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7월 다섯째주 일요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17.07.30 조회3,659회 댓글0건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본공스님위법망구(爲法忘軀) : 법(진리)을 구하기 위해 몸 돌보는 것을 잊는다
夫爲法者 부위법자 – 대저 법을 위하는 사람은
不避喪身失命 불피상신실명 – 몸을 상하고 목숨을 잃는 것을 피하지 않아야 한다.
『임제록』
『서유기(西遊記)』는 1570년경에 만들어진 책이다. 중국 4대 기서(삼국연의, 수호전, 서유기, 금병매) 가운데 하나로, 오승은(吳承恩, 1500년∼1582경)이 지은 구어 소설이다. 손오공의 대활약으로 삼장법사 일행이 요괴들을 무찌르고, 서천에서 경전을 가지고 돌아오는 기상천외한 이야기로, 신마소설(神魔小說)에 속한다.
『서유기』는 당나라 초기의 고승이자 번역가인 현장 삼장(玄奘 三藏, 602년∼664년)의 고난스러웠던 서천취경(서천으로 불교 경전을 구하러 감)의 여행을 줄기로 삼고 있다. 현장의 체험은 견문록 『대당서역기(大唐西域記)』 12권, 제자 혜립(慧立)이 지은 『대자은사삼장법사전(大慈恩寺三藏法師傳)』 10권 등에 정리되어 있다. 그의 역사적 장거(長擧)는 민간에서 전설화되고 기상천외한 공상이 덧붙여져 1,000년 뒤, 오승은의 소설로 결실을 맺었다.
『서유기(西遊記)』는 말 그대로 서쪽으로 불법을 구하러 떠나는 삼장법사와 손오공 일행의 구도기이다. 그런데 이 인물의 배치를 잘 보면 그 안에 재미있는 상징들이 숨어 있다. 불교에는 깨달음을 얻기 위해 꼭 필요한 ‘다섯 가지 힘 즉 오력(五力)’이란 것이 있다. 오력이란, ① 믿음(信), ② 정진(精進), ③ 깨어있음(念), ④ 선정(定), ⑤ 지혜(慧) 이렇게 다섯 가지이다. 이런 ‘오력’이 바로 5명의 삼장법사 일행의 모델이다. 그리고 불법(佛法)에선 ‘5력’외에 ‘3학(學)’ 즉 <계·정·혜(戒·定·慧)>가 있다. 서유기에 나타난 ‘5력’은 ‘3학’을 겸비한 ‘5력’으로 설정되었다. 그래서 『서유기』에선 다섯 가지 능력을 바탕으로 서(西)방에 있는 부처님을 만나서 깨달음을 얻고 모두 부처가 된다. 이렇게 볼 때, 다섯 캐릭터는 한 사람의 구도자(求道者)가 도(道)를 이루기 위해서 갖추어야 하는 다섯 가지 능력이다.
캐릭터를 분석해 보면, 먼저 삼장법사는 ① 믿음(信)을 상징한다. 작품 내내 현실적은 힘은 없다. 그러나 다른 캐릭터들이 81난을 거치며 본래 목적을 상실할 때도 항상 목표를 분명히 하여 결국 부처님이 계신 서방 낙토에 도달하게 하는 근원적 원동력이 된다. 구도(求道)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바로 언제 어디서나 이 목표를 잃어버리지 않는 철저한 믿음이다.
다음 백마는 말이 필요 없다. 바로 천리만리를 쉬지 않고 달리는 ② 정진력(精進力)의 상징이다. 그런데 백마는 작품에서 삼장법사를 항상 태우고 다닌다. 그건 아마도 믿음은 쉼 없는 정진에 의해서만이 앞으로 나갈 수 있다는 상징 같다.
다음 저팔계(豬八戒). 이는 돼지다. 돼지는 인간의 탐욕 욕망을 상징한다. 이러한 탐욕을 제거하는 것은 바로 3학 중에서 ③ 계율(戒)이다. 저팔계는 작품 내내 틈만 나면 자신의 욕망을 채우려 한다. 그 욕망이 식욕이건 성욕이건. 결코 멈추지 않는다. 손오공에 질투를 보내며, 그러나 그 이름에 나와 있는 계율을 완전히 익히면 이를 제어할 수가 있어서 결국 마지막에는 서방 낙토에 도달한다. 그래서 저팔계의 이름은 오능(悟能 : 뭐든지 자유자재로 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다) 이다.
