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1월 넷째주 일요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019.01.03 조회4,214회 댓글0건본문
첨부파일 :
20181125_i2034_일요_지오.pdf
妙行無住分(집착없는 보시)
3종보시와 6바라밀의 배대 내용을 볼 때, 보살 수행의 근간(根幹)은 보시임을 알 수 있고, 부처님께서 보시를 하되 「온갖 법(法)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라」하셨다.
부처님의 보시라는 이 말씀이 보살수행의 전부(全部)이면서 핵심(核心)인 것이다.
※6바라밀(六波羅蜜法)의 뜻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①보시(布施)는, 6바라밀의 핵심이다.
몸과 마음에 있는 일체의 것을 희사(喜捨)하여, 일체 중생에게 은혜를 끼쳐주되, 자신의 몸과 마음에 하는 것과 같이 하는 것이다.
②지계(持戒)는, 몸3(身三 ; 살생은 방생으로, 투도는 근면으로, 음행은 금계(정계)로)・입4(口四 ; 망어는 진실어로, 양설은 화해어로, 악구는 유연어로, 기어는 정직어로)・마음3(意三 ; 탐욕은 보시로, 진에는 자비로, 우치는 지혜로)의 3업(三業)에 악습(惡習)을 방지하여 본성(本性)을 드러나게 한다.
③인욕(忍辱)은, 남에게 모든 수모(受侮)를 당했다고 하더라도 원한심(怨恨心)과 복수심(復讐心)을 품지 아니하며, 남이 나를 위해 줄 때도 교만(憍慢)하지 아니하고, 애매(曖昧)하게 당하여 억울함을 입더라도 분심(忿心)으로 성내지 아니하는 것이다.
④정진(精進)은, 몸과 마음이 한결같이 게으름이 없이 행하는 것이다.
⑤선정(禪定)은, 자성(自性)이 본래 청정한 것임을 정려(靜慮)하여 익히는 힘이다.
⑥지혜(智慧)는, 일체 제법 가히 얻을 것(可得)이 없음을 요달(了達)하여, 일체 법에 막힘이 없는 것이다.
※6바라밀을 행하는 것은 무엇을 상대해 다스리기(對治) 위한 것인가?
①중생들이 탐인심(貪吝心)으로 저 언덕에 도달하기(到彼岸)에는 장애(障礙)가 되므로, ‘보시’를 행하도록 하여 ‘탐내는 마음(貪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②중생들이 악습(惡習)이 널리 넘쳐서(汎溢)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지계’를 행하도록 하여 ‘악함을 익히는 마음(惡習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③중생들이 성냄(嗔怒)에 중독이 되어서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인욕’을 행하도록 하게 하여 ‘성내는 마음(嗔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④중생들이 게으르서(懈怠)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정진’을 행하도록 하게 하여 ‘게으른 마음(懈怠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⑤중생들이 산란한 마음이 치성(熾盛)하여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선정’을 닦도록 하게 하여 ‘산란한 마음(散亂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⑥중생들이 어리석어서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지혜’를 밝히도록 하게 하여 ‘어리석은 마음(愚癡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 금강경에서 보시를 제일 으뜸으로 둔 이유는 무엇인가?
①탐심은 악의 근본이되므로 보시를 으뜸으로 두었다.
②마장(魔障)의 으뜸이 탐심이므로 보시를 으뜸으로 두었다.
※보시(布施)란?
인자한 마음으로 남에게 모든 것을 주어서 기쁘게 하는 일이다.
보시에는 베푸는 자(施者)・받는 자(受者)・베풀고 받는 물건(施物)의 세 가지의 바퀴(三輪)라는 말이 있다.
※륜(輪)이란?
수레는 여기에 있는 것을 저쪽으로 옮기는 도구의 뜻으로 「바퀴 륜(輪)」자(字)다.
그래서 시륜(施輪)․수륜(受輪)․물륜(物輪)의 셋이니, 3륜(三輪)이 공하여 고요하고(空寂) 청정해야 하니, 물건을 주고, 받는 사람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이 공하여 고요하고(空寂) 청정함을 알아서, 주고받는 자리가 없는 가운데 행해야 한다.
3종보시와 6바라밀의 배대 내용을 볼 때, 보살 수행의 근간(根幹)은 보시임을 알 수 있고, 부처님께서 보시를 하되 「온갖 법(法)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라」하셨다.
