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9월 둘째주 일요법회 > 법회보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2018년 9월 둘째주 일요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18.09.13 조회3,993회 댓글0건

본문

첨부파일 : 20180909_i2024.pdf


이주의 법문

법사 : 지오스님

大乘正宗分(대승의 근본 뜻) 제3-3
大乘正宗分(대승의 근본 뜻) 제3-3

형상이 있음(若有色)은 형태(形相=形態)는 있어도 내용이 시원치 않은 것이니, 즉 몸뚱이가 있는 중생세계(衆生界)이며, 욕계와 색계에 사는 중생들은 몸뚱이의 형상을 가진 세계에 사는 중생들이므로 ‘유색(有色)’이다.
또 수행면(修行面)으로 볼 때, 마음을 닦았으면서도 허망하게 시비(是非)를 보기에 안으로 상이 없는(無相) 이치에 계합(契合)하지 못하면, 형상이 있는(有色) 중생이 되며, 이는 외형(外形)만 가꾸고 실속이 없는 사람이다.(欲界6天 · 色界18天)
형상이 없음(若無色)은, 형태(形相=形態)는 없어도 작용은 하는 것이다(鬼神). 이는 정신(精神)만 있어서 마음만으로 살아가는 중생이다(無色界의 天人).
※무색계의 천인이란, 4공(四空;존재에 대한 집착을 없애는 4공. 法相空(天地萬有의 모양이 空)·無法相空·自法相空(자기가 행할 道의 모양이 공)·他法相空)의 이치를 깨달은 사람이다.
또 수행면(修行面)으로 볼 때, 안으로 마음에 곧은 것만 지킬 뿐 공경하고 공양하지 않고, 다만 곧은 마음이 부처인줄 만을 알고서 복덕(공경과 공양)과 지혜(참회·염불·기도·참선)를 함께 닦을 줄 모르면, 형상이 없는 중생(無色)이 되며, 이 무색(無色)은 물질을 여의고 순수한 정신적(精神的) 존재인 세계의 중생들이다.
색계(色界)의 중생들이 색신(色身)에 얽매여 자유를 얻지 못함을 싫어하고, 더 나아가서 정신의 세계(精神界)로만 들어가는 세계이니, 이 세계에는 온갖 물질(形色)은 없고, 수(受)·상(想)·행(行)·식(識)의 정신 작용만 있다.
생각이 있음(若有想)은, 공덕시경(功德施經)에 말씀하셨다.
「유상(有想)은 공무변처(空無邊處)와 식무변처(識無邊處)의 중생들은 말한다.」
또 수행면(修行面)으로 볼 때, 중도(中道)를 깨달아 알지 못하고, 눈으로 보고, 귀로 듣는 것이, 항상 마음으로 헤아리고 생각함이 있어서, 이것이 진리라는 집착이 더하여, 입으로는 부처의 행(行)을 말하지만은 마음으로는 부처의 행(行)을 그대로 행하지 못하면, 생각이 있는(有想) 중생이 된다.
선정(禪定)의 활동을 하고 있는 세계, 즉 이생각 저생각 하는 번뇌망상이 있는 세계를 말하며, 혹은 욕계와 색계에 사는 중생들을 말한다고도 한다.
생각이 없음(若無想)은, 시공덕경(施功德經)에 말씀하셨다.
「무상은 곧 무소유처이다.(無想則無所有處也)」
또 수행면(修行面)으로 볼 때, 미혹한 사람이 참선할 적에, 한갓 허망함을 없앨 뿐, 자비를 베푸는 마음과 지혜로운 방편을 베푸는 마음을 배우지 않아서, 목석(木石)처럼 살아 있으면서 활동이 없으면, 생각이 없는(無想) 중생이 된다.
이 세계는 아무 생각도 없는 하늘 나라 선정(禪定)의 세계에 사는 중생들이니, 곧 무색계천에서 깊은 선정에 들어 허망한 생각이 깊은 상태에서 사는 중생들을 말하는데, 그러나 깊은 번뇌, 곧 잠재의식은 남아 있으므로, 역시 중생을 면하지 못한다.
무색계천은 현상계(現象界)를 초월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번뇌의 잠재의식(潛在意識)은 있으며, 그러므로 무상(無想)은 잠재의식만 있는 상태의 생활이니, 잠재의식이 근본적으로 끊어진 것이 아니고, 우리에게 비하면 잠재의식까지도 끊어진 것이나 다름이 없는 세계를 말한다.
생각이 있지도 아니하고 생각이 없지도 아니함(若非有想非無想)을,(여기까지는 ‘넓고 큰 마음(黃大心)’이다).

