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8월 둘째주 일요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18.09.13 조회3,825회 댓글0건본문
첨부파일 : 20180812_i2020.pdf
善現起請分(수보리가 법을 물음) 제 2-2
善現起請分(수보리가 법을 물음) 제 2-2
제2분은 반야지혜를 개발하고, 개발키 위해 공(空)의 원리를 알아야 한다. 반야지혜란, 분별하는 의식이 끊어진 지혜이니, 상대적인 사변적 지혜(思辨的智慧)인 말이나, 생각으로 따져서 아는 지혜가 없는 곳이 나타나는 지혜다. 금강경의 내용은 공(空)을 말하며, 어디에도 집착하지 못하게 했으니, 이런 법문을 수보리가 부처님에게 질문하여 부처님과의 대화자가 된 것이다.
집착(아법집)이 끊어진 공은 실상반야(구공)이니, 구공의 진리를 수보리가 깨달았기에, 해공(혜명)제일이며, 수보리는 출생부터 지혜가 있었다고 한다.
※제자가 스승에게 청법하는 5종위의를 문법오의(문법오의)라 한다.
①즉종좌기.②편단우견.③우슬착지.④합장(合掌瞻仰).⑤공경(一心恭敬).
수보리는 진리의 깊은 이치를 부처님의 직접적인 행에서 놓치지 않고 간파(看破)했으며, 이것이 불교수행 중에 특징이니, 말이 없는 곳에서 말을 들었기 때문이다. 보살은 상구보리 하화중생의 보살서원이 있기에 부처님은 어느 정도 수행된 보살에게는 지혜의 힘을 더해 주어 보살 스스로의 수행이 더욱 깊어지게 하고, 교화하는 방편의 힘을 더해 주어 중생들을 교화하도록 해주시므로 ‘선호념 제보살’이다.
수행이 완숙하지 못한 보살에겐 지혜있는 보살들이 미성숙한 보살들을 중도에서 후퇴하여 소승에 빠지지 않도록 부처님께서 당부해 주시므로 ‘선부촉 제보살’이다.
이렇게 부처님께서 선교방편으로 대중에게 관심을 기우려서 자비심으로 가르치는 것을 수보리가 보고, 부처님께 「선호념제보살 선부촉제보살」하고 불타를 찬탄했다.
※발아누다라삼먁삼보리심은 반야지혜로 무상정등정각심을 발심한 말이다. 즉 ‘참 나’라는 불법의 원리에 조금도 의심없는 사람의 마음을 말함이다.
아는 무(無)이며,
누다라는 상(上=三界無能比)이며,
삼은 정(=正見)이며,
먁은 등(等이=一切智)이며,
삼은 정(=正見)이며,
보리는 각(覺이=知一切有情 皆有佛性 但能修行 盡得成佛)이다.
※수보리의 질문을 세분하면 다음과 같다.
①응당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②어떻게 산란스러운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합니까?
③어떻게 수행해야 합니까?
④어떻게 보리심을 일으켜야 합니까?
※보살의 궁극적 목표는 무엇인가?
아누다라삼먁삼보리를 깨달아 얻는 것이다.
보살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려면, 세 가지를 해야 한다.
①항상 마음을 한 곳에 머물러야 한다.
②마음을 한 곳에 모으기 위해 끊임없는 수행이 있어야 한다.
③두 가지를 아무리 노력해도 안 될 때는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 그래서 보리유지삼장은 ‘운하주 운하항복기심’에서 ‘운하주(云何住) 운하수행(云何修行) 운하항복기심(云何降伏其心)’이라는 세 가지의 질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응운하주 운하항복기심’은,
①600부 반야경의 핵심이다.
②마음을 쉬는 방법을 질문한 것이다
③금강반야바라밀의 법문을 청한 부분이다.
언어도단(言語道斷)이고 심행처멸(心行處滅)인 금강반야의 법(金剛般若法)에서, 언어(言語)와 문자(文字)로 법문을 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이 잔잔한 물에 파도를 일으킨 설정이 되었으니, 이것이 금강경을 설한 과정이다.
