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0월 셋째주 일요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018.11.12 조회3,978회 댓글0건본문
첨부파일 :
20181021_i2029.pdf
大乘正宗分(대승의 근본 뜻) 제3-5
(4)뒤바뀌지 않은 마음이라(四는 不顚倒心이라).
하이고 수보리 약보살 유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즉비보살
何以故오 須菩提야 若菩薩이 有我相과 人相과 衆生相과 壽者相하면 卽非菩薩이니라
(4상(四相)에 걸리지 않는 마음이 뒤바뀌지 않는 마음(不顚倒心)이니, 이는 한없이 많은 중생을 실제로 제도했지만, 제도했다는 생각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보살이 아니다.)
무슨 까닭인가(何以故. 왜냐하면)?
수보리야!
만일 보살이 (‘내가 중생을 제도했다’는 생각이 있기만 하면 그에게는) (영원히 변하지 않는) 자아(自我)가 실재(實在)한다는 관념(我相)과, (영원히 변하지 않는) 개아(個我)가 실재한다는 관념(人相)과, (영원히 변하지 않는) 중생이 끊이지 않고 지속되는 존재를 나타낸다는 관념(衆生相)과, (영원히 변하지 않는) 영혼이 실재한다는 관념(壽者相)이 있으면, 곧 (대승의) 보살이 아니니라.』(여기까지는 뒤바뀌지 않는 마음(不顚倒心)이다).
※아상(我相)은,「영원히 변하지 않는 자아(自我)가 실재한다는 관념이다.」
한역(漢譯)에는 우리들의 몸과 마음은 물질인 색(色)과 정신인 수․상․행․식(受想行識)의 5온(五蘊)이 화합하여 이루어진 임시 집합체인 변할 수 있음(可變)의 존재가 자기 자신이 실체(實體)가 없거늘, 착각하여 실제로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참 나」의 본체를 모르고, 곧 몸뚱이에「참 나」가 있는 줄 알고, 생각이「나」인줄 아는 관념(觀念), 즉, 5온이 화합하여 생긴 몸과 마음에 실재(實在)의 나(我)가 있다고 하고, 또 나(我)의 소유라고 집착하는 소견이며, 또한 자기가 증득한 것에 집착하여 잊지 않고, 그것을 나(我)라고 고집하는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
※인상(人相)은,「영원히 변하지 않는 개아가 실재한다는 관념이다.」
한역(漢譯)에는 우리는 축생취와 지옥취와는 다르다.
나는 지금 현재 이 몸으로 장차 인연(因緣)을 따라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의 6취(六趣)에 왕래하게 될 것이다 하는 막연한 고집의 집착이다.
즉, 우리는 사람이고, 저것은 짐승이다.
‘나는 잘났다’ ‘너는 못났다’고 집착하는 관념(觀念), 또한 지혜에 집착하여 ‘나는 도를 깨달음(悟道)에 집착하지 않는다’는 등의 생각(想念)에 사로잡혀, 또 다른 집착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성불(成佛)을 증득해 얻어야 한다는 생각(想念)까지도 없음이 무상(無相)의 경지이니, 즉 나(我)는 인간이어서 축생취 등과 다르다고 집착하는 소견이다.
※중생상(衆生相)은,「영원히 변하지 않는 중생이 끊이지 않고 지속(持續)되는 존재를 나타낸다는 관념이다.」
한역(漢譯)에는「나」는 중생이라는 상(相)에 집착한 생각(이는 마음이 아직 밝지 못했다는 말)이다.
「나」는 5온(정신적(수․상․행․식)인 것과 물질적(색)인 것이다)의 뭇 인연에 의하여 만들어져 살아가는 존재라는 고집이니, 즉 5온을 의지해서 살아가는 중생이라는 뜻이다.
중생들이 그릇된 의미에서「나의 몸은 5온이 임시로 가합(假合)된 상태」임에 집착하여 그릇된 허무공관(虛無空觀)에 빠지는 집착의 오류(誤謬)를 가리킴이니, 즉 아(我)는 5온법으로 말미암아 생긴 것이라고 집착하는 소견이다.
※수자상(壽者相)은,「영원히 변하지 않는 영혼이 실재한다는 관념이다.」
한역(漢譯)에는「나」는 일정한 기간동안 목숨의 한계가 있다고 집착하는 생각이니, 곧 일정한 기간 동안은 살아 있게 될 것이라는 막연한 고집이다.
우리는 선천적(先天的)으로 길든 짧든 간에 일정한 목숨을 타고 났다는 생각이며, 이 몸뚱이로 오래 살려고 하는 생각의 집착이다.