부처님의 보시라는 이 말씀이 보살수행의 전부(全部)이면서 핵심(核心)인 것이다.
※6바라밀(六波羅蜜法)의 뜻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①보시(布施)는, 6바라밀의 핵심이다.
몸과 마음에 있는 일체의 것을 희사(喜捨)하여, 일체 중생에게 은혜를 끼쳐주되, 자신의 몸과 마음에 하는 것과 같이 하는 것이다.
②지계(持戒)는, 몸3(身三 ; 살생은 방생으로, 투도는 근면으로, 음행은 금계(정계)로)・입4(口四 ; 망어는 진실어로, 양설은 화해어로, 악구는 유연어로, 기어는 정직어로)・마음3(意三 ; 탐욕은 보시로, 진에는 자비로, 우치는 지혜로)의 3업(三業)에 악습(惡習)을 방지하여 본성(本性)을 드러나게 한다.
③인욕(忍辱)은, 남에게 모든 수모(受侮)를 당했다고 하더라도 원한심(怨恨心)과 복수심(復讐心)을 품지 아니하며, 남이 나를 위해 줄 때도 교만(憍慢)하지 아니하고, 애매(曖昧)하게 당하여 억울함을 입더라도 분심(忿心)으로 성내지 아니하는 것이다.
④정진(精進)은, 몸과 마음이 한결같이 게으름이 없이 행하는 것이다.
⑤선정(禪定)은, 자성(自性)이 본래 청정한 것임을 정려(靜慮)하여 익히는 힘이다.
⑥지혜(智慧)는, 일체 제법 가히 얻을 것(可得)이 없음을 요달(了達)하여, 일체 법에 막힘이 없는 것이다.
※6바라밀을 행하는 것은 무엇을 상대해 다스리기(對治) 위한 것인가?
①중생들이 탐인심(貪吝心)으로 저 언덕에 도달하기(到彼岸)에는 장애(障礙)가 되므로, ‘보시’를 행하도록 하여 ‘탐내는 마음(貪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②중생들이 악습(惡習)이 널리 넘쳐서(汎溢)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지계’를 행하도록 하여 ‘악함을 익히는 마음(惡習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③중생들이 성냄(嗔怒)에 중독이 되어서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인욕’을 행하도록 하게 하여 ‘성내는 마음(嗔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④중생들이 게으르서(懈怠)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정진’을 행하도록 하게 하여 ‘게으른 마음(懈怠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⑤중생들이 산란한 마음이 치성(熾盛)하여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선정’을 닦도록 하게 하여 ‘산란한 마음(散亂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⑥중생들이 어리석어서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지혜’를 밝히도록 하게 하여 ‘어리석은 마음(愚癡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 금강경에서 보시를 제일 으뜸으로 둔 이유는 무엇인가?
①탐심은 악의 근본이되므로 보시를 으뜸으로 두었다.
②마장(魔障)의 으뜸이 탐심이므로 보시를 으뜸으로 두었다.
※보시(布施)란?
인자한 마음으로 남에게 모든 것을 주어서 기쁘게 하는 일이다.
보시에는 베푸는 자(施者)・받는 자(受者)・베풀고 받는 물건(施物)의 세 가지의 바퀴(三輪)라는 말이 있다.
※륜(輪)이란?
수레는 여기에 있는 것을 저쪽으로 옮기는 도구의 뜻으로 「바퀴 륜(輪)」자(字)다.
그래서 시륜(施輪)․수륜(受輪)․물륜(物輪)의 셋이니, 3륜(三輪)이 공하여 고요하고(空寂) 청정해야 하니, 물건을 주고, 받는 사람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이 공하여 고요하고(空寂) 청정함을 알아서, 주고받는 자리가 없는 가운데 행해야 한다.
・ 보현행자의 서원 제 6 수희분 법회요전 p.163 / 불광의범 p.30
・ 오늘법회 발원대표 송파26구 명등보살 월명수
・ 유아방 안내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 12시, 본당 4층(불광 포교사 운영)
・ 불광입문(신입법우) 교육 오후 1시, 교육원 5층 강의실(반야당) (매월 마지막주 일요일은 새법우 차담시간이 불광입문 교육으로 대체됩니다.)