※영산회상에서 어느날 설법한 때에 문수보살이 대중 속에 있따가 일어나서 『법왕의 법을 살피건대 법왕의 법이란 이러이러 하십니다』라고 하니, 부처님께서 법상에서 내려오셨다.
‘응운하주 운하항복기심’은, 육체(肉體)가 「나」라는 이 마음을 뿌리채 뽑아서 잠재의식(潛在意識)조차 모두 다 없어지도록 수행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겠습니까 라고 하는 물음에, 부처님께서 우리에게 던져신 것이다.
①조건없는 마음의 생활이 부처님의 일거일동(一擧一動)이다.
우리는 살아 있어야 물질이나 허공 등을 만들 수 있으며, 우주의 핵심을 「나」 자신에서부터 찾아야 하고 핵심에서 모든 성현들도 만날 수 있으니, 이 마음이 무조건의 마음이 된다.
부처님께서 걸식하신 것이 마음 그대로의 인생 전체의 행동이고, 이 행동에는 설명이 필요치 않으며, 이러한 마음을 알고(知)·보고(見)·듣고(聞) 하려면, 일체가 공(空)한 진리를 깨달아야 한다.
②일체의 핵심은 공(空)의 진리다.
우리들은 육체가 「나」 라는 생각(念)이 붙어서 일정 시간까지만 있는 가아(假我)가 생긴 것이니, 이러한 집착의 생각이 없어야 부처님께서 행동으로 보여주신 무언의 설법(無言說法)을 알 수 있다.
③부처님은 살아 있는 것과 죽은 것을 보여 주셨다.
우리의 마음 자리는 모든 것을 초월한 것이고, 마음은 영원히 살아 있는 것이며(不生不滅), 절대평등한 것이 우리의 마음자리이니, 그러면 죽은 것은 무엇인가?
무정물일 것이고,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스스로의 마음 자리를 보지 못한 사람일 것이며, 마음 자리를 보지 못한 사람은 살아 있다고 해도 육체적인 몸뚱아리만 살아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자신의 마음 성품(心性)을 나타내고 부처님의 무언설법을 알 수 있도록 수행정진해야 한다.
④우주는 오직 마음이 현상으로 나타난 것이다.
우주는 「나」 가 태어나기 이전에는 나에게는 없었으며, 현상계(現象界)의 모든 것은 생각의 발로(發露)이며, 환상일 뿐이며, 실체인 영원불변(永遠不變)의 것은 아니며, 마음은 본래 평등하고 자유롭고 완전한 것이기 때문에, 우리는 현상계에서 마음처럼 완전한 것을 생각해 볼 수 없다. 또 마음은 신령하고 살아 있는 생명이며, 우주의 본체이므로 있는 것과 없는 것을 모두 창조해 낼 수 있으니, 그래서 이 유형세계(有形世界)의 구성은 자기의 연령(年齡)과 같다고 하는 말이 있다.
⑤자기의 마음자리를 본 사람이라야 전지전능한 사람이다.
전지전능한 사람은,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될 구세주이며, 마음을 깨치면 모르는 것이 없고(全知), 근심 걱정이 없어져서 완전한 자유와 즐거움을 얻게 된다(全能).
그래서 세상을 바로 깨우쳐 주고, 중생들을 바른 길로 이끌어 주어 고통이 없는 길이 있음을 일러주고, 개발해 주는 보살정신이 없이는, 현대의 인성교육(人性敎育)은 기대할 수 없다.
육체가 영원한 「나」인 줄로 착각하고 집착해 있는 자가 물질문명(物質文明) 속에서 아무리 발버둥쳐도 파초(芭蕉)의 껍질만 벗기는 격이니, 파초는 아무리 벗겨도 알맹이는 없고 껍질 뿐이다.
이것이 실상이 없는 인간사회이고, 자기를 망각한 인간의 소치(所致)이다.
⑥아누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 사람의 마음가짐은 이러하다.
현실에서 당하는 일체의 모든 일은, 인과의 과보를 받는 것이다는 생각으로 받고 당하면, 이것이 발아누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낸 사람의 마음가짐일 것이다.
⓻아누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하려면, 세 단계를 성취해야 한다.