생각이 있지도 않음(非有想)이란, 두 가지 법(法)이란 생각에 집착하지 않으므로, 생각이 있는 것도 아니다. 생각이 없지도 않음(非無想)이란, 마음에는 진리를 구하는 생각이 있으므로, 생각이 없는 것도 아니다.
그래서 있고 없고를 초월하면, 마음 속에 저절로 이러한 비유상비무상(非有想非無想)의 경지(境地)가 나오니, 마치 매우 고단할 때에, 잠이 푹 들어 깊어지면 잠에서 깨기가 싫어지는 것처럼 선정(禪定)도 그러하며, 그래서 모든 생각이 있는 것도 아니지만, 없는 것도 아닌 상태에 사는 하늘나라의 중생을 비유상비무상(非有想非無想)의 중생이라 한다.
하늘의 최고 높은 곳이 비상비비상처천(非想非非想處天)인데, 이 하늘이 그런 정신경지(精神境地)에 사는 중생들의 세계이며, 이는 무색계(無色界)의 제4천(第四天)이고, 3계(三界)의 맨 위에 있으므로 유정천(有頂天)이라고 한다.
이 천상에 태어나는 이는, 아래의 지위(地)처럼 거칠은 생각이 없으므로 비유상(非有想)이고 비무상(非無想)이며, 비유상(非有想)이므로 외도(外道)들은 진열반처(眞涅槃處)라고 하며, 비무상(非無想)이므로 불교(佛敎)에서는 이것도 생사윤회(生死輪廻)하는 곳이라도 한다.
※번뇌가 천만가지 차별이 있지만 모두 다 때(垢) 있는 마음일 뿐이고, 몸뚱이 형상(形相)이 수(數)없이 많지만, 모두 다 중생일 뿐이니, 이는 곧 난생·태생·습생·화생·유색·무색·유상·무상·비유상비무상(精靈)이다.
※9(10)류중생(九類衆生)을 삼분(三分)하면 다음과 같다.
①태어나는 형태의 분류 ; (1)태생. (2)난생. (3)습생. (4)화생.
②빛깔과 생각이 있고 · 없음의 분류 ; (1)유색. (2)무색. (3)유상. (4)무상.
③정체가 분명하지 못한 성분의 분류 ; 허공 · 흙(土) ·나무(木)에 붙은 정령이다.
귀령(저급영. 하급영) · 정령(중급영) · 신령(상급영)의 3종으로 분류한다.
(1)非有想은 생각이 있다고 할 수 없다. (2)非無想은 생각이 없다고 할 수 없다.
※10류중생(十類衆生)의 거처(居處)에 의한 분류(分類)이다.
①난생.②태생.③습생.④화생→욕계6도 · 중음신(生有.本有.死有.中有(靈鬼))
⑤유색(有色)→욕계색계6천·색계18천
⑥무색(無色)→무색계4공처
⑦유상(有想)→공무변처·식무변처
⑧무상(無想)→무소유처
⑨非有想⑩非無想→비상비비상천(유정천(有頂天))
-10류중생(⑨⑩을 합해 9류중생이라고도 한다).
※결과로 된 중생과 원인을 짓는 중생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1)결과로 된 중생은 우리 몸 밖에 있는 중생이다.
외경중생(外境衆生) ; (1)6도(六道).(2)중음신(中陰神).
(2)원인을 짓는 중생은 우리 마음 속에 있는 중생이다.
자성중생(自性衆生) ; (1)습성(習性). (2)미성(迷性). (3)수서성(隨邪性). (4)견취성(見趣性).
자성번뇌(自性煩惱) (1)태생(胎生). 숙망심(宿望心. 오래도록 품어 온 소망의 마음)(沈).
(2)난생(卵生). 부허심(浮虛心. 근거가 없고 허황한 마음)(浮).
(3)습생(濕生). 침울심(沈鬱心. 근심 걱정으로 우울한 마음)(亂).
(4)화생(化生). 감화심(感化心. 마음이나 행동이 변화하는 마음)(散).