12월 1일(토) 관음재일 오전 10시 30분, 만불전
사시예불 장소 11월 16일(금)부터 대웅전에서 진행합니다.
초하루・관음재일 법회 장소 12월 1일(토) 관음재일부터 만불전에서 진행합니다.
동안거결제 및 바라밀기도
・회향 : 내년 2월 19일(화, 음 1/15) 오전 10시, 보광당
1. 바라밀기도
・사시예불 : 오전 10시 30분, 대웅전
・동참금 : 5만원(축원)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 개인별 수행점검표는 안내데스크, 종무소 등에 비치되어 있습니다.
※ 사시예불 후 금강경 독송이 이어집니다.
2. 불광선원 참선반
・입재 : 11월 22일(목) ・정진 : 오전 9시 ~ 오후 6시
・입방비 : 15만원 ・접수 및 문의 : 교육원(☏ 417-2551)
시와 음악이 흐르는 불광
・일시 : 12월 9일(일) 오후 1시 30분 ・장소 : 보광당
・후원금 및 후원물품 보시 받습니다 ・접수 및 문의 : 법회사무국(☏ 413-0309)
불광사 직원 모집 안내
・모집분야 : 반야원 2명 ・제출서류 : 이력서 1부, 기타 증빙서류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 이메일(ipej@naver.com)
불광사 합창단 지휘자 모집 공고
・모집분야 : 상임지휘자 1명 ・접수기간 : 11월 15일(목) ~ 11월 30일(금)
・접수방법 : 방문접수 및 우편접수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제출서류 : 응시원서, 졸업・학위증명서, 경력증명서, 자기소개서, 합창단 운영계획서
※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재의전팀 봉사자 모집
・재봉행 시, 손님 안내 및 의전을 진행합니다.
・문의 : 법회사무국(☏ 413-0309) / 팀장 도명화(010-3241-4069)
반야원 특판행사 안내 문의 : 반야원(☏ 419-3344)
・소백산 자락에서 정성껏 키운 맛있는 부사 사과와 더덕, 도라지 등 농산물 특판행사를 사찰 입구에서 진행합니다.
구법회 법등소식
・강동2구 임원・마하, 송파20구 3법등, 송파21구 4법등, 송파27구 4법등, 송파29구 임원・1・3・4법등, 송파33구 3법등에서 모임을 진행하였습니다.
다음주 구모임
・송파20구 5법등, 송파21구 2・3법등에서 모임이 있을 예정입니다.
자원봉사소개
・11/25 송파13구, 12/1 송파13구, 12/2・5 송파11구, 12/7 송파1구, 12/9 송파16구
축하합니다
・송파8구 김도형 거사, 묘정덕(신지연) 보살의 딸 김언정양과 임정태군이 12월 1일(토) 오전 11시, 더컨벤션교통회관 3층 아모르홀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송파2구 1법등 성산(윤명규) 거사, 묘관명(김명월) 보살의 장남 윤석준군과 신지선양이 12월 1일(토) 오전 11시 30분, 더바인 1층 예그리나홀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대원4구 범해(안승태) 거사, 무생지(유종란) 보살의 딸 안민경양과 박준환군이 12월 1일(토) 오전 11시 30분, 파티오나인 6층 나인하우스홀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송파20구 4법등 김해중 거사, 마하 여심행(김은숙) 보살의 딸 김소영양과 손정훈군이 12월 1일(토) 낮 12시 30분, 와이타웨딩홀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왕생극락을 기원합니다
・11월 12일(월) 송파30구 1법등 법성심 보살의 친정어머니
・11월 13일(화) 송파19구 1법등 광혜월 보살의 친정어머니
・11월 14일(수) 대원2구 3법등 자광(남원형) 거사의 장모
・11월 20일(화) 송파17구 명등 원각성 보살의 친정어머니
・11월 20일(화) 송파26구 선학 여원행(양정희) 보살의 시아버지
・11월 21일(수) 송파21구 3법등 마하 행원심 보살의 시아버지
※ 위 여섯 분이 세상 인연이 다하여 이 땅을 하직하셨습니다.
20181125_i2034_일요_지오.pdf
이주의 법문
법사 : 지오스님妙行無住分(집착없는 보시)
3종보시와 6바라밀의 배대 내용을 볼 때, 보살 수행의 근간(根幹)은 보시임을 알 수 있고, 부처님께서 보시를 하되 「온갖 법(法)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라」하셨다.