㉠광대한 마음(廣大心)·으뜸가는 마음(第一心)·항상한 중단없는 마음(常心)·뒤바뀌지 않는 마음(不顚倒心)인 4심법(四心法)에 의해 살아야 한다.
㉡보살수행(菩薩修行)의 덕목(德目)인 6바라밀을 수행(修行)해야 한다.
㉢아상(我相)·인상(人相)·중생상(衆生相)·수자상(壽者相=靈魂)의 4상의 산(四相山)에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⓼삿된 마음을 갖지 말고 바른 믿음을 가져야 한다.
무엇을 하든지 간에 「되면 이익이고, 안되면 본전이다.」라는 생각으로 수행정진을 하지 말고, 언제나 올바른 용맹심으로 정진해야 한다.
바른 스승을 만나면 정성을 다하여 공부해야 하며, 올바르게 가르치는 스승을 만난 것은 수천생 수만생(數千生數萬生)의 인연이 없이는 만날 수가 없다.
그러므로 바른 스승을 만나면 이것이 바로 8만대장경을 만난 것이고, 선지식을 만난 것이고, 부처님을 만난 것이라고 믿고 열심히 수행해야 한다.
※부처님과 수보리와의 문답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1)(문)어떻게 살아야(머물러야) 합니까(云何住)(대승정본분 제3에 나온다).
(답)4심법에 머물라(住四心法)(㉠광대심.㉡제일심.㉢상심.㉣부전도심)
(2)(문)어떻게 수행해야 합니까(云何修行)(묘행무주분 제4에 나온다).
(답)6바라밀을 수행하라(修行六波羅蜜)
㉠보시(재보시·법보시·무외보시).㉡지계(섭율의계·섭선법계·섭중생계).㉢인욕(원한심·복수심을 품지 않음).㉣정진.㉤선정.㉥지혜.
(3)(문)어떻게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합니까(云何降伏其心)
(답)4상에 집착하지 말라(不着四相)(㉠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
※다음의 제3 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부터는 아누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의 발심(發心)하는 법(法)을 차례차례로 자세히 밝혔다.
오늘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
· 오늘법회 발원대표 송파6구 명등보살 보상원
· 유아방 개방 안내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 12시, 지상 4층 (불광 포교사 운영)
· ‘신입법우 차담’ 안내 매주 일요일 오후 1시, 3층 차담실
일요일 낮 12시 50분까지 3층 차담실로 오시면 새법우교육팀의 안내를 받아 차담에
동참하실 수 있습니다.(단, 매월 마지막주 일요일은 불광입문 교육으로 대체됩니다.)
8월 17일(금) 칠석법회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축원 2만원
8월 17일(금) 구도정진 저녁 9시 ~ 익일 새벽 4시, 보광당
동참구법회 : 광진1구, 광진2구, 노원구, 대원2구, 대원3구, 송파4구, 송파5구, 송파6구
8월 18일(토) 백중 6재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학업성취 100일 기도
·입재 : 8월 7일(화)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회향 : 11월 14일(수)
·2019년 대입수능시험을 맞이하여 수험생 불자를 위한 학업성취 100일 기도를 봉행합니다.
·동참금 : 100,000원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 학업성취 3000배 용맹정진 10월 27일(토) 오후 1시 ~ 밤 11시
광덕큰스님 육성법문 공부모임 ·일시 : 매주 목, 오후 7시~9시
BTN 광덕큰스님 영상법문 방영시간 안내
·본방 : 매주 화요일 오전 9시 30분
·재방 : 매주 화요일 오후 5시 30분 / 수요일 저녁 8시 30분 / 토요일 09시 30분
※ 불광형제 여러분들의 많은 시청 바랍니다.
반야원 특판행사안내 문의 : 반야원 (☏ 419-3344)
·소백산 자락 아오리 사과 특판행사
- 귀촌농부가 정성들여 키운 아오리사과 특판행사를 사찰입구에서 진행합니다. 마른 나물, 장아찌도 함께 선 보입니다.
불광사 직원 모집 안내
·모집분야 : 전기기사 (남 1명) / 후원보살 (여 1명)
·문의 : 종무소(☏ 413-6060)
구법회 법등소식 ·송파25구 임원 모임이 진행되었습니다.