다음 사오정(沙悟靜). 이는 물귀신이다. 본래 물속에 산다. 그 자신은 요동치는 물의 요괴이지만, 사는 곳인 물은 본래 고요한 물이다. 그래서 그는 요동치는 마음을 나타내며 고요함을 얻어야 하는 존재이다. 그가 얻어야 하는 것은 ④ 선정(禪定)이다. 그래서 이름이 오정(悟靜 : 고요함을 깨닫다)이다. 마음의 안정을 지향하는 존재라서 그런지 작품 전체를 통해 독자적인 행보가 거의 없다.
마지막으로 이 소설의 주인공인 행자 손오공(孫悟空) 그는 ⑤ 지혜(知慧)를 상징한다. 그가 이 극의 주인공인 이유는 부처님도 말씀하셨지만, 인간의 모든 번뇌의 근원인 무명(無明)은 지혜에 의해서만 없앨 수 있기 때문이다. 믿음은 수행의 시작이지만 그 완성은 바로 반야, 즉 지혜이다. 그리고 그 깨달음의 내용은 공(空) 도리이다. 그래서 그 이름이 오공(悟空 : 공을 깨닫다)이다. 이 작품 전체를 통해서 권선징악의 대표자로서 엄청난 지혜와 신통력을 발휘한다. 결국 깨달음을 얻게 된다. 그를 원숭이로 표현한 것은 인간의 생각과 사려는 원숭이와 같아서 쉬지 않고 이리저리 뛰어다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망상을 척결해주는 것은 바로 지혜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삼장법사 일행은 불법(佛法)을 얻게 된다.
『서유기』는 바로 이러한 한 사람이 다섯 가지 능력을 극대화 시켜서 도(道)를 얻어내는 ‘81난의 역경’을 그린 명작이다.
● 삼장법사(신심), 백마(정진), 손오공(지혜), 저팔계(계율), 사오정(선정)
금주의 다짐
우리의 감각은 자신의 성품을 볼 능력이 없으므로 자신 가운데 무한을 간직하고 있어도 그것을 모른다. 그리고 두려워하고 불안으로 가슴을 채운다. 불신력 충만한 진실 자기에 눈뜨자. 무한력을 자각하자. 그리고서 일체 한계의 벽을 뛰어넘자.법회 소식
오늘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 ‘1인 1전법’ 안내 불광형제 여러분들께서는 1인 1전법에 힘써주시기 바랍니다.
· 보현행자의 서원 제 2 예경분 법회요전 p.154 / 불광의범 p.20
· 오늘법회 발원대표 마포구 명등보살 도문
· 문화법회 공연 안내 법문 이후 ‘태국전통문화공연’공연이 진행됩니다.
‣ 부처님전 공양 춤… 율동
‣ 인사말… 바누왓 간디스님
‣ 태국 노래
‣ 태국전통 항아리 춤… 악기 + 율동
· 유아방 개방 안내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 12시, 지상 4층 (봉사자 운영)
· 불광입문(신입법우) 교육 오후 1시 교육원 5층 강의실(반야당)
※ 매월 마지막주 일요일은 ‘새법우, 스님과의 차담시간’이 불광 입문교육으로 대체됩니다.
8월 1일(화, 음 6/10) 백중2재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8월 2일(수) 호법법회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법문 : 선덕 혜담스님
백중 49일 기도 -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회향 : 9월 5일(화, 음 7/15)
·기도시간 : 새벽예불 5:00 대웅전, 사시예불 10:30 보광당, 저녁예불 6:30 대웅전
·시식일 : 2재 8/1, 3재 8/8, 4재 8/15, 5재 8/22, 6재 8/29, 회향 9/5
·동참금 : 친․외가 각 5만원(영가4위), 영가 1위 추가 시에 1만원
‣ 영가물품 판매 : 남/여 구분 1세트 13,000원(구입 및 문의 : 반야원 419-3344)
‣ 백중설판 : 2재 ~ 7재 설판을 받습니다.