부처님의 보시라는 이 말씀이 보살수행의 전부(全部)이면서 핵심(核心)인 것이다.
※6바라밀(六波羅蜜法)의 뜻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①보시(布施)는, 6바라밀의 핵심이다.
몸과 마음에 있는 일체의 것을 희사(喜捨)하여, 일체 중생에게 은혜를 끼쳐주되, 자신의 몸과 마음에 하는 것과 같이 하는 것이다.
②지계(持戒)는, 몸3(身三 ; 살생은 방생으로, 투도는 근면으로, 음행은 금계(정계)로)・입4(口四 ; 망어는 진실어로, 양설은 화해어로, 악구는 유연어로, 기어는 정직어로)・마음3(意三 ; 탐욕은 보시로, 진에는 자비로, 우치는 지혜로)의 3업(三業)에 악습(惡習)을 방지하여 본성(本性)을 드러나게 한다.
③인욕(忍辱)은, 남에게 모든 수모(受侮)를 당했다고 하더라도 원한심(怨恨心)과 복수심(復讐心)을 품지 아니하며, 남이 나를 위해 줄 때도 교만(憍慢)하지 아니하고, 애매(曖昧)하게 당하여 억울함을 입더라도 분심(忿心)으로 성내지 아니하는 것이다.
④정진(精進)은, 몸과 마음이 한결같이 게으름이 없이 행하는 것이다.
⑤선정(禪定)은, 자성(自性)이 본래 청정한 것임을 정려(靜慮)하여 익히는 힘이다.
⑥지혜(智慧)는, 일체 제법 가히 얻을 것(可得)이 없음을 요달(了達)하여, 일체 법에 막힘이 없는 것이다.
※6바라밀을 행하는 것은 무엇을 상대해 다스리기(對治) 위한 것인가?
①중생들이 탐인심(貪吝心)으로 저 언덕에 도달하기(到彼岸)에는 장애(障礙)가 되므로, ‘보시’를 행하도록 하여 ‘탐내는 마음(貪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②중생들이 악습(惡習)이 널리 넘쳐서(汎溢)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지계’를 행하도록 하여 ‘악함을 익히는 마음(惡習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③중생들이 성냄(嗔怒)에 중독이 되어서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인욕’을 행하도록 하게 하여 ‘성내는 마음(嗔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④중생들이 게으르서(懈怠)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정진’을 행하도록 하게 하여 ‘게으른 마음(懈怠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⑤중생들이 산란한 마음이 치성(熾盛)하여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선정’을 닦도록 하게 하여 ‘산란한 마음(散亂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⑥중생들이 어리석어서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지혜’를 밝히도록 하게 하여 ‘어리석은 마음(愚癡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 금강경에서 보시를 제일 으뜸으로 둔 이유는 무엇인가?
①탐심은 악의 근본이되므로 보시를 으뜸으로 두었다.
②마장(魔障)의 으뜸이 탐심이므로 보시를 으뜸으로 두었다.
※보시(布施)란?
인자한 마음으로 남에게 모든 것을 주어서 기쁘게 하는 일이다.
보시에는 베푸는 자(施者)・받는 자(受者)・베풀고 받는 물건(施物)의 세 가지의 바퀴(三輪)라는 말이 있다.
※륜(輪)이란?
수레는 여기에 있는 것을 저쪽으로 옮기는 도구의 뜻으로 「바퀴 륜(輪)」자(字)다.
그래서 시륜(施輪)․수륜(受輪)․물륜(物輪)의 셋이니, 3륜(三輪)이 공하여 고요하고(空寂) 청정해야 하니, 물건을 주고, 받는 사람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이 공하여 고요하고(空寂) 청정함을 알아서, 주고받는 자리가 없는 가운데 행해야 한다.
3종보시와 6바라밀의 배대 내용을 볼 때, 보살 수행의 근간(根幹)은 보시임을 알 수 있고, 부처님께서 보시를 하되 「온갖 법(法)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라」하셨다.
부처님의 보시라는 이 말씀이 보살수행의 전부(全部)이면서 핵심(核心)인 것이다.
※6바라밀(六波羅蜜法)의 뜻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①보시(布施)는, 6바라밀의 핵심이다.