<다음주 구모임> ·송파25구 구법회 모임이 있을 예정입니다.
대중공양봉사소개 ·8/12 송파30구, 8/17 강남구, 8/18 강동3구, 8/25 광진1구,
8/26 강동6구, 8/28 송파31구, 9/2 강동2구
왕생극락을 기원합니다
·8월 4일 송파20구 5법등 반야 금강문 보살의 친정어머니
※ 위 한 분이 세상 인연이 다하여 이 땅을 하직하셨습니다.
다음(8/19) 법회안내 : 지오스님의 법문이 있습니다. 법우 형제분들의 많은 동참을 바랍니다.
백중헌공금 형석우 200,000Ⅰ이원식 100,000
복지기금·자비의반찬 김동학 이우영 20,000
보광당꽃공양 지혜운 지덕심 보광운 현묘행 묘행
불사 봉납 18년 총액 499,409,000 (8/1 ~ 8/10 합계 4,728,000)
[만불전불사] 200,000 이동준Ⅰ100,000 권용락 도회우Ⅰ30,000 김세나 김세원 김현필 정윤혜
[만불봉안] 300,000 [亡]권영호Ⅰ150,000 고명철Ⅰ108,000 조봉덕Ⅰ100,000 김미영Ⅰ90,000 류원식Ⅰ60,000 오창준Ⅰ50,000 구현우 장병규 장현태Ⅰ45,000 송예나 유흥주 이희숙 장진욱 최진영 최진혁Ⅰ40,000 정진희Ⅰ30,000 [亡]김선철 [亡]문성용 [亡]윤정순 [亡]이태영 강대호 공민경 권숙경 권은경 권은경 김경오 김광훈 김다연 김도연 김례순 김민준 김범수 김병주 김보영 김서아 김시용 김시정 김영순 김운경 김운경 김윤지 김정섭 김지영 김지훈 김향금 김효곤 노하윤 노환성 문건호 문소희 박경식 박경언 박경희 박규리 박은희 박정애 박종선 박채규 박하원 백수산 변창욱 손종백 송정미 안욱 안현 양용옥 오종순 오형관 유영탁 유진호 윤승정 윤주완 은인자 이건 이남윤 이미경 이병철 이성민 이원진 이은경 이은정 이재근 이춘임 이현준 이현준 이희세 임율 장민제 전승완 정종길 조동완 조은희 지승훈 진선필 채정옥 최원주 최진희 허윤석 허윤철 황장덕Ⅰ20,000 [亡]김동두 [亡]김정순 [亡]이귀득 [亡]이익순 [亡]홍귀분 김덕현 김보현 김상현 민나영 윤진아 임준섭Ⅰ15,000 박민영 최연우Ⅰ10,000 강경순 김경미 김문진 김성희 김용균 김우성 김주완 김형수 민원근 민초아 박미자 신정은 신태섭 이우재 임지환 조덕인 조진환
불광장학회 후원금 (8/1~ 8/10 합계 330,000)
50,000 강지연 김원향Ⅰ30,000 이남경Ⅰ20,000 임육남Ⅰ10,000 가정희 김분희 김용주 김지하 김형숙 문선희 박종선 서순애 신화옥 신훈진 안미경 조명숙 하성렬Ⅰ5,000 노월수 문화진 성자연 심옥순 양희주 이성협 이정선 전은영 조연식 최미옥
불광연구원 후원금 (8/1~ 8/10 합계 205,000)
100,000 이정민Ⅰ50,000 김봉기Ⅰ10,000 김윤제 김은주 목경찬 이혜주 정행자Ⅰ5,000 김미주
이주의 법문
법사 : 지오스님善現起請分(수보리가 법을 물음) 제 2-2
善現起請分(수보리가 법을 물음) 제 2-2
제2분은 반야지혜를 개발하고, 개발키 위해 공(空)의 원리를 알아야 한다. 반야지혜란, 분별하는 의식이 끊어진 지혜이니, 상대적인 사변적 지혜(思辨的智慧)인 말이나, 생각으로 따져서 아는 지혜가 없는 곳이 나타나는 지혜다. 금강경의 내용은 공(空)을 말하며, 어디에도 집착하지 못하게 했으니, 이런 법문을 수보리가 부처님에게 질문하여 부처님과의 대화자가 된 것이다.