그러므로 운명론적(運命論的)이고, 숙명론적(宿命論的)인 집착을 가리킨다.
옛날의 속담(俗談)에, ‘하루살이가 하루 살다가 죽을 줄 모르고, 천년(千年)을 살 줄만 안다’는 말이 있다.
※ 한역(漢譯)에서는 사상(四相)이라는 것은, 결국「나」가 있다는 생각 하나로 공통됨으로,「나」가 있다고 생각할 그때에「너」를 의식하게 되고,「나」와「너」의 상대가 있을 때에 참 이치(眞理)를 보지 못함으로 인하여 뒤바뀐 생각에 떨어져 빠진다(顚倒妄念).
그래서 뒤바뀐 마음(顚倒心)에 빠진 이를 어찌 보살(菩薩)이라 하겠는가?
그러므로 보살은 모든 일에 앞서서「나」라는 집착을 비워야 한다.
보살이「나」라는 집착을 비우지 않고 6바라밀의 보살 만행(萬行)을 모두 다 닦아도 보살은 될 수 없으므로 구도자(求道者=菩薩)라고 할 수 없다(卽非菩薩).
이상은 3법문 가운데 제2 법문(중근기)(三法門中第二法門(中根機法門)이다
※ 4상(四相)의 ‘상(相)’을 산스크리트로 말하면 다음과 같다.
‘상(相)’에 대한 산스크리트는 ‘saṃjña’인데, 구마라집(鳩摩羅什)과 보리유지(菩提流支)는 ‘상(相=집착(執着))’으로 번역하고, 진제(眞諦)와 달마급다(達磨笈多)와 현장(玄奘)과 의정(義淨) 3장(三藏)은 ‘상(想=인식(認識))’으로 번역했다.
산스크리트는 ‘saṃjña’의 뜻에 가까운 것은 ‘상(想=관념((觀念))’이다.
여기에서 4상(四相)은, 단순한 인식(認識)이 아니라, 고정된 생각(固定觀念)이라고 이해한 구마라집의 견해(見解)에 따라서 ‘상(相)’을 관념(觀念)으로 해석했다.
그래서 여기의 번역을 ‘아상(我相)’은,「영원히 변하지 않는 자아(自我=아상(我相 ātman-saṃjña))가 실재(實在)한다는 관념(觀念)」으로 했다.
그래서 여기의 번역을 ‘인상(人相)’은,「영원히 변하지 않는 개아(箇我=인상(人相 pudgala-saṃjña))가 실재(實在)한다는 관념(觀念)」으로 했다.
그래서 여기의 번역을 ‘중생상(衆生相)’은, 「영원히 변하지 않는 중생(衆生=중생상(衆生相 sattva-saṃjña))이 끊이지 않고 지속(持續)되는 존재를 나타낸다는 관념(觀念)」으로 했으며, 여기에서 중생(衆生 sattva)은 불타(佛陀)의 반대어인 중생의 의미가 아니고, ‘끊이지 않고 지속(持續)되는 존재(存在 sat)’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理解)해야 한다
그래서 여기의 번역을 ‘수자상(壽者相)’은,「영원히 변하지 않는 영혼(靈魂=수자상(壽者相 jīva-saṃjña))이 실재(實在)한다는 관념(觀念)」으로 했다.
※보리유지(菩提流支)의 번역본에는 중생상․수자상․인상만이 나타나 있다.
·오늘법회 발원대표 송파29구 명등보살 원명신
·불광생태길라잡이 매월 셋째주 일요일 오후 1시 ~ 3시, 교육원2층 및 석촌호수일대
·유아방 개방 안내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 12시, 지상 4층 (불광 포교사 운영)
·불광입문(신입법우) 교육 오후 1시 교육원 5층 강의실(반야당)
※ 매월 마지막주 일요일은 ‘새법우, 차담시간’이 불광 입문교육으로 대체됩니다.
10월 26일(금) 지장재일∙위패봉안 천도재 오전 10시, 보광당 ※관욕의식 진행
10월 27일(토) 3000배 용맹정진 오후 1시 ~ 밤 11시, 보광당 ※편한복장, 수건 준비
수험생을 위한‘강화도 보문사’성지순례
·일시 : 10월 29일(월) 오전 7시, 불광사 출발
·동참금 : 3만원
·인솔법사 : 본공스님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불광사 직원 모집 안내 ·문의 : 종무소(☏ 413-6060)
▶모집분야 : 후원 (1명)
▶모집분야 : 교육원 직원 (1명)
반야원 특판행사안내 문의 : 반야원 (☏ 419-3344)
·소백산 농산물과 송파5구 신변잡화 판매행사가 사찰 입구에서 진행됩니다.
