 보(報)는 마치 그림자가 형체를 따르는 것과 같다. 그리하여 과거, 현재, 미래 삼세의 인과가 휘돌아 없어지는 일이 없으니 생을 헛되이 보낸다면 후회해도 소용없으리라.”고 하였습니다.
인과를 부정하면 불자가 아닙니다. 인과를 부정하는 것은 자기 자신만을 그르치는 것이 아니라 남까지 악으로 끌고 가므로 큰 죄악을 범하게 되는 것입니다.
인과는 인연업과(因緣業果)를 줄인 말입니다. 인(因)은 원인 즉 씨앗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연(緣)은 연지(緣地) 곧 씨앗이 뿌려지는 밭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아무리 좋은 씨앗이라도 밭이 없으면 자랄 수가 없습니다. 씨앗이 자랄 수 있도록 토양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연(緣)입니다. 인과의 이치는 엄연해서 조금도 흩어지지 않는 것을 인과응보(因果應報)라고 합니다. 인과의 법칙은 어길 수 없습니다. 인과는 철칙입니다.
금주의 다짐
행복을 구해도 행복해지지 않는 사람은 행복을 밖에서 구하고 있지 않나 돌이켜 보자. 그런 사람은 행복하기 어렵다. 온 생활이 부처님의 은혜속의 생활이 아닌가. 이미 받고 있는 행복에 눈뜨자. 그리고 감사하자. 행복의 햇살은 눈부시게 빛나리라.
법회 소식
오늘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
·‘1인 1전법’안내 불광형제 여러분들께서는 1인 1전법에 힘써주시기 바랍니다.
· 보현행자의 서원 제 7 청법분 법회요전 p.167 / 불광의범 p.33
· 오늘법회 발원자 강동2구 명등보살 무상문
· 불광장학회 장학금전달식 법회 중 진행됩니다.
· 불교대학 입학식 오후 2시, 교육원 3층 문수당
· 유아방 개방 안내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 12시, 지상 4층 (봉사자 운영)
· 불광입문(신입법우) 교육 오후 1시 교육원 2층 강의실
※ 매월 마지막주 일요일은 ‘새법우, 스님과의 차담시간’이 불광 입문교육으로 대체됩니다.
부처님오신날 연등모연 종무소에서 부처님오신날 연등모연합니다. 많은 동참 바랍니다.
사시예불 장소 변경안내 오전 10시 30분 대웅전
3월 1일(수) 호법법회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법문 : 혜담스님
3월 5일(일, 음 2/8) 출가재일법회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법문 : 회주스님
출가·열반재일 정진주간
․ 입재(출가재일) : 3월 5일(일, 음 2/8)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 회향(열반재일) : 3월 12일(일, 음 2/15)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 1수행 실천하기 ◻ 법회 동참하기(1회 이상) ◻ 사경하기 ◻ 염불하기 ◻ 절 수행
※ 재일 정진주간 동안 스님과 함께 금강경 독송 진행됩니다.
만불전 주불(佛) 및 교육원 법당 부처님 점안법회
·일시 : 3월 18일(토) 오전 10시 ·장소 : 만불전
만불전 불사 안내
‣ 법상 : 2,000만원 ‣ 경상 : 500만원 ‣ 향로 : 100만원
‣ 촛대 : 100만원 ‣ 다기 50만원 ‣ 불구 : 10만원 ‣ 방석 : 5만원
‣ 개금 : 1돈 20만원(옛 보광당 부처님, 교육원 대법전, 대원당 부처님)
·접수 : 종무소(☏ 413-6060) ※ 불사 봉납금은 분납 또는 카드결제 가능합니다.
호법 발원금 증액약정 안내
불광의 호법사업은 여러분의 호법발원금으로 부처님의 불법을 수호하고 정법을 펼치며, 미래의 불광을 위해 아래와 같이 쓰여지고 있습니다. 호법 발원금 증액에 동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호법사업 성과 : 교육원, 유치원, 요양원, 연구원 설립 운영 중
‣ 동참방법 : 호법 발원금 약정서 제출, 종무소 방문 및 전화로 동참
불광교육원 강좌 안내 - 문의 및 접수 : 불광 교육원(☏ 417-2551)
1. 아비담마길라잡이 (12주)
·개강 : 아침반 3월 9일(목) / 저녁반 3월 8일(수) ·강사 : 각묵스님
·시간 : 아침 10시 / 저녁 7시 30분 ·동참금 : 12만원
2. 니까야로 읽는 중론2 (12주)
·개강 : 3월 10일(금) ·강사 : 이중표(전남대 철학과교수)
·시간 : 아침 10시 ·동참금 : 12만원
3. 법화경 (15주)
·개강 : 3월 14일(화) ·강사 : 범준스님
·시간 : 아침 10시 ·동참금 : 15만원
※ 개강일은 혼잡하오니 미리 강의를 접수해 주시고, 교육비는 카드결제 가능합니다.
불광장학회 후원 안내
불광장학회는 장학 사업을 통해 불교의 미래를 이끌어 나갈 인재를 양성하고 있습니다.
·정기후원 : 매월 일정금액을 보시합니다.(종무소에 비치된 CMS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일반후원 : 금액에 관계없이 일시불, 혹은 분납하실 수 있습니다.
·후원계좌 : 신한은행 100-022-971036 대한불교조계종 불광사
불광사 직영용품점(반야원) 특판행사 안내
·진도해산물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업체에서 자연산 미역, 돌김, 다시마, 말린 해산물 등을 사찰입구에서 특판합니다.
·문의 : 반야원(☏ 419-3344)
상담신청을 받습니다
- 불광사와 업무계약(MOU)를 체결한 한국불교상담학회에서 불광 형제 여러분들을 위한 무료상담을 진행합니다.
·상담영역 : 아동 / 청소년 / 성인 / 중독 / 진로상담 등 ·접수 : 법회사무국(☏ 413-0309)
구법회 법등소식
·송파3구 신년법회, 송파4구 4∙6법등, 송파12구 5법등, 송파20구 5법등, 송파21구 2∙3법등에서 모임을 진행하였습니다.
<다음주 구모임>
·송파20구 2법등에서 모임이 있을 예정입니다.
자원봉사소개 : 2/20~2/26 강동6구 2/27~3/5 광진1구 3/6~3/12 보현구
3/13~3/19 보현구∙노원구∙중랑구 3/20~3/26 마포구∙문수1구∙분당구∙성남구
축하합니다
·송파21구 4법등 윤대기 거사 본광행(문종임) 보살의 장남 윤도연군과 최은솔양이 3월 4일 (토) 오전 11시 더컨벤션 교통회관 3층 아모르홀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왕생극락을 기원합니다
·2월 15일 강동6구 2법등 선학 자인성 보살의 오빠
※ 위 한 분이 세상 인연이 다하여 이 땅을 하직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