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월 셋째주 불광토요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023.07.26 조회3,218회 댓글0건본문
첨부파일 :
우란분재와 왕생염불
음력 7월15일은 백중(百衆)이다. 이날 불자들은 우란분재(盂蘭盆齋), 또는 백중재(百衆齋)를 올린다. 우란분재는 우란분과 재가 합해진 말이다. 범어 우란분(盂蘭盆, ullamana)은 도현(倒懸)이라고 번역하며, ‘사람이 죽어서 거꾸로 매달려 고통받는 것’을 의미한다. 재(齋, uposatha)는 ‘삼가다, 청정하게 하다’는 뜻으로, ‘죄업을 참회하고 새롭게 된다.’라고 하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우란분재는 조상의 사후 고통을 구제하기 위해서 후손들이 올리는 공양이다.
이 공양 의식은 우란분경과 목련경에 의거한 것으로, 스님들이 하안거를 마치고 자자(自恣)를 하는 백중일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우란분재, 또는 백중재라고 한다. 우란분경에 따르면, 목련존자의 어머니는 생전에 지은 악업으로 죽어서 아귀의 몸을 받아서 고통받고 있었다. 부처님께서는 목련존자에게 어머니가 받는 아귀의 고통은 천신, 지신, 사마외도의 도사, 사천왕신 등의 힘으로는 구할 수 없고 오직 대중스님들의 위신력으로 구제할 수 있다고 하시고, 스님들이 자자하는 백중일에 올리는 우란분재 공양의 법을 설하신다.
대승의 정토경전에서는 사후의 고통을 여의는 법을 왕생염불의 가르침으로 설한다. 경전을 수지독송하며, 일념으로 부처님의 상호를 생각하고 부처님의 명호를 부르면 그 공덕으로 정토에 왕생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나옹(懶翁, 1320~1376) 선사는 이에서 더 나아가 다음과 같이 설법한다.
「‘아미타불 어디 계신가’하고 마음에 새겨서 잊지 마라. 염불하고 염불해서 생각마저 없어지면 온몸에서 언제나 부처님 광명 나타나리.」
阿彌陀佛在何方 著得心頭切莫忘 念到念窮無念處 六門常放紫金光
또 법견(法堅, 1552~1634) 선사는 이렇게 설법하였다.
「극락당 앞 가득한 보름달 부처님 얼굴이 허공에 비친 듯하네. 누구나 일념으로 명호 부르면 한순간에 무량한 공덕 완전하게 이루리.」
極樂堂前滿月容 玉毫金相(色)照虛空 若能(人)一念稱名號 頃刻圓成無量功
남의 단점이 보일 때는 그 사람의 본성의 원만성을 생각하고 병자를 만날 때는 부처님이 가호하시는 본래 건강한 몸을 관하고 염불하자.
생각하는 것은 현실로 나타나고 어지러운 현상은 해결된다.
·법문 : 승원스님(중앙승가대 승가학연구원장)
·보현행자의 서원 제7 청법분 / 불광토요정기법회 발원문 봉독
‘동명스님과 함께하는 불광화합을 위한 천팔십일 기도’
·기도기간 : 2023년 7월 22일(토) ~ 2026년 7월 5일(일)
·입재법회 : 2023년 7월 22일(토) 10:30, 보광당
·동참방법
▷새벽기도(5시) : 동명스님 집전, 불광화합을위한천팔십일기도발원문, 108배 참회
▷사시기도(10시30분) : 불광화합을위한천팔십일기도발원문, 금강경(전, 후편 독경)
·축원 동참 : 108만원(분납 가능)
·1080일 기도 동참 기념품 : 108염주 및 다포
·문의 및 신청 : 종무소 (02.413.6060)
음력6월 초하루법회 및 신중3일기도
·불기 2567(2023)년 7월 18일(화) 10시30분, 보광당(지하4층)
1080일기도동참자 구한나 국을경 권용락 권인석 김견하 김기돈 김만귀 김민규 김민선 김상기 김시형 김옥련 김용원 김주홍 김준호 김중묵 김진영 김태나 나현주
문호경 박상현 박상훈 박인규 박인재 배선희 백성민 심상인 양기종 엄기철 우리친환경 이명숙 이병무 이영자 이영주 이정한 이주희 이현우 임영호 장금순 정옥선 정재준
정창덕 정춘란 최문박 최운주 태기욱 홍승도 황보율 황보종구
우란분절(백중)설판헌공금 김주홍 100,000
불우이웃돕기헌공금 박기순 40,000
지오스님추모헌공금 보광스님 무상사 300,000
스님좌복헌공금 이정옥 1,837,000
자비의반찬 김인효 100,000
현물보시 우리친환경 생수 150개
불사 봉납 23년 총액 1,280,000 (7/7 ~ 7/13 합계 115,000)
[땅한평] 20,000 [亡]김창래
[만불전불사] 50,000 이정민
[만불봉안] 30,000 류혜경 | 15,000 장재혁
불광장학회 후원금 (7/7 ~ 7/13 합계 325,000)
50,000 김원향 | 30,000 선문기 | 20,000 이영숙 | 10,000 고명순 권혁준 김지하 김태균 김희정 문건호 문명옥 박준성 신명자 신화옥 안미경 안영희 윤정로 윤호애 이동수 이매자 이병무 이병호 | 5,000 고진희 김신자 노월수 송문옥 유지민 윤순란 장지혜 전은영 최용진
이주의 법문
법사 : 승원스님(중앙승가대 승가학연구원장)우란분재와 왕생염불
음력 7월15일은 백중(百衆)이다. 이날 불자들은 우란분재(盂蘭盆齋), 또는 백중재(百衆齋)를 올린다. 우란분재는 우란분과 재가 합해진 말이다. 범어 우란분(盂蘭盆, ullamana)은 도현(倒懸)이라고 번역하며, ‘사람이 죽어서 거꾸로 매달려 고통받는 것’을 의미한다. 재(齋, uposatha)는 ‘삼가다, 청정하게 하다’는 뜻으로, ‘죄업을 참회하고 새롭게 된다.’라고 하는 의미가 있다고 한다. 우란분재는 조상의 사후 고통을 구제하기 위해서 후손들이 올리는 공양이다.
