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7월 넷째주 일요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18.07.25 조회3,835회 댓글0건본문
첨부파일 : 20180722_i2017.pdf
금강경 법회인유분
금강경 법회인유분
※부처님 열반하실 무렵에 아난이 질문한 부처님의 4가지 유언이 있다.
1)무엇을 의지하여 공부해야 합니까?
(답)사념처를 의지하여 공부하라.
①신념처 : 부모에게 받은 육식이 깨끗하지 못하다고 관한다
②수념처 : 즐거움이라 하는 음행·자녀·재물 등이 고통이라고 관한다
③심념처 : 마음은 항상 변화생멸하는 무상한 것이라고 관한다
④법념처 : ‘나’인 실체와 ‘나’의 소유물도 없는 것이라고 관한다
2)누구를 스승삼아 공부해야 합니까?
(답)계로써 스승을 삼아라
3)악성 비구들은 어떻게 해야 합니까?
(답)묵묵하게 인도하라
4)부처님 설법을 결집할 때는, 어떻게 해야만이 부처님의 설법이 되겠습니까?
(답)일체 경의 머리에 ‘여시 사문 일시 불 재와사성 여대비구중약간인구(一切經首에 皆云 ’①如是(信成就)②我聞(聞成就)③一時(時成就)④佛(主成就)⑤在王舍城(處成就)⑥與大比丘衆若干人俱(衆成就)‘라 하라. 이것이 모든 경의 6성취이다.
※경(經)과 율(律)의 결집(結集).
부처님 열반하신 후 제1 결집을 B.C. 544년 왕사성 칠엽굴에서 대가섭을 상수(上首)로 하여 5백 대아라한들이 모여서, 경(經)은 아난(阿難)이 주축이 되어 구두결집(口頭結集)하고, 율(律)은 우바리(優婆離)가 주축이 되어 구두결집을 했다. 이 결집을 할 때 문제가 있었으니, 결집 대중에 아라한과를 증득하지 못한 이는 결집에 참여하지 못하게 한 것이였으니, 아난만이 증득하지 못하여 굴밖으로 쫓겨 났고, 굴속에는 부처님의 설법을 다 들은 이가 없어서 결집을 못하고 있었다. 아난은 밖에서 용맹정진하여 3일만에 도(道)를 성취하여, 닫아놓은 문틈으로 신통변화하여 들어와서 결집 대중이 모여 있는 법상(法床)에 앉았다. 이때 대중들이 세 가지를 의심을 했으나, 그 의심이 육성취(六成就)로 풀렸다.
※세 가지 의심
①의불중기설법(疑佛重起說法) : ‘부처님이 거듭 일어나셔서 설법하나’ 의심하다.
②의타방불래(疑他方佛來) : ‘타방의 부처님이 오셨나’ 의심하다.
③의아난성불 고설차언 삼의돈단(疑阿難成佛 古說此言 三疑頓斷) : ‘아난이 성불했나’ 의심했으나, 이 말을 설하여 세 가지 의심이 담박에 끊어졌다.
※결집을 하게 된 최초의 동기는 무엇인가?
가섭존자가 부처님께서 열반하셨다는 소식을 듣고 부랴부랴 구리사의 싸라쌍수로 오는 도중에 불제자인 우바난타(Upananda)를 만났다.
가섭 ‘부처님 열반한 소식을 못들었느냐, 왜 가지를 아니 하느냐?’
우바난타 ‘잔소리꾼이 죽었는데, 우리는 이제 자유롭다. 얼마나 기쁜일이냐?’
가섭 ‘아~ 큰일났구나. 부처님의 설법을 정리해 수행의 표본으로 삼아야겠다.’
※악성비구(惡性比丘)란?
육군비구(六群比丘)인 발란타·난타(우바난타)·가류타이·천노·마사·불나발.
※법회인유분에 은유된 뜻은?
부처님의 무언설법(無言說法)을 나타낸 법문(法門)으로, 이는 인생의 선결문제(先決問題)를 해결하는 것이다.
①무엇 때문에 살아야 하는가?
이 문제를 알려면 생사에서 해탈해야 한다.
생사에서 해탈하려면 부처님 무언의 설법을 이해하여 그 깊은 뜻을 알아야 한다.
②내가 무엇인가?