몸과 마음에 있는 일체의 것을 희사(喜捨)하여, 일체 중생에게 은혜를 끼쳐주되, 자신의 몸과 마음에 하는 것과 같이 하는 것이다.
②지계(持戒)는, 몸3(身三 ; 살생은 방생으로, 투도는 근면으로, 음행은 금계(정계)로)・입4(口四 ; 망어는 진실어로, 양설은 화해어로, 악구는 유연어로, 기어는 정직어로)・마음3(意三 ; 탐욕은 보시로, 진에는 자비로, 우치는 지혜로)의 3업(三業)에 악습(惡習)을 방지하여 본성(本性)을 드러나게 한다.
③인욕(忍辱)은, 남에게 모든 수모(受侮)를 당했다고 하더라도 원한심(怨恨心)과 복수심(復讐心)을 품지 아니하며, 남이 나를 위해 줄 때도 교만(憍慢)하지 아니하고, 애매(曖昧)하게 당하여 억울함을 입더라도 분심(忿心)으로 성내지 아니하는 것이다.
④정진(精進)은, 몸과 마음이 한결같이 게으름이 없이 행하는 것이다.
⑤선정(禪定)은, 자성(自性)이 본래 청정한 것임을 정려(靜慮)하여 익히는 힘이다.
⑥지혜(智慧)는, 일체 제법 가히 얻을 것(可得)이 없음을 요달(了達)하여, 일체 법에 막힘이 없는 것이다.
※6바라밀을 행하는 것은 무엇을 상대해 다스리기(對治) 위한 것인가?
①중생들이 탐인심(貪吝心)으로 저 언덕에 도달하기(到彼岸)에는 장애(障礙)가 되므로, ‘보시’를 행하도록 하여 ‘탐내는 마음(貪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②중생들이 악습(惡習)이 널리 넘쳐서(汎溢)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지계’를 행하도록 하여 ‘악함을 익히는 마음(惡習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③중생들이 성냄(嗔怒)에 중독이 되어서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인욕’을 행하도록 하게 하여 ‘성내는 마음(嗔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④중생들이 게으르서(懈怠)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정진’을 행하도록 하게 하여 ‘게으른 마음(懈怠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⑤중생들이 산란한 마음이 치성(熾盛)하여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선정’을 닦도록 하게 하여 ‘산란한 마음(散亂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⑥중생들이 어리석어서 도피안하기에는 장애가 되므로, ‘지혜’를 밝히도록 하게 하여 ‘어리석은 마음(愚癡心)’을 상대해 다스리게 함이다.
※ 금강경에서 보시를 제일 으뜸으로 둔 이유는 무엇인가?
①탐심은 악의 근본이되므로 보시를 으뜸으로 두었다.
②마장(魔障)의 으뜸이 탐심이므로 보시를 으뜸으로 두었다.
※보시(布施)란?
인자한 마음으로 남에게 모든 것을 주어서 기쁘게 하는 일이다.
보시에는 베푸는 자(施者)・받는 자(受者)・베풀고 받는 물건(施物)의 세 가지의 바퀴(三輪)라는 말이 있다.
※륜(輪)이란?
수레는 여기에 있는 것을 저쪽으로 옮기는 도구의 뜻으로 「바퀴 륜(輪)」자(字)다.
그래서 시륜(施輪)․수륜(受輪)․물륜(物輪)의 셋이니, 3륜(三輪)이 공하여 고요하고(空寂) 청정해야 하니, 물건을 주고, 받는 사람의 본래면목(本來面目)이 공하여 고요하고(空寂) 청정함을 알아서, 주고받는 자리가 없는 가운데 행해야 한다.
금주의 다짐
부처님의 무한공덕, 반야바라밀 무애 위신력이 나에게 넘쳐나 자비광명이 찬연히 빛나는 것을 관하자. 그리고 이 광명이 온 누리에 퍼져 온 이웃 온 겨레의 가슴에 평화가 넘치는 것을 염하자. 이에서 내 몸의 안녕과 겨레의 평화가 성숙된다.법회 소식
오늘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 보현행자의 서원 제 6 수희분 법회요전 p.163 / 불광의범 p.30
・ 오늘법회 발원대표 송파26구 명등보살 월명수
・ 유아방 안내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 12시, 본당 4층(불광 포교사 운영)
・ 불광입문(신입법우) 교육 오후 1시, 교육원 5층 강의실(반야당) (매월 마지막주 일요일은 새법우 차담시간이 불광입문 교육으로 대체됩니다.)