이 공양 의식은 우란분경과 목련경에 의거한 것으로, 스님들이 하안거를 마치고 자자(自恣)를 하는 백중일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를 우란분재, 또는 백중재라고 한다. 우란분경에 따르면, 목련존자의 어머니는 생전에 지은 악업으로 죽어서 아귀의 몸을 받아서 고통받고 있었다. 부처님께서는 목련존자에게 어머니가 받는 아귀의 고통은 천신, 지신, 사마외도의 도사, 사천왕신 등의 힘으로는 구할 수 없고 오직 대중스님들의 위신력으로 구제할 수 있다고 하시고, 스님들이 자자하는 백중일에 올리는 우란분재 공양의 법을 설하신다.
대승의 정토경전에서는 사후의 고통을 여의는 법을 왕생염불의 가르침으로 설한다. 경전을 수지독송하며, 일념으로 부처님의 상호를 생각하고 부처님의 명호를 부르면 그 공덕으로 정토에 왕생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나옹(懶翁, 1320~1376) 선사는 이에서 더 나아가 다음과 같이 설법한다.
「‘아미타불 어디 계신가’하고 마음에 새겨서 잊지 마라. 염불하고 염불해서 생각마저 없어지면 온몸에서 언제나 부처님 광명 나타나리.」
阿彌陀佛在何方 著得心頭切莫忘 念到念窮無念處 六門常放紫金光
또 법견(法堅, 1552~1634) 선사는 이렇게 설법하였다.
「극락당 앞 가득한 보름달 부처님 얼굴이 허공에 비친 듯하네. 누구나 일념으로 명호 부르면 한순간에 무량한 공덕 완전하게 이루리.」
極樂堂前滿月容 玉毫金相(色)照虛空 若能(人)一念稱名號 頃刻圓成無量功
금주의 다짐
언제나 부처님 공덕 충만한 바라밀을 생각하자.남의 단점이 보일 때는 그 사람의 본성의 원만성을 생각하고 병자를 만날 때는 부처님이 가호하시는 본래 건강한 몸을 관하고 염불하자.
생각하는 것은 현실로 나타나고 어지러운 현상은 해결된다.
법회 소식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법문 : 승원스님(중앙승가대 승가학연구원장)
·보현행자의 서원 제7 청법분 / 불광토요정기법회 발원문 봉독
‘동명스님과 함께하는 불광화합을 위한 천팔십일 기도’
·기도기간 : 2023년 7월 22일(토) ~ 2026년 7월 5일(일)
·입재법회 : 2023년 7월 22일(토) 10:30, 보광당
·동참방법
▷새벽기도(5시) : 동명스님 집전, 불광화합을위한천팔십일기도발원문, 108배 참회
▷사시기도(10시30분) : 불광화합을위한천팔십일기도발원문, 금강경(전, 후편 독경)
·축원 동참 : 108만원(분납 가능)
·1080일 기도 동참 기념품 : 108염주 및 다포
·문의 및 신청 : 종무소 (02.413.6060)
음력6월 초하루법회 및 신중3일기도
·불기 2567(2023)년 7월 18일(화) 10시30분, 보광당(지하4층)
꽃비
[불기2567년 7월 15일(토)]1080일기도동참자 구한나 국을경 권용락 권인석 김견하 김기돈 김만귀 김민규 김민선 김상기 김시형 김옥련 김용원 김주홍 김준호 김중묵 김진영 김태나 나현주
문호경 박상현 박상훈 박인규 박인재 배선희 백성민 심상인 양기종 엄기철 우리친환경 이명숙 이병무 이영자 이영주 이정한 이주희 이현우 임영호 장금순 정옥선 정재준
정창덕 정춘란 최문박 최운주 태기욱 홍승도 황보율 황보종구
우란분절(백중)설판헌공금 김주홍 100,000
불우이웃돕기헌공금 박기순 40,000
지오스님추모헌공금 보광스님 무상사 300,000
스님좌복헌공금 이정옥 1,837,000
자비의반찬 김인효 100,000
현물보시 우리친환경 생수 150개
불사 봉납 23년 총액 1,280,000 (7/7 ~ 7/13 합계 115,000)
[땅한평] 20,000 [亡]김창래
[만불전불사] 50,000 이정민
[만불봉안] 30,000 류혜경 | 15,000 장재혁
불광장학회 후원금 (7/7 ~ 7/13 합계 325,000)
50,000 김원향 | 30,000 선문기 | 20,000 이영숙 | 10,000 고명순 권혁준 김지하 김태균 김희정 문건호 문명옥 박준성 신명자 신화옥 안미경 안영희 윤정로 윤호애 이동수 이매자 이병무 이병호 | 5,000 고진희 김신자 노월수 송문옥 유지민 윤순란 장지혜 전은영 최용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