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1월 둘째주 일요법회 > 법회보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2018년 11월 둘째주 일요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019.01.03 조회4,020회 댓글0건

본문

첨부파일 :
20181111_i2032_일요_지오.pdf


이주의 법문

법사 : 지오스님

大乘正宗分(대승의 근본 뜻)
① 대승정종분은 육신의 향락(享樂)생활을 떠난 보살의 세계(菩薩世界)이다.
먹는 것, 편안한 것, 노는 것(놀이) 등에만 마음을 쓰지 말고, 참된 생활을 개선해 나가는 것부터‘항복기심(降伏其心)’함이 필요하다.
이러한 욕심이 일어나지 않고 상(相)이 없는 행(行)을 하는 보살이 되어야 하는데, 만일 보살이 이러한 생활의 4상이 있으면 보살이 아니다.
② 중생을 교화하는 것이, 자신의 완성이고, 보살지위의 완성이다.
마음의 번뇌를 꺼버리는 것(吹消情炎)이‘항복기심(降伏其心)’이다.
자신의 완성은 열반을 성취했다는 것이니, 열반은 원만하고 청정하다는 뜻이다. 무여열반은 일체의 습기가 다 없어져서 영원히 번뇌가 일어나지 않는 뜻이다.
③ 육체가「나」라고 인식하여 집착하는 데에서 4상이 시작된다.
※ 금강경에서 4상을 중요하게 취급한 이유는 무엇인가?
4상만 없어지면 마음의 광명이 드러나게 되고,「참 나」를 깨닫게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불교를 안다는 것은 인생을 안다는 뜻이다.
인간의 본성(本性)을 깨달은 이는 아누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를 깨달은 이고, 4상이 있으면「참 나」로부터 멀어지고, 떨어지고, 벌어지게 된다.
「나」라는 주관의 생각은 객관을 상대할 때「나」라는 주관이 있다.
※‘마음’이란 무엇인가?
모든 것을 초월한 자리이고, 차원이전(次元以前)이고, 태초이전(太初以前)이고, 질량이전(質量以前)이고, 진아(眞我)와 가아(假我)를 초월한 것이고, 만사(萬事)의 주체(主體)가 바로「마음」이라는 것인데, 4상에 집착하기 육체를「나」라고 하게 된다.
육체를「나」라고 하는 사람은, 술에 미친 사람, 아편에 미친 사람, 정치에 미친 사람, 문학에 미친 사람, 여자는 남자에게 남자는 여자에게 미친 사람과 같다.
선과 악을 초월한 것이 인간본성이니, 공부하는 사람은 번뇌가 일어나는 것을 걱정하지 말고, 깨닫지 못한 것만을 걱정하라는 것이다.
사람이 공부를 하면서 망상을 일으키지 않으려면, 망상이 더욱 더 일어나게 되므로, 망상도「내」가 일으키는 것이지, 망상이 혼자서 일어나는 것은 아니니, 망상속에서 일심으로 염불하고 참선만 하면, 성품을 보게 된다.
공력(功力=정진)이 크면 금생에 깨닫게 되고, 공력이 적으면 금생에 깨닫지 못하게 되므로, 사람의 마음에 욕심이 없어지면 물건이 제대로 보이게 된다.
마음이 불안해지면 나쁜 생각이 일어나서, 그 생각이 독소(毒素)로 변하여 몸안에서 여러 가지 병을 일으키는 근원(根源)이 된다.
※ 일례(一例)를 들어 본다.
성나는 마음(嗔心)을 내면 그 순간에는 혈액이 진심의 기운으로 변하고, 이 때 태중에 태아가 있으면 태아도 성나는 마음(嗔心)으로 변한 혈액을 그대로 공급받게 되어, 태아도 성나는 마음(嗔心)에 의한 혈액으로 인하여 성격이 나쁘게 변해진다.
※ 실무중생 득멸도자(實無衆生 得滅度者)란?
번뇌망상이 다 없어졌다고 해서 별다른 것이 아니라, 산(山)을 보고 높은 줄 알고, 물(水)을 보고 깊은 줄 아는 그대로의 마음이지, 별다른 면목(面目)은 아니다.
모든 중생은 미혹(迷惑)하기 때문에 헤매고 있는 것이지, 불성(佛性)이 없는 것은 아니기에, 그래서 원래부터 제도가 다 되어 있는 것이므로, 실제로 한 중생도 제도한 일이 없다는 말이니, 이 말은,‘술이 취해도 그 사람이고, 술이 깨도 그 사람이다’라는 뜻과 같은 말이다.