집착(아법집)이 끊어진 공은 실상반야(구공)이니, 구공의 진리를 수보리가 깨달았기에, 해공(혜명)제일이며, 수보리는 출생부터 지혜가 있었다고 한다.
※제자가 스승에게 청법하는 5종위의를 문법오의(문법오의)라 한다.
①즉종좌기.②편단우견.③우슬착지.④합장(合掌瞻仰).⑤공경(一心恭敬).
수보리는 진리의 깊은 이치를 부처님의 직접적인 행에서 놓치지 않고 간파(看破)했으며, 이것이 불교수행 중에 특징이니, 말이 없는 곳에서 말을 들었기 때문이다. 보살은 상구보리 하화중생의 보살서원이 있기에 부처님은 어느 정도 수행된 보살에게는 지혜의 힘을 더해 주어 보살 스스로의 수행이 더욱 깊어지게 하고, 교화하는 방편의 힘을 더해 주어 중생들을 교화하도록 해주시므로 ‘선호념 제보살’이다.
수행이 완숙하지 못한 보살에겐 지혜있는 보살들이 미성숙한 보살들을 중도에서 후퇴하여 소승에 빠지지 않도록 부처님께서 당부해 주시므로 ‘선부촉 제보살’이다.
이렇게 부처님께서 선교방편으로 대중에게 관심을 기우려서 자비심으로 가르치는 것을 수보리가 보고, 부처님께 「선호념제보살 선부촉제보살」하고 불타를 찬탄했다.
※발아누다라삼먁삼보리심은 반야지혜로 무상정등정각심을 발심한 말이다. 즉 ‘참 나’라는 불법의 원리에 조금도 의심없는 사람의 마음을 말함이다.
아는 무(無)이며,
누다라는 상(上=三界無能比)이며,
삼은 정(=正見)이며,
먁은 등(等이=一切智)이며,
삼은 정(=正見)이며,
보리는 각(覺이=知一切有情 皆有佛性 但能修行 盡得成佛)이다.
※수보리의 질문을 세분하면 다음과 같다.
①응당 어떻게 살아야 합니까?
②어떻게 산란스러운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합니까?
③어떻게 수행해야 합니까?
④어떻게 보리심을 일으켜야 합니까?
※보살의 궁극적 목표는 무엇인가?
아누다라삼먁삼보리를 깨달아 얻는 것이다.
보살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려면, 세 가지를 해야 한다.
①항상 마음을 한 곳에 머물러야 한다.
②마음을 한 곳에 모으기 위해 끊임없는 수행이 있어야 한다.
③두 가지를 아무리 노력해도 안 될 때는 마음을 다스려야 한다. 그래서 보리유지삼장은 ‘운하주 운하항복기심’에서 ‘운하주(云何住) 운하수행(云何修行) 운하항복기심(云何降伏其心)’이라는 세 가지의 질문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응운하주 운하항복기심’은,
①600부 반야경의 핵심이다.
②마음을 쉬는 방법을 질문한 것이다
③금강반야바라밀의 법문을 청한 부분이다.
언어도단(言語道斷)이고 심행처멸(心行處滅)인 금강반야의 법(金剛般若法)에서, 언어(言語)와 문자(文字)로 법문을 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이 잔잔한 물에 파도를 일으킨 설정이 되었으니, 이것이 금강경을 설한 과정이다.
※영산회상에서 어느날 설법한 때에 문수보살이 대중 속에 있따가 일어나서 『법왕의 법을 살피건대 법왕의 법이란 이러이러 하십니다』라고 하니, 부처님께서 법상에서 내려오셨다.
‘응운하주 운하항복기심’은, 육체(肉體)가 「나」라는 이 마음을 뿌리채 뽑아서 잠재의식(潛在意識)조차 모두 다 없어지도록 수행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겠습니까 라고 하는 물음에, 부처님께서 우리에게 던져신 것이다.