인아4상(人我四相=아상(我相:영원히 변하지 않는 자아가 있다는 관념), 인상(人相:영원히 변하지 않는 개아(個我)가 있다는 관념), 중생상(衆生相:영원히 변하지 않는 끊이지 않고 지속되는 존재(存在)가 있다는 관념, 수자상(壽者相):영원히 변하지 않는 영혼(靈魂)있다는 관념)을 없애고, 진정한 「나」를 발견해야 한다.
인아4상을 없애려면 영원한 「나」를 발견해야 하고, 또한 육신이 「나」가 아님을 알려면 진정한 「나」를 발견해야 한다.
③누가 살고 있는가?
진정한 ‘나’를 발견하게 될 때에, 마음은 일체 모든 것의 주체자임을 알게 된다.
정신(情神)은 ‘나’가 아니고, ‘나’는 정신 이전(以前)이고, 지금 ‘나’는 가아(假我;한계에까지 임시로 존재하는 나)이다.
산시산 수시수 ; 山是山이요 水是水라.(금강경 오가해에 나오는 야보선사의 게송)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라’는 이 말은 불께서 걸식하심에서부터 자리를 펴고 앉으시는 것까지, 있는 그대로가 진리의 법문 아닌 것이 없다는 말이며, 마음이 보고 듣는 것이니, 그러므로 마음을 기울이지 않으면 진리의 법문을 보고 듣지 못한다. 마음으로 생각을 내기 때문에 아프다는 느낌을 갖게 되므로, 마음이 아픈 것이 아니고 생각이 아픈 것이다.(一切唯心造).
지계·인욕·정진으로 육체가 「나」라는 집착을 정리하고, 수행하는 생활을 갖도록 노력하게 한 것이 ‘법회인유분’이니, 부처님꼐서 걸식으로 누구에게나 복을 짓게 하고, 집착을 없애기 위해 ‘7가식’과 한 곳에 3일 이상은 머물지 말라‘고 하셨다. 이러한 말은 부처님의 행(行)을 때라 배우며 수행(修行)하라는 것이다. 불자들이 수행하는 스님들에게 공양하는 방법은, 한 사람에게만 지정해서 하는 것이 아니고, 대중스님 앞으로 대중공양(大衆供養)을 올리는 것이니, 곧 이것은 옳고 옳지 못한(是非)을 없애려고 하는 것이며, 욕심없는 생활이 출가인의 생활이다. 그러므로 이 ’법회인유분‘은 내가 없는 구도생활(求道生活)을 하는 것이 출가인의 본분임을 부처님께서 몸소 보여주신 금강경 전체의 법문을 함축한 무언설법이다.
④인생의 선결문제는 무엇인가?
모든 중생은 죽기를 싫어하므로, 죽지 않으려고 하면 무언의 설법을 알아야 한다.
⑤「나」는 육신이 아니다.
영원한 ‘나’와 진정한 ‘나’를 발견해야 하며, 마음은 일체의 주체자임을 알아야 하며, 정신은 ‘나’가 아니고, ‘나’는 정신 이전의 것이므로 지금 ‘나’는 가아(假我)이다.
⑥마음이 보고 듣는 것이다.
부처님의 걸식(乞食=戒行)에서부터 자리를 펴고 앉는 것(入定=智慧)까지, 모든 것이 있는 그대로가 진리의 법문이니, 곧 이 법문은 마음이 보고 듣는 것이다.
· 오늘법회 발원대표 강동6구 명등보살 자제헌
· 백중영가물품 포장행사 법회 후 진행, 오후 1시 30분부터, 보광당
· 유아방 개방 안내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 12시, 지상 4층 (불광 포교사 운영)
· ‘스님과의 차담’ 안내 매주 일요일 오후 1시, 3층 차담실
일요일 낮 12시 50분까지 3층 차담실로 오시면 새법우교육팀의 안내를 받아 차담에
동참하실 수 있습니다.(단, 매월 마지막주 일요일은 불광입문 교육으로 대체됩니다.)
7월 28일(토) 백중 3재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백중 49일 기도
·회 향 : 8월 25일(토, 음 7/15) 오전 10시, 보광당
·기도시간 : 새벽예불 5:00 대웅전, 사시예불 10:30 보광당, 저녁예불 6:30 대웅전
·시식일(토요일) : 3재 7/28, 4재 8/4, 5재 8/11, 6재 8/18, 회향 8/25
·동참금 : 친․외가 각 5만원(영가4위), 영가 1위 추가 시에 1만원
불광버스 셔틀 추가 운행 안내(백중기간)
·백중을 맞아 불광버스 셔틀을 추가로 운행합니다.