12월 1일(토) 관음재일 오전 10시 30분, 만불전
사시예불 장소 11월 16일(금)부터 대웅전에서 진행합니다.
초하루・관음재일 법회 장소 12월 1일(토) 관음재일부터 만불전에서 진행합니다.
동안거결제 및 바라밀기도
・회향 : 내년 2월 19일(화, 음 1/15) 오전 10시, 보광당
1. 바라밀기도
・사시예불 : 오전 10시 30분, 대웅전
・동참금 : 5만원(축원)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 개인별 수행점검표는 안내데스크, 종무소 등에 비치되어 있습니다.
※ 사시예불 후 금강경 독송이 이어집니다.
2. 불광선원 참선반
・입재 : 11월 22일(목) ・정진 : 오전 9시 ~ 오후 6시
・입방비 : 15만원 ・접수 및 문의 : 교육원(☏ 417-2551)
시와 음악이 흐르는 불광
・일시 : 12월 9일(일) 오후 1시 30분 ・장소 : 보광당
・후원금 및 후원물품 보시 받습니다 ・접수 및 문의 : 법회사무국(☏ 413-0309)
불광사 직원 모집 안내
・모집분야 : 반야원 2명 ・제출서류 : 이력서 1부, 기타 증빙서류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 이메일(ipej@naver.com)
불광사 합창단 지휘자 모집 공고
・모집분야 : 상임지휘자 1명 ・접수기간 : 11월 15일(목) ~ 11월 30일(금)
・접수방법 : 방문접수 및 우편접수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제출서류 : 응시원서, 졸업・학위증명서, 경력증명서, 자기소개서, 합창단 운영계획서
※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재의전팀 봉사자 모집
・재봉행 시, 손님 안내 및 의전을 진행합니다.
・문의 : 법회사무국(☏ 413-0309) / 팀장 도명화(010-3241-4069)
반야원 특판행사 안내 문의 : 반야원(☏ 419-3344)
・소백산 자락에서 정성껏 키운 맛있는 부사 사과와 더덕, 도라지 등 농산물 특판행사를 사찰 입구에서 진행합니다.
구법회 법등소식
・강동2구 임원・마하, 송파20구 3법등, 송파21구 4법등, 송파27구 4법등, 송파29구 임원・1・3・4법등, 송파33구 3법등에서 모임을 진행하였습니다.
다음주 구모임
・송파20구 5법등, 송파21구 2・3법등에서 모임이 있을 예정입니다.
자원봉사소개
・11/25 송파13구, 12/1 송파13구, 12/2・5 송파11구, 12/7 송파1구, 12/9 송파16구
축하합니다
・송파8구 김도형 거사, 묘정덕(신지연) 보살의 딸 김언정양과 임정태군이 12월 1일(토) 오전 11시, 더컨벤션교통회관 3층 아모르홀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송파2구 1법등 성산(윤명규) 거사, 묘관명(김명월) 보살의 장남 윤석준군과 신지선양이 12월 1일(토) 오전 11시 30분, 더바인 1층 예그리나홀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대원4구 범해(안승태) 거사, 무생지(유종란) 보살의 딸 안민경양과 박준환군이 12월 1일(토) 오전 11시 30분, 파티오나인 6층 나인하우스홀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송파20구 4법등 김해중 거사, 마하 여심행(김은숙) 보살의 딸 김소영양과 손정훈군이 12월 1일(토) 낮 12시 30분, 와이타웨딩홀에서 화촉을 밝힙니다.
왕생극락을 기원합니다
・11월 12일(월) 송파30구 1법등 법성심 보살의 친정어머니
・11월 13일(화) 송파19구 1법등 광혜월 보살의 친정어머니
・11월 14일(수) 대원2구 3법등 자광(남원형) 거사의 장모
・11월 20일(화) 송파17구 명등 원각성 보살의 친정어머니
・11월 20일(화) 송파26구 선학 여원행(양정희) 보살의 시아버지
・11월 21일(수) 송파21구 3법등 마하 행원심 보살의 시아버지
※ 위 여섯 분이 세상 인연이 다하여 이 땅을 하직하셨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