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8월 넷째주 일요법회 > 법회보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2018년 8월 넷째주 일요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18.09.13 조회3,924회 댓글0건

본문

첨부파일 : 20180826_i2022.pdf


이주의 법문

법사 : 지오스님

大乘正宗分(대승의 근본 뜻) 제3-2
大乘正宗分(대승의 근본 뜻) 제3-2
습기로 태어남(若濕生)은, 습기에서 나는 것과 물에서 나는 것은, 자기의 몸뚱이를 남에게 잃어버릴까 염려하여 항상 감추던 습관으로 물고기가 된다고 한다.
새들이 어떤 시기(時期)에 물속에 들어가 조개가 되고, 꿩이 가을에 물속에 들어가 조개가 된다고 한다.
습생(濕生)의 과보(果報)는, 자기 몸을 감추는 데에서 일어나니, 모기·물고기·귀뚜라미·세균·쥐벼룩·나비 등은 숨(기)는 마음이다.
삿된 성품을 익히고, 삿된 것을 따르기 때문에 마음이 안정하지 못하게 된다.
변화로 태어남(若化生)은, 육신과 같은 자체(自體)가 없으면서, 또 의탁한데도 없이 홀연히 생겨나는 것이므로, 주로 습기나 더러운 곳에서 생기며, 더러운 물질이 모여 거기서 솟아나는 것을 우리는 볼 수 있다.
화생(化生)은 자체(自體)가 없으며, 의탁하는 데도 없으면서, 홀연히 생기는 생물이기 때문에, 겁초(劫初)에 나는 사람들이나, 모든 천상·지옥(형체에 구애없이 이 몸 그대로가 가서 태어나는 것이다)에 나는 존재를 가리키기도 한다.
꿈속의 몸뚱이(즉 記憶의 몸뚱이)도 포함되며, 이는 재촉하는 성품의 탓이며, 소견(所見)이 재촉하므로 자주 화생(化生)에 떨어지게 된다.
화신(化身)의 과보(果報)는, 자기를 들어내겠다는 마음(과장시키는 마음)을 가진 것인데, 자기 자신이 들어낼 자격은 없으면서도 들어낼 것을 자주 궁리를 하게 되면, 화생(化生)의 과보(果報)로 나타나며, 파리도 이에 속한다.
또 공덕(功德)과 과보(果報)로 받은 불신(佛身)도 화신(化身)이며, 꿈에 육신이 마음으로 나타난 것도, 우리 인간은 모두 화신(化身;分身)이며, 불타(佛陀)의 화신(化身)은 중생들을 제도하기 위하여 알맞은 대상으로 화현(化現)하는 것이다.
불타(佛陀)의 보신(報身)은, 불(佛)이 보살행을 닦을 때에 지은 한량없는 공덕으로 만덕(萬德)이 원만한 불신(佛身)을 뜻하며, 자수용보신(自受用報身)은 자신만이 법열(法悅)을 느끼는 것이며, 타수용보신(他受用報身)은, 남도 같이 법열을 받을 수 있는 보신(報身)을 받는 것이다.
※청담스님의 말씀을 일례(一例)로 들면 이러하다.
‘일제 때 원산에서 있었던 실화(實話)인데, 어떤 한 청년이 많은 고민이 있어서 하루날 달밤에 명사십리(明沙十里)로 나가서 거닐고 있는데, 어떤 처녀가 앞에 나타나 걸어가는 것을 보고 청년은 뒤따라갔고, 따라간 곳이 그 처녀의 집이었다.
처녀는 방에 들어가고, 청년은 마당에 있었다.
한참 마당에 있으니, 방에서 남자(父)가 나와서 도둑으로 몰아 경찰에 신고하였고, 연행된 청년은 도둑으로 잡힌 내용을 사실대로 말했다.
그 처녀의 아버지는 말했다.「우리 딸이 3개월 동안 병석(病席)에 누워 있는데, 명사십리에 나가지 않았다.」 그때 처녀가 아버지를 불러서 말했다.
「제가 어제 저녁에 하도 명사십리에 나가서 거닐고 싶어서 생각하고 잠을 잤는데, 꿈에 명사십리를 거닐고 있으니, 어떤 청년이 나를 뒤따라 왔습니다. 그 분인 것 같으니, 놓아주십시오.」 그래서 청년은 도둑의 누명에서 풀려났다.‘
이 말은 꿈의 몸(化身)이 마음으로 화(化)하여 된 자기의 분신이 나타난 것이다.



금주의 다짐

언제나 바라밀을 염하여 부처님 진리와 하나임을 행하는 사람은 그릇된 판단이나 실수를 범하지 않고, 재난을 만나지 않게 된다. 또한 자기 주장을 타인에게 강요하지도 않는다. 이론이 있을 때는 논쟁을 하지 않고 도리어 저의 완전한 지혜 판단을 기도한다. 그래서 서로가 평화하고 공동 향상의 길을 연다.