1재 ~ 7재까지 매주 토요일마다 오전 9시 30분 ~ 11시까지 15분 간격으로 운행됩니다.
·운행코스 : 불광사 ➡ 신천역(1번 출구) ➡ 잠실역(3번 출구 너구리상) ➡ 불광사
광덕큰스님 육성법문 공부모임 ·일시 : 매주 목, 오후 7시~9시 ·장소 : 교육원 5층
BTN 광덕큰스님 법문 방영시간 안내
·본방 : 매주 화요일 오전 9시 30분
·재방 : 매주 화요일 오후 5시 30분 / 수요일 저녁 8시 30분 / 토요일 09시 30분
※ 불광형제 여러분들의 많은 시청 바랍니다.
불광사 직원 모집 안내
·모집분야 : 전기기사 (남 1명) / 후원보살 (여 1명)
·문의 : 종무소(☏ 413-6060)
계층법회 하계 수련대회 안내
1. 연꽃(어린이)법회 ·문의 : 연꽃 주임교사(010-9138-7126)
․ 일 시 : 7월 28일(토) ~ 7월 30일(월), 2박3일
․ 장 소 : 고성 화암사 ․ 동참금 : 5만원
2. 목련싣달(청소년)법회 ·문의 : 목련싣달 주임교사(010-7194-4363)
․ 일 시 : 8월 3일(금) ~ 5일(일), 2박3일
․ 장 소 : 고성 화암사 ․ 동참금 : 5만원
구법회 법등소식 ·송파3구 4법등, 송파19구 3법등 모임이 진행되었습니다.
<다음주 구모임> ·송파20구 2․4법등 모임이 있을 예정입니다.
대중공양봉사소개 ·7/22 송파23구, 7/28 송파26구, 7/29․30 송파11구, 8/1․4 송파25구
축하합니다
·송파11구 5법등 김주환 거사 마하 광명조(손을순) 보살의 장남 김동현군과 이소영양이
7월 28일(토), 오후2시, 헤리츠컨벤션 2층 아그니스홀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다음(7/29) 법회안내 : 지오 스님의 법문이 있습니다. 법우 형제분들의 많은 동참을 바랍니다.
대중공양헌공금 송파27구 200,000
연꽃(어린이)법회후원금 대원2구 100,000
목련싣달(청소년)법회후원금 대원2구 100,000
금강(청년)법회후원금 대원2구 100,000
복지기금·자비의반찬 김동진 30,000
보광당꽃공양 보광운 묘행 현묘행 자화 혜력행 정여성
불사 봉납 18년 총액 485,602,000 (7/14 ~ 7/20 합계 2,320,000)
[만불봉안] 100,000 윤세준 이두완 이재범 이종석 정승호 정윤성Ⅰ90,000 [亡]김맹금Ⅰ45,000 김민정 손민규 주형하 차지현Ⅰ30,000 [亡]문성용 고현주 김광자 김민경 김순학 김인환 김재광 김종상 김현구 무아스님 박진경 손보희 안욱 안현 우순분 유승찬 이대근 이명순 이문영 이순분 이연숙 이재수 이정애 이정훈 이진수 인연 임세훈 전지선 전지완 전하유 조소자 조형호 차웅 차재수 최승현 최정훈 최헌수 한승미 한승일Ⅰ20,000 김도균 김유선 김유진 김정희 성민정 성현주 신은미 어유수 이성협 홍승만Ⅰ15,000 장정순 최운형 최윤정 최은석Ⅰ10,000 [亡]이규원 강금련
불광장학회 후원금 (7/14~ 7/20 합계 370,000)
100,000 이정민Ⅰ30,000 서양옥Ⅰ20,000 이광세Ⅰ10,000 김말순 김문규 김성록 김성준 김영덕 김영자 백성례 백정자 이순애 정숙영 차영찬 최희준 한성돈 한영임Ⅰ5,000 권혁재 길재선 김신자 나현주 박은정 서선화 신인숙 윤순란 윤승인 윤용문 윤혜영 이채은 이현숙 조영옥 최운주 최헌수
불광연구원 후원금 (7/14~ 7/20 합계 95,000)
30,000 이범수Ⅰ10,000 구윤호 김규옥 조성애 차영찬Ⅰ5,000 김민규 배희열 백낙현 이정우 조명희
이주의 법문
법사 : 지오스님금강경 법회인유분
금강경 법회인유분
※부처님 열반하실 무렵에 아난이 질문한 부처님의 4가지 유언이 있다.