①조건없는 마음의 생활이 부처님의 일거일동(一擧一動)이다.
우리는 살아 있어야 물질이나 허공 등을 만들 수 있으며, 우주의 핵심을 「나」 자신에서부터 찾아야 하고 핵심에서 모든 성현들도 만날 수 있으니, 이 마음이 무조건의 마음이 된다.
부처님께서 걸식하신 것이 마음 그대로의 인생 전체의 행동이고, 이 행동에는 설명이 필요치 않으며, 이러한 마음을 알고(知)·보고(見)·듣고(聞) 하려면, 일체가 공(空)한 진리를 깨달아야 한다.
②일체의 핵심은 공(空)의 진리다.
우리들은 육체가 「나」 라는 생각(念)이 붙어서 일정 시간까지만 있는 가아(假我)가 생긴 것이니, 이러한 집착의 생각이 없어야 부처님께서 행동으로 보여주신 무언의 설법(無言說法)을 알 수 있다.
③부처님은 살아 있는 것과 죽은 것을 보여 주셨다.
우리의 마음 자리는 모든 것을 초월한 것이고, 마음은 영원히 살아 있는 것이며(不生不滅), 절대평등한 것이 우리의 마음자리이니, 그러면 죽은 것은 무엇인가?
무정물일 것이고,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스스로의 마음 자리를 보지 못한 사람일 것이며, 마음 자리를 보지 못한 사람은 살아 있다고 해도 육체적인 몸뚱아리만 살아 있을 뿐이다. 그러므로 자신의 마음 성품(心性)을 나타내고 부처님의 무언설법을 알 수 있도록 수행정진해야 한다.
④우주는 오직 마음이 현상으로 나타난 것이다.
우주는 「나」 가 태어나기 이전에는 나에게는 없었으며, 현상계(現象界)의 모든 것은 생각의 발로(發露)이며, 환상일 뿐이며, 실체인 영원불변(永遠不變)의 것은 아니며, 마음은 본래 평등하고 자유롭고 완전한 것이기 때문에, 우리는 현상계에서 마음처럼 완전한 것을 생각해 볼 수 없다. 또 마음은 신령하고 살아 있는 생명이며, 우주의 본체이므로 있는 것과 없는 것을 모두 창조해 낼 수 있으니, 그래서 이 유형세계(有形世界)의 구성은 자기의 연령(年齡)과 같다고 하는 말이 있다.
⑤자기의 마음자리를 본 사람이라야 전지전능한 사람이다.
전지전능한 사람은, 현대인에게 없어서는 안될 구세주이며, 마음을 깨치면 모르는 것이 없고(全知), 근심 걱정이 없어져서 완전한 자유와 즐거움을 얻게 된다(全能).
그래서 세상을 바로 깨우쳐 주고, 중생들을 바른 길로 이끌어 주어 고통이 없는 길이 있음을 일러주고, 개발해 주는 보살정신이 없이는, 현대의 인성교육(人性敎育)은 기대할 수 없다.
육체가 영원한 「나」인 줄로 착각하고 집착해 있는 자가 물질문명(物質文明) 속에서 아무리 발버둥쳐도 파초(芭蕉)의 껍질만 벗기는 격이니, 파초는 아무리 벗겨도 알맹이는 없고 껍질 뿐이다.
이것이 실상이 없는 인간사회이고, 자기를 망각한 인간의 소치(所致)이다.
⑥아누다라삼먁삼보리심을 일으킨 사람의 마음가짐은 이러하다.
현실에서 당하는 일체의 모든 일은, 인과의 과보를 받는 것이다는 생각으로 받고 당하면, 이것이 발아누다라삼먁삼보리심을 낸 사람의 마음가짐일 것이다.
⓻아누다라삼먁삼보리를 성취하려면, 세 단계를 성취해야 한다.
㉠광대한 마음(廣大心)·으뜸가는 마음(第一心)·항상한 중단없는 마음(常心)·뒤바뀌지 않는 마음(不顚倒心)인 4심법(四心法)에 의해 살아야 한다.
