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2569(2025). 11. 1.(토) 토요포살법회 및 생전예수재 초재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25.11.02 조회33회 댓글0건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동민스님(불광사 주지)불교로 보는 ‘인정(認定)받고 싶은 욕구’, 그 괴로움과 자유의 길
오늘 주제는 바로 ‘인정받고 싶은 욕구’ 입니다. 이것은 우리 모두가 가지고 있는 아주 보편적인 마음이지만, 때로는 우리를 묶어두고 괴롭게 만드는 가장 큰 족쇄가 되기도 합니다.
불교에서는 인간의 근본적인 고통을 갈애 즉 목마름과 같은 간절한 바람에서 비롯된다고 말합니다. 인정받고 싶은 욕구 역시 이 갈애의 한 종류입니다. 특히 불교의 다섯 가지 감각적 욕망인 ‘오욕락(五欲樂)’ 중 ‘명예욕(名譽欲)’과 깊이 관련되어 있습니다.
우리는 ‘나’라는 것이 실체(實體)처럼 영원히 존재한다고 착각합니다. 하지만 부처님은 모든 것은 끊임없이 변하는 ‘무아(無我)’이며, 인연 따라 잠시 모였다 흩어지는 ‘공(空)’의 이치임을 깨달으셨습니다.
타인의 시선에 의지 이 불안정한 ‘나’를 어떻게든 확실하게 붙잡아두고 싶어서 우리 ‘다른 사람들의 평가와 인정’이라는 덧없는 것에 의지하게 됩니다. 마치 남의 손에 들린 목줄을 스스로 목에 거는 것과 같습니다.
그들의 칭찬과 인정을 받으면 잠시 기쁘지만, 비난이나 무시를 당하면 깊은 고통과 불안에 빠집니다. 왜냐하면 내 존재 가치를 타인의 변덕스러운 마음에 맡겼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타인의 인정에 목마른 상태를 ‘사랑 고파 병’이라고도 합니다.
“타인의 손에 들려진 목줄을 스스로 끊고, 내가 내 삶의 주인이 되어야 합니다.”
인정욕구로부터 자유로워지는 불교적 관점
그렇다면 이 괴로운 인정욕구로부터 어떻게 자유로워질 수 있을까요? 부처님의 가르침은 우리에게 관점의 전환을 요구합니다.
바른 견해(正見)로 ‘나’를 바로 보기
우리의 모든 괴로움은 ‘나와 남을 비교하고, 나를 내세우며, 나만을 위하려는’ 마음, 즉 ‘자만(自慢)’과 ‘사견(邪見, 그릇된 견해)’에서 시작됩니다.
타인이 나를 칭찬하든 비난하든, 그들의 평가가 나의 본질을 바꾸는 것은 아닙니다. 나의 실력과 가치는 내가 얼마나 노력하고 성실하게 살았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타인이 나를 주목하고 안 하고는 그들의 몫입니다. 내가 강요할 수도, 막을 수도 없는 ‘인연의 영역’입니다.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오직 내가 할 일을 묵묵히 해나가는 것입니다. 남이 잘 봐주면 고마운 일이지만, 안 봐줘도 그것은 그들의 몫일 뿐입니다.
타인의 인정을 구하는 삶은 종(노예)의 삶이지만, 나 스스로 나를 인정해 주는 삶이 곧 주인(主人)의 삶입니다.
내가 어떤 일을 할 때, ‘다른 사람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가 아니라 ‘내가 바른 일이기 때문에’ 하는 것으로 마음을 바꿉니다.
칭찬은 때로 ‘노력하는 과정을 스스로 인정하고 즐기는 힘’을 빼앗아 가는 덫이 되기도 합니다. 외부의 평가에 휘둘리지 않고, 자신의 노력과 성취를 스스로 인정하고 격려할 줄 아는 사람이 진정으로 자유로운 사람입니다.
수행은 남과 비교하여 경쟁하는 길이 아닙니다. 나 자신의 탐욕, 성냄, 어리석음(탐진치)을 소멸하여 스스로 괴로움에서 벗어나 행복해지는 길입니다. 남이 뭐라 하든, 오직 바른 견해에 의지하여 자신이 가야 할 길을 뚝심 있게 걸어나가십시오.
자유로운 삶 우리는 ‘인정받고 싶은 욕구’ 자체를 억지로 없애려 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것은 인간의 보편적인 정신의 작용이니까요. 다만, 그 욕구에 ‘끌려다니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처님은 세상 사람들이 칭찬을 하든 비난을 하든 마음이 좌우되지 않으셨습니다. 세상의 여론을 외면한 것이 아니라, 그 말에 흔들리지 않으셨던 겁니다. 이것이 바로 욕구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워진 해탈(解脫)의 경지입니다.
오늘부터 우리는 타인의 시선 대신 나의 마음에 집중합시다. ‘나는 내가 할 일을 한다’, ‘나는 나 스스로의 가치를 안다’는 단단한 믿음을 세우십시오. 그럴 때 비로소 내 삶의 진정한 주인이 되어, 칭찬과 비난의 바람에도 흔들리지 않는 큰 나무처럼 자유롭고 평안한 삶을 살 수 있을 것입니다.