1)무엇을 의지하여 공부해야 합니까?
(답)사념처를 의지하여 공부하라.
①신념처 : 부모에게 받은 육식이 깨끗하지 못하다고 관한다
②수념처 : 즐거움이라 하는 음행·자녀·재물 등이 고통이라고 관한다
③심념처 : 마음은 항상 변화생멸하는 무상한 것이라고 관한다
④법념처 : ‘나’인 실체와 ‘나’의 소유물도 없는 것이라고 관한다
2)누구를 스승삼아 공부해야 합니까?
(답)계로써 스승을 삼아라
3)악성 비구들은 어떻게 해야 합니까?
(답)묵묵하게 인도하라
4)부처님 설법을 결집할 때는, 어떻게 해야만이 부처님의 설법이 되겠습니까?
(답)일체 경의 머리에 ‘여시 사문 일시 불 재와사성 여대비구중약간인구(一切經首에 皆云 ’①如是(信成就)②我聞(聞成就)③一時(時成就)④佛(主成就)⑤在王舍城(處成就)⑥與大比丘衆若干人俱(衆成就)‘라 하라. 이것이 모든 경의 6성취이다.
※경(經)과 율(律)의 결집(結集).
부처님 열반하신 후 제1 결집을 B.C. 544년 왕사성 칠엽굴에서 대가섭을 상수(上首)로 하여 5백 대아라한들이 모여서, 경(經)은 아난(阿難)이 주축이 되어 구두결집(口頭結集)하고, 율(律)은 우바리(優婆離)가 주축이 되어 구두결집을 했다. 이 결집을 할 때 문제가 있었으니, 결집 대중에 아라한과를 증득하지 못한 이는 결집에 참여하지 못하게 한 것이였으니, 아난만이 증득하지 못하여 굴밖으로 쫓겨 났고, 굴속에는 부처님의 설법을 다 들은 이가 없어서 결집을 못하고 있었다. 아난은 밖에서 용맹정진하여 3일만에 도(道)를 성취하여, 닫아놓은 문틈으로 신통변화하여 들어와서 결집 대중이 모여 있는 법상(法床)에 앉았다. 이때 대중들이 세 가지를 의심을 했으나, 그 의심이 육성취(六成就)로 풀렸다.
※세 가지 의심
①의불중기설법(疑佛重起說法) : ‘부처님이 거듭 일어나셔서 설법하나’ 의심하다.
②의타방불래(疑他方佛來) : ‘타방의 부처님이 오셨나’ 의심하다.
③의아난성불 고설차언 삼의돈단(疑阿難成佛 古說此言 三疑頓斷) : ‘아난이 성불했나’ 의심했으나, 이 말을 설하여 세 가지 의심이 담박에 끊어졌다.
※결집을 하게 된 최초의 동기는 무엇인가?
가섭존자가 부처님께서 열반하셨다는 소식을 듣고 부랴부랴 구리사의 싸라쌍수로 오는 도중에 불제자인 우바난타(Upananda)를 만났다.
가섭 ‘부처님 열반한 소식을 못들었느냐, 왜 가지를 아니 하느냐?’
우바난타 ‘잔소리꾼이 죽었는데, 우리는 이제 자유롭다. 얼마나 기쁜일이냐?’
가섭 ‘아~ 큰일났구나. 부처님의 설법을 정리해 수행의 표본으로 삼아야겠다.’
※악성비구(惡性比丘)란?
육군비구(六群比丘)인 발란타·난타(우바난타)·가류타이·천노·마사·불나발.
※법회인유분에 은유된 뜻은?
부처님의 무언설법(無言說法)을 나타낸 법문(法門)으로, 이는 인생의 선결문제(先決問題)를 해결하는 것이다.
①무엇 때문에 살아야 하는가?
이 문제를 알려면 생사에서 해탈해야 한다.
생사에서 해탈하려면 부처님 무언의 설법을 이해하여 그 깊은 뜻을 알아야 한다.
②내가 무엇인가?
인아4상(人我四相=아상(我相:영원히 변하지 않는 자아가 있다는 관념), 인상(人相:영원히 변하지 않는 개아(個我)가 있다는 관념), 중생상(衆生相:영원히 변하지 않는 끊이지 않고 지속되는 존재(存在)가 있다는 관념, 수자상(壽者相):영원히 변하지 않는 영혼(靈魂)있다는 관념)을 없애고, 진정한 「나」를 발견해야 한다.