㉡보살수행(菩薩修行)의 덕목(德目)인 6바라밀을 수행(修行)해야 한다.
㉢아상(我相)·인상(人相)·중생상(衆生相)·수자상(壽者相=靈魂)의 4상의 산(四相山)에 집착하지 말아야 한다.
⓼삿된 마음을 갖지 말고 바른 믿음을 가져야 한다.
무엇을 하든지 간에 「되면 이익이고, 안되면 본전이다.」라는 생각으로 수행정진을 하지 말고, 언제나 올바른 용맹심으로 정진해야 한다.
바른 스승을 만나면 정성을 다하여 공부해야 하며, 올바르게 가르치는 스승을 만난 것은 수천생 수만생(數千生數萬生)의 인연이 없이는 만날 수가 없다.
그러므로 바른 스승을 만나면 이것이 바로 8만대장경을 만난 것이고, 선지식을 만난 것이고, 부처님을 만난 것이라고 믿고 열심히 수행해야 한다.
※부처님과 수보리와의 문답을 간추리면 다음과 같다.
(1)(문)어떻게 살아야(머물러야) 합니까(云何住)(대승정본분 제3에 나온다).
(답)4심법에 머물라(住四心法)(㉠광대심.㉡제일심.㉢상심.㉣부전도심)
(2)(문)어떻게 수행해야 합니까(云何修行)(묘행무주분 제4에 나온다).
(답)6바라밀을 수행하라(修行六波羅蜜)
㉠보시(재보시·법보시·무외보시).㉡지계(섭율의계·섭선법계·섭중생계).㉢인욕(원한심·복수심을 품지 않음).㉣정진.㉤선정.㉥지혜.
(3)(문)어떻게 그 마음을 다스려야 합니까(云何降伏其心)
(답)4상에 집착하지 말라(不着四相)(㉠아상.㉡인상.㉢중생상.㉣수자상).
※다음의 제3 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부터는 아누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의 발심(發心)하는 법(法)을 차례차례로 자세히 밝혔다.
금주의 다짐
우리의 감각적 체험이 진실한 체험은 아니다. 달이 기운다고 참으로 기운 것이 아니다. 해가 서산에 졌다고 참으로 진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인간은 죽는 듯이 보이지만 참으로 죽는 것은 아니다. 건강과 지혜가 넘치고 덕성과 위력이 원만한 불멸의 생명, 영원한 법성인 것을 언제나 관하고 아름다운 자신을 가꾸어 가자.법회 소식
오늘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
· 오늘법회 발원대표 송파6구 명등보살 보상원
· 유아방 개방 안내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 12시, 지상 4층 (불광 포교사 운영)
· ‘신입법우 차담’ 안내 매주 일요일 오후 1시, 3층 차담실
일요일 낮 12시 50분까지 3층 차담실로 오시면 새법우교육팀의 안내를 받아 차담에
동참하실 수 있습니다.(단, 매월 마지막주 일요일은 불광입문 교육으로 대체됩니다.)
8월 17일(금) 칠석법회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축원 2만원
8월 17일(금) 구도정진 저녁 9시 ~ 익일 새벽 4시, 보광당
동참구법회 : 광진1구, 광진2구, 노원구, 대원2구, 대원3구, 송파4구, 송파5구, 송파6구
8월 18일(토) 백중 6재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학업성취 100일 기도
·입재 : 8월 7일(화)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회향 : 11월 14일(수)
·2019년 대입수능시험을 맞이하여 수험생 불자를 위한 학업성취 100일 기도를 봉행합니다.
·동참금 : 100,000원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 학업성취 3000배 용맹정진 10월 27일(토) 오후 1시 ~ 밤 11시
광덕큰스님 육성법문 공부모임 ·일시 : 매주 목, 오후 7시~9시
BTN 광덕큰스님 영상법문 방영시간 안내
·본방 : 매주 화요일 오전 9시 30분
·재방 : 매주 화요일 오후 5시 30분 / 수요일 저녁 8시 30분 / 토요일 09시 30분
※ 불광형제 여러분들의 많은 시청 바랍니다.