·기다리던 여수 돌산 갓김치와 여주지역 생땅콩, 맛있는 연잎밥, 보리누룽지 들어 왔습니다.
광덕스님 바라밀 육성법문 연구회
·일시 : 매주 목, 오후 6시 30분 ~ 8시 30분
·장소 : 큰스님기념관(본당 지하2층).
반야합창단원 모집 안내
·대상 : 음성공양에 뜻이 있으신 신도님
·활동 : 매월 호법법회 음성공양 및 사중행사
·문의 : 법회사무국 / 총무 010-8742-1518
구법회 법등소식
·송파4구3법등, 송파20구4법등, 송파21구1법등, 송파27구2∙3법등, 송파33구3법등 모임이 진행되었습니다.
<다음주 구모임>
·송파20구5법등, 송파21구2법등, 송파24구1∙6법등, 송파28구2법등, 송파29구2법등 모임이 예정입니다.
대중공양봉사소개
·10/21 성남구, 10/26 송파3구, 10/28 송파2구, 11/1 송파6구, 11/4∙8 송파4구, 11/7 송파8구
축하합니다
·강동2구 무등(유지풍) 거사 실상화(손정기) 보살의 장남 유형선군과 송파12구 법우(이호현)거사 정진문(이형숙) 보살의 차녀 이수진양이 10월 27일(토) 오후 5시, 아펠가모 잠실점 2층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대원2구 명등 서암(장병휘) 거사 송파20구 연명화(오금희) 보살의 장녀 장윤아양과 이진건군이 10월 27일(토) 오후 5시 30분, 그랜드힐 컨벤션 2층 사브리나홀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송파17구4법등 이종록 거사 반야화(이한옥) 보살의 차녀 이정은양과 표철의군이 10월 28일(일) 오후 3시 30분, 더 베네치아 웨딩 3층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다음(10/28) 법회안내 : 정기 일요법회가 있습니다. 법우 형제분들의 많은 동참을 바랍니다.
20181021_i2029.pdf
이주의 법문
법사 : 지오스님大乘正宗分(대승의 근본 뜻) 제3-5
(4)뒤바뀌지 않은 마음이라(四는 不顚倒心이라).
하이고 수보리 약보살 유아상 인상 중생상 수자상 즉비보살
何以故오 須菩提야 若菩薩이 有我相과 人相과 衆生相과 壽者相하면 卽非菩薩이니라
(4상(四相)에 걸리지 않는 마음이 뒤바뀌지 않는 마음(不顚倒心)이니, 이는 한없이 많은 중생을 실제로 제도했지만, 제도했다는 생각이 조금이라도 있으면 보살이 아니다.)
무슨 까닭인가(何以故. 왜냐하면)?
수보리야!
만일 보살이 (‘내가 중생을 제도했다’는 생각이 있기만 하면 그에게는) (영원히 변하지 않는) 자아(自我)가 실재(實在)한다는 관념(我相)과, (영원히 변하지 않는) 개아(個我)가 실재한다는 관념(人相)과, (영원히 변하지 않는) 중생이 끊이지 않고 지속되는 존재를 나타낸다는 관념(衆生相)과, (영원히 변하지 않는) 영혼이 실재한다는 관념(壽者相)이 있으면, 곧 (대승의) 보살이 아니니라.』(여기까지는 뒤바뀌지 않는 마음(不顚倒心)이다).
※아상(我相)은,「영원히 변하지 않는 자아(自我)가 실재한다는 관념이다.」
한역(漢譯)에는 우리들의 몸과 마음은 물질인 색(色)과 정신인 수․상․행․식(受想行識)의 5온(五蘊)이 화합하여 이루어진 임시 집합체인 변할 수 있음(可變)의 존재가 자기 자신이 실체(實體)가 없거늘, 착각하여 실제로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참 나」의 본체를 모르고, 곧 몸뚱이에「참 나」가 있는 줄 알고, 생각이「나」인줄 아는 관념(觀念), 즉, 5온이 화합하여 생긴 몸과 마음에 실재(實在)의 나(我)가 있다고 하고, 또 나(我)의 소유라고 집착하는 소견이며, 또한 자기가 증득한 것에 집착하여 잊지 않고, 그것을 나(我)라고 고집하는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
※인상(人相)은,「영원히 변하지 않는 개아가 실재한다는 관념이다.」
한역(漢譯)에는 우리는 축생취와 지옥취와는 다르다.