인아4상을 없애려면 영원한 「나」를 발견해야 하고, 또한 육신이 「나」가 아님을 알려면 진정한 「나」를 발견해야 한다.
③누가 살고 있는가?
진정한 ‘나’를 발견하게 될 때에, 마음은 일체 모든 것의 주체자임을 알게 된다.
정신(情神)은 ‘나’가 아니고, ‘나’는 정신 이전(以前)이고, 지금 ‘나’는 가아(假我;한계에까지 임시로 존재하는 나)이다.
산시산 수시수 ; 山是山이요 水是水라.(금강경 오가해에 나오는 야보선사의 게송)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라’는 이 말은 불께서 걸식하심에서부터 자리를 펴고 앉으시는 것까지, 있는 그대로가 진리의 법문 아닌 것이 없다는 말이며, 마음이 보고 듣는 것이니, 그러므로 마음을 기울이지 않으면 진리의 법문을 보고 듣지 못한다. 마음으로 생각을 내기 때문에 아프다는 느낌을 갖게 되므로, 마음이 아픈 것이 아니고 생각이 아픈 것이다.(一切唯心造).
지계·인욕·정진으로 육체가 「나」라는 집착을 정리하고, 수행하는 생활을 갖도록 노력하게 한 것이 ‘법회인유분’이니, 부처님꼐서 걸식으로 누구에게나 복을 짓게 하고, 집착을 없애기 위해 ‘7가식’과 한 곳에 3일 이상은 머물지 말라‘고 하셨다. 이러한 말은 부처님의 행(行)을 때라 배우며 수행(修行)하라는 것이다. 불자들이 수행하는 스님들에게 공양하는 방법은, 한 사람에게만 지정해서 하는 것이 아니고, 대중스님 앞으로 대중공양(大衆供養)을 올리는 것이니, 곧 이것은 옳고 옳지 못한(是非)을 없애려고 하는 것이며, 욕심없는 생활이 출가인의 생활이다. 그러므로 이 ’법회인유분‘은 내가 없는 구도생활(求道生活)을 하는 것이 출가인의 본분임을 부처님께서 몸소 보여주신 금강경 전체의 법문을 함축한 무언설법이다.
④인생의 선결문제는 무엇인가?
모든 중생은 죽기를 싫어하므로, 죽지 않으려고 하면 무언의 설법을 알아야 한다.
⑤「나」는 육신이 아니다.
영원한 ‘나’와 진정한 ‘나’를 발견해야 하며, 마음은 일체의 주체자임을 알아야 하며, 정신은 ‘나’가 아니고, ‘나’는 정신 이전의 것이므로 지금 ‘나’는 가아(假我)이다.
⑥마음이 보고 듣는 것이다.
부처님의 걸식(乞食=戒行)에서부터 자리를 펴고 앉는 것(入定=智慧)까지, 모든 것이 있는 그대로가 진리의 법문이니, 곧 이 법문은 마음이 보고 듣는 것이다.
금주의 다짐
마음 밝은 사람은 타고난 재능을 능률적으로 발휘하고 항상 평화하며 매사를 선의로 받아들인다. 새로운 지혜와 용기가 솟아나 역경을 호전시킬 힘을 얻는다. 불자는 진리 광명의 구현자다. 어둠은 없다. 빛이 향하는 곳에 어둠은 사라지는 것이다.법회 소식
오늘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 오늘법회 발원대표 강동6구 명등보살 자제헌
· 백중영가물품 포장행사 법회 후 진행, 오후 1시 30분부터, 보광당
· 유아방 개방 안내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 12시, 지상 4층 (불광 포교사 운영)
· ‘스님과의 차담’ 안내 매주 일요일 오후 1시, 3층 차담실
일요일 낮 12시 50분까지 3층 차담실로 오시면 새법우교육팀의 안내를 받아 차담에
동참하실 수 있습니다.(단, 매월 마지막주 일요일은 불광입문 교육으로 대체됩니다.)
7월 28일(토) 백중 3재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백중 49일 기도
·회 향 : 8월 25일(토, 음 7/15) 오전 10시, 보광당
·기도시간 : 새벽예불 5:00 대웅전, 사시예불 10:30 보광당, 저녁예불 6:30 대웅전
·시식일(토요일) : 3재 7/28, 4재 8/4, 5재 8/11, 6재 8/18, 회향 8/25
·동참금 : 친․외가 각 5만원(영가4위), 영가 1위 추가 시에 1만원
불광버스 셔틀 추가 운행 안내(백중기간)
·백중을 맞아 불광버스 셔틀을 추가로 운행합니다.