반야원 특판행사안내 문의 : 반야원 (☏ 419-3344)
·소백산 자락 아오리 사과 특판행사
- 귀촌농부가 정성들여 키운 아오리사과 특판행사를 사찰입구에서 진행합니다. 마른 나물, 장아찌도 함께 선 보입니다.
불광사 직원 모집 안내
·모집분야 : 전기기사 (남 1명) / 후원보살 (여 1명)
·문의 : 종무소(☏ 413-6060)
구법회 법등소식 ·송파25구 임원 모임이 진행되었습니다.
<다음주 구모임> ·송파25구 구법회 모임이 있을 예정입니다.
대중공양봉사소개 ·8/12 송파30구, 8/17 강남구, 8/18 강동3구, 8/25 광진1구,
8/26 강동6구, 8/28 송파31구, 9/2 강동2구
왕생극락을 기원합니다
·8월 4일 송파20구 5법등 반야 금강문 보살의 친정어머니
※ 위 한 분이 세상 인연이 다하여 이 땅을 하직하셨습니다.
다음(8/19) 법회안내 : 지오스님의 법문이 있습니다. 법우 형제분들의 많은 동참을 바랍니다.
꽃비
꽃비 [불기 2562년 8월 12일(일)]백중헌공금 형석우 200,000Ⅰ이원식 100,000
복지기금·자비의반찬 김동학 이우영 20,000
보광당꽃공양 지혜운 지덕심 보광운 현묘행 묘행
불사 봉납 18년 총액 499,409,000 (8/1 ~ 8/10 합계 4,728,000)
[만불전불사] 200,000 이동준Ⅰ100,000 권용락 도회우Ⅰ30,000 김세나 김세원 김현필 정윤혜
[만불봉안] 300,000 [亡]권영호Ⅰ150,000 고명철Ⅰ108,000 조봉덕Ⅰ100,000 김미영Ⅰ90,000 류원식Ⅰ60,000 오창준Ⅰ50,000 구현우 장병규 장현태Ⅰ45,000 송예나 유흥주 이희숙 장진욱 최진영 최진혁Ⅰ40,000 정진희Ⅰ30,000 [亡]김선철 [亡]문성용 [亡]윤정순 [亡]이태영 강대호 공민경 권숙경 권은경 권은경 김경오 김광훈 김다연 김도연 김례순 김민준 김범수 김병주 김보영 김서아 김시용 김시정 김영순 김운경 김운경 김윤지 김정섭 김지영 김지훈 김향금 김효곤 노하윤 노환성 문건호 문소희 박경식 박경언 박경희 박규리 박은희 박정애 박종선 박채규 박하원 백수산 변창욱 손종백 송정미 안욱 안현 양용옥 오종순 오형관 유영탁 유진호 윤승정 윤주완 은인자 이건 이남윤 이미경 이병철 이성민 이원진 이은경 이은정 이재근 이춘임 이현준 이현준 이희세 임율 장민제 전승완 정종길 조동완 조은희 지승훈 진선필 채정옥 최원주 최진희 허윤석 허윤철 황장덕Ⅰ20,000 [亡]김동두 [亡]김정순 [亡]이귀득 [亡]이익순 [亡]홍귀분 김덕현 김보현 김상현 민나영 윤진아 임준섭Ⅰ15,000 박민영 최연우Ⅰ10,000 강경순 김경미 김문진 김성희 김용균 김우성 김주완 김형수 민원근 민초아 박미자 신정은 신태섭 이우재 임지환 조덕인 조진환
불광장학회 후원금 (8/1~ 8/10 합계 330,000)
50,000 강지연 김원향Ⅰ30,000 이남경Ⅰ20,000 임육남Ⅰ10,000 가정희 김분희 김용주 김지하 김형숙 문선희 박종선 서순애 신화옥 신훈진 안미경 조명숙 하성렬Ⅰ5,000 노월수 문화진 성자연 심옥순 양희주 이성협 이정선 전은영 조연식 최미옥
불광연구원 후원금 (8/1~ 8/10 합계 205,000)
100,000 이정민Ⅰ50,000 김봉기Ⅰ10,000 김윤제 김은주 목경찬 이혜주 정행자Ⅰ5,000 김미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