법회 소식


오늘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
· 오늘법회 발원대표 송파15구 명등보살 대법선
· 유아방 개방 안내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 12시, 지상 4층 (불광 포교사 운영)
· 불광입문(신입법우) 교육 오후 1시 교육원 5층 강의실(반야당)
※ 매월 마지막주 일요일은 ‘새법우, 차담시간’이 불광 입문교육으로 대체됩니다.



8월 28일(화) 지장재일 오전 10시, 보광당


학업성취 100일 기도
·회향 : 11월 14일(수),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2019년 대입수능시험을 맞이하여 수험생 불자를 위한 학업성취 100일 기도를 봉행합니다.
·동참금 : 100,000원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 학업성취 3000배 용맹정진 10월 27일(토) 오후 1시 ~ 밤 11시


수험생을 위한‘갓바위 선본사’성지순례
·일 시 : 8월 30일(목) 오전 6시 30분, 출발
·동참금 : 4만원
·문 의 : 종무소(☏ 413-6060)


추석합동차례
․ 일시 : 9월 24일(월, 음 8/15) 오전 10시 보광당
․ 동참금 : 친․외가 각 10만원(양가 접수시 15만원)
․ 추석을 맞아 차례를 봉행 하오니, 희망 하시는 분은 사무실에 미리 접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광덕큰스님 차례 : 9월 24일(월) 오전 9시, 대웅전

광덕스님 바라밀 육성법문 연구회
·일시 : 매주 목, 오후 6시 30분 ~ 8시 30분 ·장소 : 큰스님기념관(본당 지하2층)

BTN 광덕큰스님 영상법문 방영시간 안내
·본 방 : 매주 화요일 오전 9시 30분
·재 방 : 매주 화요일 오후 5시 30분 / 수요일 저녁 8시 30분 / 토요일 09시 30분
※ 불광형제 여러분들의 많은 시청 바랍니다.

불광사 직원 모집 안내
·모집분야 : 전기기사 (남 1명) / 후원보살 (여 1명)
·문 의 : 종무소(☏ 413-6060)


불광교육원 강좌 안내 - 접수 및 문의 : 불광교육원(☏ 417-2551)
1. 74기 불교기본교육(4개월) 신입생 모집
·개강 : 아침반, 저녁반 9월 11일(화)
·시간 : 아침반 오전 10시 / 저녁반 저녁 7시 30분
·등록금 : 5만원(해인사 수련회비 별도)
2. 범준스님‘금강경오가해’(15주)
·개강 : 아침반, 저녁반 9월 4일(화)
·시간 : 아침반 오전 10시 / 저녁반 저녁 7시 30분
·동참금 : 15만원
3. 이중표교수님‘불교란 무엇인가’(12주)
·개강 : 아침반 9월 14일(금)
·시간 : 아침반 오전 10시
·동참금 : 12만원


구법회 법등소식 ·송파21구 구법회 모임이 진행되었습니다.


대중공양봉사소개
·8/26 강동6구, 8/28 송파31구, 9/2 강동2구, 9/3 강동6구, 9/5 강동1구

축하합니다
·강동2구 7법등 신윤태 거사 복덕행(정현채) 보살의 차남 신지웅군과 송은선양이 9월 1일(토) 오후 12시20분, 더컨벤션 문정점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대원3구 도원(김헌영) 前수석부회장 송파10구 보리도(권연희) 보살의 장남 김희동군과 임하나양이 9월 2일(일) 오후 3시, 우리은행 본점 4층 대강당홀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꽃비

꽃비 [불기 2562년 8월 26일(일)]

백중헌공금 김동학 100,000

불사 봉납 18년 총액 503,102,000 (8/18 ~ 8/24 합계 558,000)

[만불봉안] 108,000 문비호Ⅰ100,000 [亡]이재완Ⅰ90,000 [亡]김맹금Ⅰ80,000 [亡]이재완Ⅰ30,000 김태련 윤태영 장길우 장명석 최승현 최찬이

불광장학회 후원금 (8/18~ 8/24 합계 0)

■ 불광장학회 후원 안내
·정기후원 : 매월 일정금액을 보시합니다. (종무소에 비치된 CMS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일반후원 : 금액에 관계없이 일시불, 혹은 분납하실 수 있습니다.
·후원계좌 : 신한은행 100-022-971036 대한불교조계종 불광사

불광연구원 후원금 (8/18~ 8/24 합계 0)

■ 불광연구원 연구기금 후원 안내
·정기후원 : 매월 일정금액을 보시합니다. (종무소에 비치된 CMS로 신청하시면 됩니다.)
·일반후원 : 금액에 관계없이 일시불, 혹은 분납하실 수 있습니다.
·계좌안내 : 신한은행 140-007-970690 대한불교조계종 불광사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