1재 ~ 7재까지 매주 토요일마다 오전 9시 30분 ~ 11시까지 15분 간격으로 운행됩니다.
·운행코스 : 불광사 ➡ 신천역(1번 출구) ➡ 잠실역(3번 출구 너구리상) ➡ 불광사
광덕큰스님 육성법문 공부모임 ·일시 : 매주 목, 오후 7시~9시 ·장소 : 교육원 5층
BTN 광덕큰스님 법문 방영시간 안내
·본방 : 매주 화요일 오전 9시 30분
·재방 : 매주 화요일 오후 5시 30분 / 수요일 저녁 8시 30분 / 토요일 09시 30분
※ 불광형제 여러분들의 많은 시청 바랍니다.
불광사 직원 모집 안내
·모집분야 : 전기기사 (남 1명) / 후원보살 (여 1명)
·문의 : 종무소(☏ 413-6060)
계층법회 하계 수련대회 안내
1. 연꽃(어린이)법회 ·문의 : 연꽃 주임교사(010-9138-7126)
․ 일 시 : 7월 28일(토) ~ 7월 30일(월), 2박3일
․ 장 소 : 고성 화암사 ․ 동참금 : 5만원
2. 목련싣달(청소년)법회 ·문의 : 목련싣달 주임교사(010-7194-4363)
․ 일 시 : 8월 3일(금) ~ 5일(일), 2박3일
․ 장 소 : 고성 화암사 ․ 동참금 : 5만원
구법회 법등소식 ·송파3구 4법등, 송파19구 3법등 모임이 진행되었습니다.
<다음주 구모임> ·송파20구 2․4법등 모임이 있을 예정입니다.
대중공양봉사소개 ·7/22 송파23구, 7/28 송파26구, 7/29․30 송파11구, 8/1․4 송파25구
축하합니다
·송파11구 5법등 김주환 거사 마하 광명조(손을순) 보살의 장남 김동현군과 이소영양이
7월 28일(토), 오후2시, 헤리츠컨벤션 2층 아그니스홀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다음(7/29) 법회안내 : 지오 스님의 법문이 있습니다. 법우 형제분들의 많은 동참을 바랍니다.
꽃비
백중헌공금 익명 60,000대중공양헌공금 송파27구 200,000
연꽃(어린이)법회후원금 대원2구 100,000
목련싣달(청소년)법회후원금 대원2구 100,000
금강(청년)법회후원금 대원2구 100,000
복지기금·자비의반찬 김동진 30,000
보광당꽃공양 보광운 묘행 현묘행 자화 혜력행 정여성
불사 봉납 18년 총액 485,602,000 (7/14 ~ 7/20 합계 2,320,000)
[만불봉안] 100,000 윤세준 이두완 이재범 이종석 정승호 정윤성Ⅰ90,000 [亡]김맹금Ⅰ45,000 김민정 손민규 주형하 차지현Ⅰ30,000 [亡]문성용 고현주 김광자 김민경 김순학 김인환 김재광 김종상 김현구 무아스님 박진경 손보희 안욱 안현 우순분 유승찬 이대근 이명순 이문영 이순분 이연숙 이재수 이정애 이정훈 이진수 인연 임세훈 전지선 전지완 전하유 조소자 조형호 차웅 차재수 최승현 최정훈 최헌수 한승미 한승일Ⅰ20,000 김도균 김유선 김유진 김정희 성민정 성현주 신은미 어유수 이성협 홍승만Ⅰ15,000 장정순 최운형 최윤정 최은석Ⅰ10,000 [亡]이규원 강금련
불광장학회 후원금 (7/14~ 7/20 합계 370,000)
100,000 이정민Ⅰ30,000 서양옥Ⅰ20,000 이광세Ⅰ10,000 김말순 김문규 김성록 김성준 김영덕 김영자 백성례 백정자 이순애 정숙영 차영찬 최희준 한성돈 한영임Ⅰ5,000 권혁재 길재선 김신자 나현주 박은정 서선화 신인숙 윤순란 윤승인 윤용문 윤혜영 이채은 이현숙 조영옥 최운주 최헌수
불광연구원 후원금 (7/14~ 7/20 합계 95,000)
30,000 이범수Ⅰ10,000 구윤호 김규옥 조성애 차영찬Ⅰ5,000 김민규 배희열 백낙현 이정우 조명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