·설판이란 불사나 법회를 베풀기 위해 노력과 비용을 담당하여 애쓰는 것을 말합니다.
·백중을 맞아 조상님의 공덕과 삼보님의 공덕을 기리며, 불보살님께 설판 공양을 올리고 그 위신력을 빌어 중생이 지은 악업의 무거움을 구제하고 가정이 평안하시고 소원성취 이루시기를 기원드립니다.
‣ 백중(우란분절) 효자·효부(효행상) 추천공고
·표창 일시 : 9월 5일(화) 백중회향 법회 시 ·표창 내역 : 표창장 및 부상
·추천 마감 : 8월 29일(화, 백중6재)까지 ·접수 : 법회사무국(☏ 413-0309)
불광버스 셔틀 백중기간 추가 운행 안내
·백중을 맞아 불광버스 셔틀을 추가로 운행합니다.
7재(9/5)까지 매주 화요일마다 오전 9시 30분 ~ 11시까지 15분 간격으로 운행됩니다.
·운행코스 : 불광사 ➡ 신천역(1번 출구) ➡ 잠실역(3번 출구 너구리상) ➡ 불광사
학업성취 100일 기도
·입재 : 8월 8일(화)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회향 : 11월 15일(수)
·2018년 대입수능시험을 맞이하여 수험생 불자를 위한 학업성취 100일 기도를 봉행합니다.
·동참금 : 100,000원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 수험생 어머니 기도법회 매월 둘째주 수요일 오후 1시, 교육원 5층 법당
‣ 학업성취 3000배 용맹정진 10월 28일(토) 오후 1시 ~ 밤 11시
탈북민 홈스테이 봉사자 모집 - 접수 및 문의 : 법회사무국(☏ 413-0309)
·일시 : 9월 14일(목) ~ 15일(금) 1박 2일 ·참가신청 : 8월 29일(화, 백중6재)까지
·교육생 선물 접수 : 냄비, 옷 등 생활용품
※ 각 구법회별로 봉사자 2명씩 법회사무국으로 신청해 주시기 바랍니다.
본공스님과 함께하는 西실크로드 성지순례
·일시 : 9월 6일(수) ~ 16일(토) (10박 11일) ·선착순 : 20명
·동참금 : 292만원 ·접수 및 문의 : 불광 교육원(☏ 417-2551)
불광 직영용품점(반야원) 특판행사 안내
·송파5구에서 진행하는 여름용 양산, 신발, 의류 판매가 사찰 입구에서 진행됩니다.
(우천시 지하1층 공양간 외부공간에서 진행합니다)
BTN 광덕큰스님 영상법문 방영시간
·본방 : 매주 화요일 오전 8시 30분
·재방 : 매주 월·토·일요일 오전 8시 30분 / 매주 월·화요일 저녁 7시 30분
새법우(처음오신 분) 안내
·법회 후 보광당 안내데스크로 오시면 새법우 교육팀의 안내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구법회 법등소식
·송파21구 3∙4법등, 송파27구 4법등에서 모임을 진행하였습니다.
<다음주 구모임> ·강동2구 길1∙6법등에서 모임이 있을 예정입니다.
자원봉사소개 : 7/24~7/30 송파26구, 8/1~8/6 송파27구∙송파28구∙송파31구
8/7~8/13 강남구∙관악구∙송파28구∙송파33구, 8/14~8/20 강동1구∙송파27구
왕생극락을 기원합니다
·7월 21일 대원2구 1법등 종지 장종혁 거사의 아버지
·7월 23일 송파22구 3법등 묘광명 임영희 보살의 친정아버지
·7월 25일 대원3구 3법등 운암 박건수 거사
※ 위 세 분이 세상 인연이 다하여 이 땅을 하직하셨습니다.
다음(8/6) 법회안내 : 회주스님의 법문이 있습니다. 법우형제분들의 많은 동참을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