나는 지금 현재 이 몸으로 장차 인연(因緣)을 따라 지옥․아귀․축생․아수라․인간․천상의 6취(六趣)에 왕래하게 될 것이다 하는 막연한 고집의 집착이다.
즉, 우리는 사람이고, 저것은 짐승이다.
‘나는 잘났다’ ‘너는 못났다’고 집착하는 관념(觀念), 또한 지혜에 집착하여 ‘나는 도를 깨달음(悟道)에 집착하지 않는다’는 등의 생각(想念)에 사로잡혀, 또 다른 집착을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성불(成佛)을 증득해 얻어야 한다는 생각(想念)까지도 없음이 무상(無相)의 경지이니, 즉 나(我)는 인간이어서 축생취 등과 다르다고 집착하는 소견이다.
※중생상(衆生相)은,「영원히 변하지 않는 중생이 끊이지 않고 지속(持續)되는 존재를 나타낸다는 관념이다.」
한역(漢譯)에는「나」는 중생이라는 상(相)에 집착한 생각(이는 마음이 아직 밝지 못했다는 말)이다.
「나」는 5온(정신적(수․상․행․식)인 것과 물질적(색)인 것이다)의 뭇 인연에 의하여 만들어져 살아가는 존재라는 고집이니, 즉 5온을 의지해서 살아가는 중생이라는 뜻이다.
중생들이 그릇된 의미에서「나의 몸은 5온이 임시로 가합(假合)된 상태」임에 집착하여 그릇된 허무공관(虛無空觀)에 빠지는 집착의 오류(誤謬)를 가리킴이니, 즉 아(我)는 5온법으로 말미암아 생긴 것이라고 집착하는 소견이다.
※수자상(壽者相)은,「영원히 변하지 않는 영혼이 실재한다는 관념이다.」
한역(漢譯)에는「나」는 일정한 기간동안 목숨의 한계가 있다고 집착하는 생각이니, 곧 일정한 기간 동안은 살아 있게 될 것이라는 막연한 고집이다.
우리는 선천적(先天的)으로 길든 짧든 간에 일정한 목숨을 타고 났다는 생각이며, 이 몸뚱이로 오래 살려고 하는 생각의 집착이다.
그러므로 운명론적(運命論的)이고, 숙명론적(宿命論的)인 집착을 가리킨다.
옛날의 속담(俗談)에, ‘하루살이가 하루 살다가 죽을 줄 모르고, 천년(千年)을 살 줄만 안다’는 말이 있다.
※ 한역(漢譯)에서는 사상(四相)이라는 것은, 결국「나」가 있다는 생각 하나로 공통됨으로,「나」가 있다고 생각할 그때에「너」를 의식하게 되고,「나」와「너」의 상대가 있을 때에 참 이치(眞理)를 보지 못함으로 인하여 뒤바뀐 생각에 떨어져 빠진다(顚倒妄念).
그래서 뒤바뀐 마음(顚倒心)에 빠진 이를 어찌 보살(菩薩)이라 하겠는가?
그러므로 보살은 모든 일에 앞서서「나」라는 집착을 비워야 한다.
보살이「나」라는 집착을 비우지 않고 6바라밀의 보살 만행(萬行)을 모두 다 닦아도 보살은 될 수 없으므로 구도자(求道者=菩薩)라고 할 수 없다(卽非菩薩).
이상은 3법문 가운데 제2 법문(중근기)(三法門中第二法門(中根機法門)이다
※ 4상(四相)의 ‘상(相)’을 산스크리트로 말하면 다음과 같다.
‘상(相)’에 대한 산스크리트는 ‘saṃjña’인데, 구마라집(鳩摩羅什)과 보리유지(菩提流支)는 ‘상(相=집착(執着))’으로 번역하고, 진제(眞諦)와 달마급다(達磨笈多)와 현장(玄奘)과 의정(義淨) 3장(三藏)은 ‘상(想=인식(認識))’으로 번역했다.
산스크리트는 ‘saṃjña’의 뜻에 가까운 것은 ‘상(想=관념((觀念))’이다.
여기에서 4상(四相)은, 단순한 인식(認識)이 아니라, 고정된 생각(固定觀念)이라고 이해한 구마라집의 견해(見解)에 따라서 ‘상(相)’을 관념(觀念)으로 해석했다.
그래서 여기의 번역을 ‘아상(我相)’은,「영원히 변하지 않는 자아(自我=아상(我相 ātman-saṃjña))가 실재(實在)한다는 관념(觀念)」으로 했다.
그래서 여기의 번역을 ‘인상(人相)’은,「영원히 변하지 않는 개아(箇我=인상(人相 pudgala-saṃjña))가 실재(實在)한다는 관념(觀念)」으로 했다.