금주의 다짐

내가 성장하고 재산이 증가하고 능력이 증진하는 것은 진리의 표현이요 불심에 부합한다. 정당한 소득을 거절할 것 없다. 결코 부(富)를 죄악시하지 말자. 가난은 미덕이 아니며 수난은 도덕이 아니다. 거기에서는 스스로 위축하고 남을 돕지 못하며 도리어 불편한 존재가 된다. 사회적 성장의 부담물이 되는 것이다.

법회 소식

11월 14일(수) 학업성취백일기도 회향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 법문 : 법주스님
11월 15일(목) 수능시험일 발원기도 수능 시험시간에 맞춰 진행, 보광당
11월 16일(금) 구도정진 저녁 9시 ~ 익일 새벽 4시, 보광당
ㆍ송파17구, 송파18구, 송파19구, 송파20구, 송파21구, 송파22구, 송파23구, 송파24구
사시예불 장소 안내 11월 16일(금)부터 대웅전에서 진행합니다.
초하루·관음재일 법회 장소 안내 12월 1일(토) 관음재일부터 만불전에서 진행합니다.

동안거결제 및 바라밀기도
·입재 : 11월 22일(목, 음 10/15)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회향 : 내년 2월 19일(화, 음 1/15)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1. 바라밀기도 기도
·사시예불 : 오전 10시 30분, 대웅전
·동참금 : 5만원(축원)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 개인별 수행점검표는 안내데스크, 종무소 등에 비치되어 있습니다.
2. 불광선원 참선반
·정진 : 오전 9시 ~ 오후 6시 ·문의 : 교육원(☏ 417-2551)

불광 김장담그기 행사
ㆍ일시 : 11월 24일(토) 오전 9시 ㆍ장소 : 지하1층 공양간
ㆍ김장헌공금, 물품보시 받습니다 ㆍ봉사 신청 및 문의 : 법회사무국(☏ 413-0309)
※ 겨울철 김장담그기 행사에 법우 형제분들의 많은 동참을 바랍니다.
불광사 직원 모집 안내
ㆍ모집분야 : 후원 2명 ㆍ제출서류 : 이력서 1부, 기타 증빙서류
ㆍ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반야원 특판행사 안내
·반야원에서 다시 신용카드 이용이 가능합니다.
·10월부터 11월 초까지 소량 생산되는 곱창김은 맛도 뛰어나지만 염산처리를 하지 않아 안전식품이기도 합니다. 진도에서 생산된 햇곱창김과 자연산 미역, 해산물 특판행사를 사찰 입구에서 진행합니다.
·마하탑에서 생산한 김장 부재료가 반야원에 들어왔습니다.
반야합창단원 모집 안내
ㆍ대상 : 음성공양에 뜻이 있으신 신도님 ㆍ활동 : 호법법회 음성공양 및 사중행사
ㆍ문의 : 법회사무국(☏ 413-0309) / 총무(010-8742-1518)
재의전팀 봉사자 모집
·재봉행 시, 손님 안내 및 의전을 진행합니다.
·문의 : 법회사무국(☏ 413-0309) / 팀장 도명화(010-3241-4069)
광덕스님 바라밀 육성법문 연구회
·일시 : 매주 목, 오후 6시 30분 ·장소 : 큰스님기념관(본당 지하2층)
구법회 법등소식
·강동2구 길1·길3·6·7법등, 송파21구 임원ㆍ1법등, 송파27구 임원, 송파33구 1법등에서 모임을 진행하였습니다.
다음주 구모임
·송파4구 1법등, 송파27구 1·2법등에서 모임이 있을 예정입니다.
자원봉사소개
·11/11 송파10구, 11/14 송파7구, 11/15 송파8구, 11/18 송파7구, 11/22 송파10구, 11/25 송파13구,12/1 송파13구, 12/2 송파11구, 12/5 송파11구, 12/7 송파1구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