※불교에서 말하는 구월 구일(9월 9일)의 의미는?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 한 해 1년 동안 힘써야 할 농사(農事)일과 알아야 할 풍속 범절(風俗凡節).
세시풍속(歲時風俗) ; 해마다 일정(一定)한 시기(時期)에 되풀이하여 행해 온 고유의 풍속.
중양절(重陽節) ; 1월1일. 3월3일. 5월5일. 7월7일. 9월9일.
중음절(重陰節) ; 2월2일. 4월4일. 6월6일. 8월8일. 10월10일.
구구절(九九節) ; 이를 망제(忘祭), 거리제(距里祭), 동내제사(洞內祭祀)라고도 한다.
후손이 없이 외롭게 떠도는 영혼을 달래 마을의 재앙을 물리치고자 하는 마을에서 지내는 제사(祭祀) 의식으로, 조상은 후손이 차려주는 제사밥에 의존해 사는 존재로 인식해 온 것으로 지금까지 전해져 오는 것이니, 이를 중양절(重陽節)이라 한다.
중양절(重陽節)에 제사의 많은 유형이 있겠지만 대략적으로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1)집을 나간 사라밍 오랜기간 동안 소식이 없는 사람은 죽었는지 살았는지 모르는 사람을 죽은 것으로 간주하고 살아 있는 사람이 제사를 지내준다.
(2)행방불명인 사람.
(3)외로운 친구의 영혼.
(4)기일을 모르는 조상의 제사.
(5)연고자가 없이 떠돌다 죽은 영혼.
(6)전염병으로 죽은 사람의 제사.
(7)추석 무렵에 햇곡식이 나지 않아 차례를 모시지 못한 집안에서는 이날 모신다.
(8)손(손)이 없는 길일(吉日)이라고 하여 이날에 제사를 많이 모신다.
(9)딸자식은 종교가 불교인 신랑을 만나서 시집갔으며, 아들자식은 불교가 아닌 다른 종교를 믿는 부인일 때는 제사를 모시지 않기에 시집간 딸자식이 돌아가신 친정 부모님의 영혼 등등, 후손없는 경우에 조상이 제사를 못받는 한스러운 존재로 있을 때에 제사를 모신다.
그래서 후손이 없는 사람은 자신이 살던 마음에 모든 가산을 기증하고 자신과 자신의 조상을 위한 제사를 마을 사람들에게 부탁하게 된다.
옛 사람들의 인식에 한이 많은 무주고혼(무주고혼)은 마음에 재앙을 끼칠 수 있는 존재로 여기기 때문에 마을 사람들은 이러한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고 망자(망자)가 기증한 가산으로 비용을 마련해 매년 제사를 모시게 된다.
이름을 짓지 못하고 유대관계가 없는 그들을 위한 명절이 일명 구구(9.9)절이니, 따순밥 한끼로 마음을 전한다.
※엣날 ‘장암동’이라는 동리(동리)에서 친족이 없는 여덟명(팔명)이 단신(단신)으로 살다가 인간 세상을 떠났다.
이들이 장암동에 살면서 모은 재산을 모두 동리에 희사하였다.
장암동의 동민들은 이분들의 미덕(미덕)을 기리고자 묘소(묘소)를 벌초(벌초)하고 매년 9월 9일 구구절을 정하여 동민들이 무후신제(무후신제)로 명복(명복)을 빌었다.
‘슬프도다! 시대의 변천에 따라 이분들의 팔분묘(팔분묘)를 한 곳에 모아 2015년 3월 25일 이속에 공묘(공묘)로 안장(안장)을 하게 되었다’라고 하는 비문이 있다.




금주의 다짐

어느 때나 한결같이 바라밀을 염하자. 바라밀은 무한 공덕의 근원이시니 평화, 행복, 일체 성취가 완전히 갖추었다. 일심 염하여 스스로가 바라밀 자체가 될 때 불완전, 불행, 고통 모두가 소멸하고 바라밀 공덕상이 스스로 나타난다.

법회 소식


오늘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
· 오늘법회 발원대표 송파18구 명등보살 연조
· 유아방 개방 안내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 12시, 지상 4층 (불광 포교사 운영)
· ‘신입법우 차담’ 안내 매주 일요일 오후 1시, 3층 차담실


9월 10일(월) 초하루법회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기도로 진행됩니다.


추석합동차례
․ 일시 : 9월 24일(월, 음 8/15) 오전 10시 보광당
․ 동참금 : 친․외가 각 10만원(양가 접수시 15만원)
․ 추석을 맞아 차례를 봉행 하오니, 희망 하시는 분은 사무실에 미리 접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광덕큰스님 차례 : 9월 24일(월) 오전 9시, 대웅전



불광교육원 강좌 안내 - 접수 및 문의 : 불광교육원(☏ 417-2551)
1. 74기 불교기본교육(4개월) 신입생 모집 ·등록금 : 5만원(해인사 수련회비 별도)
·개 강 : 9월 11일(화) 아침반 10시, 저녁반 7시 30분
2. 범준스님‘금강경오가해’(15주) ·동참금 : 15만원
·개 강 : 9월 4일(화) 아침반 10시, 저녁반 7시 30분
3. 이중표교수님‘불교란 무엇인가’(12주) ·동참금 : 12만원
·개 강 : 9월 14일(금) 아침반 10시