마하반야바라밀
법회 소식
▣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금강경 독송: 천팔십일기도 834일차, 금강경 <하>편
·일주문 단청불사 제막식 및 호법신장 점안식: 법회를 마친 후, 남쪽 일주문
▣ 호법법회
·일시: 11월 5일(수)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법문: 광덕큰스님 영상법문
▣ 지장재일법회 및 평생위패봉안 합동천도재
·일시: 11월 7일(금) 오전 10시, 보광당
·법문: 불광교육원장 동명스님
▣ 토요법회 및 생전예수재 2재
·일시: 11월 8일(토) 오전 10시, 보광당
·법문: 총무 휴담스님
▣ 천팔십일기도 8차회향 기념 순례기도
·일시: 11월 30일(일), 천안 각원사 외
·동참금: 5만원
·준비물:『불광법요집』, 개인 상비약, 방한용품 등
▣ 김장 담그기 울력
·일시: 11월 28일(금) ~ 29일(토), 공양실(지하1층)
·김장 담그기 헌공금 및 현물 보시 받습니다.
▣ 수능입시 자녀와 학부모를 위한 명상기도
·3차 명상기도: 11월 2일(일) 오후 2시, 보리당(본당 4층)
▣ 학업성취 백일기도 회향법회
·일시: 11월 12일(수) 오전 10시 30분, 대웅전
·법문: 주지 동민스님
▣ 관음재일법회 및 수능시험일 발원기도
·일시: 11월 13일(목) 오전 8시 40분부터, 대웅전
·수능시험 시간표에 맞춰 기도드리오니 많은 동참 바랍니다.
▣ 생전예수재
·생전에 미리 공덕을 쌓아 사후 세계에서 극락왕생하기를 기원하는 생전예수재 접수를 받고 있습니다.
·회향: 11월 15일(토)
·동참금: 3만원(1인) / 함합소: 1만원
▣ 불광사 국화꽃 축제
·회향: 11월 13일(목), 대웅전 마당
·동참금: 소국 2만원 / 대국 10만원
▣ 대웅전 단청·신중단탱화 불사
·대웅전 단청 및 신중단탱화 조성 불사 모연을 받습니다.
▣ 대웅전·연화당 촛대함 불사 모연
·대웅전, 연화당 야외 촛대함 조성 불사 모연을 받습니다.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 봉사자 모집 안내
[공양봉사팀] 토요법회 대중공양
[교육봉사팀] 교육원 봉사
[꽃공양팀] 법회,행사 꽃 장엄
[도서실봉사팀] 불광도서실 운영
[떡공양실] 공양 떡 만드는 봉사
[바라밀공방팀] 연등공방, 행사지원
[법당안내팀] 법회 동참자 안내
[보문부] 영가시식 봉사
[불광소리패] 사물놀이 공연
[불광안내팀] 불광사 사중 안내
[불광연희단] 무용, 연등행렬 연희단
[새신도안내팀] 새신도 안내, 지원
[연꽃어린이법회] 어린이법회 봉사
[연화부] 시다림 염불 봉사
[재봉사팀] 재(기재,49재) 봉사
[종무지원팀] 기도접수, 종무지원
[청향회] 다도,헌다,육법공양
[파라미타합창단] 법회,행사 음성공양
[호법팀] 법회 질서유지
[후원봉사팀] 후원(공양실) 봉사
·접수 및 문의: 종무소 02-413-6060
▣ 축하합니다
·정진옥 거사님과 바라밀2구 추경숙(환희수) 보살님의 아들 정성일군이 11/8(토) 오후 3시 30분 강동 루벨 35층 단독홀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꽃비
<꽃비>불기2569(2025)년 10월 25일(토) ~ 10월 31일(금)
[1080일기도] 324,000 박정선 | 216,000 백낙현 | 108,000 김현철 이승열 이향자 정희주 | 100,000 허윤희 | 60,000 이인선 | 54,000 권철호 박경철 | 50,000 강정기 | 30,000 김유미 서재홍 안갑숙 이숙희 홍대용
[국화꽃축제헌공금] 500,000 파라미타합창단 | 200,000 청향회 | 100,000 박경철 | 20,000 이대영 최재순
[촛대함헌공금] 180,000 이영자 | 300,000 최운주 | 100,000 김견하 김시형 김용원 김진영 이에스씨유통 이정한 이현우 전성희 최복희 최혜연 최호식 황보율 황보종구 | 30,000 문복란 조대원 조선우 조선재 조선혜
불사 봉납 2025년 총액 191,918,000 (10/25 ~ 10/31 합계 4,530,000)
[단청] 300,000 고순상 금강1구 바라밀2구 박명옥 배선희 | 100,000 백낙현 | 30,000 문복란 조대원 조선우 조선재 조선혜
[장엄불․원불] 200,000 김민준 김주홍 | 160,000 정의주 | 100,000 지종배 | 60,000 권유덕[영] 김윤우 김형림[영] 류현범 박갑순[영] 박명옥 박태진 오세점 임솔 정진엽[영] 조선래[영] 조용남[영] 천희영 한승훈[영] 한차순[영] 한찬우[영] | 50,000 김도윤 김서영 문복란 이나연 이도연 정기윤 정상경 정세윤 정세한 정수민 정재준 정지민 정해일 정혜교 조대원 조선우 조선재 조윤서 조진희 | 30,000 김민준 김유미 김은미 김은희 박선우 박성준 박지호 박지환 백지성 백지훈 윤효준 윤훈민 임세준 임지민 임하윤 | 20,000 김덕현 김보현 김상현
불광장학회 2025년 총액 2,640,000 (10/25 ~ 10/31 합계 290,000)
30,000 서양옥 | 20,000 김지하 안미경 이광세 | 10,000 고명순 곽일환 김문주 김태균 문건호 문명옥 박준성 백성례 신명자 안영희 윤호애 이동수 이매자 이병무 이병호 전은영 정창화 | 5,000 권혁재 김신자 유지민 이현숙 장지혜 최운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