그래서 여기의 번역을 ‘중생상(衆生相)’은, 「영원히 변하지 않는 중생(衆生=중생상(衆生相 sattva-saṃjña))이 끊이지 않고 지속(持續)되는 존재를 나타낸다는 관념(觀念)」으로 했으며, 여기에서 중생(衆生 sattva)은 불타(佛陀)의 반대어인 중생의 의미가 아니고, ‘끊이지 않고 지속(持續)되는 존재(存在 sat)’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理解)해야 한다
그래서 여기의 번역을 ‘수자상(壽者相)’은,「영원히 변하지 않는 영혼(靈魂=수자상(壽者相 jīva-saṃjña))이 실재(實在)한다는 관념(觀念)」으로 했다.
※보리유지(菩提流支)의 번역본에는 중생상․수자상․인상만이 나타나 있다.
금주의 다짐
진리이신 부처님은 무한이며 완전한 은혜로써 우리에게 임하신다. 이 은혜에 감사하는 마음이 비로소 부처님을 알게 되고 더욱 은혜를 입으며 구원을 받는다. 돌이켜 보자. 감사한 마음이 마음에 충만한가. 그리고 다시 감사한 마음을 가득히 채우자. 거기서 행복의 샘은 새롭게 솟아난다.법회 소식
오늘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오늘법회 발원대표 송파29구 명등보살 원명신
·불광생태길라잡이 매월 셋째주 일요일 오후 1시 ~ 3시, 교육원2층 및 석촌호수일대
·유아방 개방 안내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 12시, 지상 4층 (불광 포교사 운영)
·불광입문(신입법우) 교육 오후 1시 교육원 5층 강의실(반야당)
※ 매월 마지막주 일요일은 ‘새법우, 차담시간’이 불광 입문교육으로 대체됩니다.
10월 26일(금) 지장재일∙위패봉안 천도재 오전 10시, 보광당 ※관욕의식 진행
10월 27일(토) 3000배 용맹정진 오후 1시 ~ 밤 11시, 보광당 ※편한복장, 수건 준비
수험생을 위한‘강화도 보문사’성지순례
·일시 : 10월 29일(월) 오전 7시, 불광사 출발
·동참금 : 3만원
·인솔법사 : 본공스님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불광사 직원 모집 안내 ·문의 : 종무소(☏ 413-6060)
▶모집분야 : 후원 (1명)
▶모집분야 : 교육원 직원 (1명)
반야원 특판행사안내 문의 : 반야원 (☏ 419-3344)
·소백산 농산물과 송파5구 신변잡화 판매행사가 사찰 입구에서 진행됩니다.
·기다리던 여수 돌산 갓김치와 여주지역 생땅콩, 맛있는 연잎밥, 보리누룽지 들어 왔습니다.
광덕스님 바라밀 육성법문 연구회
·일시 : 매주 목, 오후 6시 30분 ~ 8시 30분
·장소 : 큰스님기념관(본당 지하2층).
반야합창단원 모집 안내
·대상 : 음성공양에 뜻이 있으신 신도님
·활동 : 매월 호법법회 음성공양 및 사중행사
·문의 : 법회사무국 / 총무 010-8742-1518
구법회 법등소식
·송파4구3법등, 송파20구4법등, 송파21구1법등, 송파27구2∙3법등, 송파33구3법등 모임이 진행되었습니다.
<다음주 구모임>
·송파20구5법등, 송파21구2법등, 송파24구1∙6법등, 송파28구2법등, 송파29구2법등 모임이 예정입니다.
대중공양봉사소개
·10/21 성남구, 10/26 송파3구, 10/28 송파2구, 11/1 송파6구, 11/4∙8 송파4구, 11/7 송파8구
축하합니다
·강동2구 무등(유지풍) 거사 실상화(손정기) 보살의 장남 유형선군과 송파12구 법우(이호현)거사 정진문(이형숙) 보살의 차녀 이수진양이 10월 27일(토) 오후 5시, 아펠가모 잠실점 2층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대원2구 명등 서암(장병휘) 거사 송파20구 연명화(오금희) 보살의 장녀 장윤아양과 이진건군이 10월 27일(토) 오후 5시 30분, 그랜드힐 컨벤션 2층 사브리나홀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송파17구4법등 이종록 거사 반야화(이한옥) 보살의 차녀 이정은양과 표철의군이 10월 28일(일) 오후 3시 30분, 더 베네치아 웨딩 3층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다음(10/28) 법회안내 : 정기 일요법회가 있습니다. 법우 형제분들의 많은 동참을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