광덕스님 바라밀 육성법문 연구회
·일시 : 매주 목, 오후 6시 30분 ~ 8시 30분 ·장소 : 큰스님기념관(본당 지하2층)

반야원 특판행사안내 문의 : 반야원 (☏ 419-3344)
·하은이네 과자에서 수제품으로 만든 각종 강정과 선물세트를 사찰입구에서 특판합니다.
·태양초 고춧가루 들어왔습니다.(1근 400g 16,000원) 값도 저렴하고 품질도 좋습니다.
·보리 누룽지, 곤약시리얼과 함께 추석 제수용품과 선물용품 준비하였습니다.

구법회 법등소식 ·송파20구 4법등, 송파21구 3법등 모임이 진행되었습니다.

<다음주 구모임> ·송파21구 임원․1․2․4법등, 송파25구 임원․2법등 모임이 있을 예정입니다.

대중공양봉사소개
·9/9 송파33구, 9/10 강동2구, 9/16 강동1구, 9/27 송파2구, 9/30 강서구․관악구․동작구

축하합니다
·송파10구 문현법등 이오동 거사 원묘(박복남) 보살의 아들 이상래군과 김은영양이
9월 9일(일), 낮 12시 30분, 웨딩헤너스 3층 아이리스홀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송파26구 이주영 거사 선학 여원행(양정희) 보살의 장남 이규열군과 오인경양이
9월 15일(토), 낮 12시 30분, 부산 노보텔앰배서더호텔 야외가든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왕생극락을 기원합니다
·9월 5일 송파5구 재무 성덕 보살의 친정어머니


※ 위 한 분이 세상 인연이 다하여 이 땅을 하직하셨습니다.

다음(9/16) 법회안내 : 지오스님의 법문이 있습니다. 법우 형제분들의 많은 동참을 바랍니다.



꽃비

꽃비 [불기 2562년 9월 9일(일)]
연꽃(어린이)법회후원금 1층헌공함 36,000
목련싣달(청소년)법회후원금 1층헌공함 24,000
금강(청년)법회후원금 1층헌공함 13,000
차량헌공금 수험생갓바위순례 685,680
복지기금 1층헌공함 69,000Ⅰ김동학 이우영 20,000
보광당꽃공양 보광운 묘행 현묘행

불사 봉납 18년 총액 513,929,000 (9/1 ~ 9/7 합계 3,540,000)

[만불전불사] 300,000 이동준
[만불봉안] 110,000 유영주Ⅰ90,000 류원식Ⅰ60,000 오창준 유혁종Ⅰ50,000 구현우 김민지 박상현 이상영 장병규Ⅰ45,000 송예나 유흥주 이희숙 정수현Ⅰ40,000 정진희Ⅰ30,000 [亡]김선철 [亡]윤정순 [亡]이태영 강대호 공민경 곽언년 권숙경 권은경 권은경 김다연 김도연 김례순 김민준 김범수 김보영 김서아 김시용 김시정 김운경 김윤지 김정섭 김정안 김정안 김지영 김지훈 김향금 김효곤 노하윤 노환성 문건호 박경언 박경환 박규리 박정애 박종선 박채규 박하원 백수산 변창욱 손종백 안욱 안현 유영탁 유진호 윤승정 윤주완 은인자 이건 이미경 이병철 이성민 이원진 이은경 이은정 이재근 이현준 이현준 이희세 임율 전승완 전지선 정상규 조동완 조은희 조재은 조재은 최원주 최진희 허윤석 허윤철 황장덕Ⅰ20,000 [亡]김동두 [亡]김정순 [亡]이귀득 [亡]이익순 [亡]홍귀분 민나영 윤진아 임준섭Ⅰ15,000 박민영 최연우Ⅰ10,000 강경순 김경미 김문진 김용균 김우성 김주완 김형수 민원근 박미자 이우재 임지환 조덕인 조진환

불광장학회 후원금 (9/1~ 9/7 합계 241,000)

50,000 김원향Ⅰ31,000 1층헌공함Ⅰ10,000 가정희 김용주 김지하 김형숙 박종선 신훈진 안미경 윤두연 정춘란 조명숙 하성렬Ⅰ5,000 나현주 노월수 문화진 성자연 양희주 이성협 이정선 전은영 조연식 최미옥

불광연구원 후원금 (9/1~ 9/7 합계 150,000)

100,000 이정민Ⅰ10,000 목경찬 이혜주 정춘란 1층헌공함Ⅰ5,000 권부남 박지연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