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0월 넷째주 불광토요법회 > 법회보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2023년 10월 넷째주 불광토요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023.10.30 조회2,928회 댓글0건

본문

첨부파일 :


이주의 법문

법사 : 구담스님(불광사 지도법사)

불교의 생명살림
불교에서 생명을 살리는 실천행이나 불사를 생명살림이라고 하는데, ‘살림’의 말은 불교의 산림(山林)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산림이라는 말은 보통 사찰에서 선지식을 모시고 법회나 강의를 여는 정초산림기도, 금강산림법회, 화엄산림법회 등으로 불려지는데, 破人我山(파인아산)이요, 養功德林(양공덕림)에서 ‘山’과 ‘林’를 따로 떼어와서 산림이라고 합니다. 이 말은 나와 나 아닌 것 사이에 놓인 장벽을 산에 비유해서, 그 장벽(산)을 무너뜨리고 베푸는 공덕의 숲을 가꾸어나가겠다는 뜻입니다. 현대에 와서는 이러한 산림법회가 더 큰 차원으로 확대되어서 생명을 살리는 생명살림이라는 말로 널리 회자되면서, 현대 불교에서 중요하게 다뤄야 할 가치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최근 날씨가 추워지면서 어미 길고양이가 불광사 건물 안으로 들어와 갓 태어난 새끼고양이 두 마리를 놓고 가버린 일이 있었습니다. 어미가 더 이상 찾으러 오지 않아 사중에서 새끼고양이 두 마리를 살리기 위해 정성으로 이유식을 먹이고 치료하면서 보내드린 일로, 어린 생명을 살리려는 뜻깊은 노력이었습니다.

원래 절에서 고양이나 돼지, 개 등을 기르지 말라고 경전에서는 원칙적으로 명시하였으나, 유기된 동물을 위한 입양이나 산중 사찰에서 보안을 목적으로 기르는 일은 이제 흔한 일상이 되었다 할 것입니다.

불교에서 말하는 생명은 산스크리트어 사트바를 번역한 말로, ‘모든 존재’라는 뜻이고 ‘중생’이라는 말과 같습니다. 즉 인간만이 아니라 우주 전체에 존재하는 모든 것이 생명이라는 뜻으로 〈열반경〉의 ‘일체중생 실유불성(一切衆生 悉有佛性)’에서 말하는, 유정, 무정이 모두 불성을 지니고 있으며 그 자체로 부처라는 의미와도 통합니다.
즉 불교에서 말하는 생명의 무게는 인간이건 고양이건 같을뿐더러, 불교에서 생명을 설명하는 표현인 중생과 유정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인간이라고 해서 더 나은 지위가 있지 않다고 봐야 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실에서 우리는 동물들에게 지나치게 동정적이고 불평등하게 대하고 있지는 않은지 물어봐야 합니다. 이를테면 개나 고양이에게 주는 사랑이 집착이나 과잉이 아니라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지 의문입니다.

부처님께서 설하신 생명의 의미란, 업과 윤회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위한 성찰이며, 자신의 불성을 확인하기 위해 노력하는 존재라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본다면 중생들이 깨달음을 얻을 수 있도록 다각도로 돕는 게 불교 생명살림의 역할이고 불자들의 도리일 것입니다.
만일 우리 불교가 일상에서 불교적 관점으로 생명살림을 위해 좀 더 적극적인 보현행으로 노력한다면, 생명의 소중함에 대해, 지금보다 훨씬 선한 영향력을 주변에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합니다. 그것이 머지않아 실제로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큰 힘으로 작용할 것이며, 동시에 가장 불교다운 전법행이며 방생이자 생명살림이기 때문입니다. 마하반야바라밀.



금주의 다짐

참된 존재는「부처님」뿐이다. 무한의 공덕, 일체 성취의 위력은 부처님에게서 온다. 우리는 바라밀 진리로서 성공과 창조의 문을 열어간다. 일심으로 반야바라밀을 닦아서 무한 공덕분을 성취하자.

법회 소식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
·법문 : 구담스님(불광사 지도법사)
·보현행자의 서원 제9 수학분 독송
·불광토요법회 발원문 봉독
·1080일기도 99일차, 금강경 독송

11월 첫째주 불광토요법회/포살법회 안내
·일정 : 11월 4일(토) 오전 10시30분, 보광당(지하 4층)
·법사 : 동명스님(불광사 주지스님)

천팔십일기도 1차 108일 회향 기념 ‘충주 석종사 특별순례기도’
·일시 : 11월 12일(일) 오전 7시30분 불광사 출발
·장소 : 충주 석종사 (여주 신륵사 경유)
·법사 : 혜국대종사
·동참금 : 3만원

‘동명스님과 함께하는 불광화합을 위한 천팔십일기도’
·기도기간 : 2023년 7월 22일(토) ~ 2026년 7월 5일(일)
·동참방법
▷새벽기도(5시) : 불광화합을위한천팔십일기도발원문, 108배 참회
▷사시기도(10시30분) : 불광화합을위한천팔십일기도발원문, 금강경 독경
·축원동참 : 108만원(분납 가능) / 기도 동참 기념품 : 108염주 및 다포

봉사자 모집 안내
·모집분야 : 재봉사팀, 공양봉사팀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413-6060

불광사 연꽃어린이법회 안내
·일시 / 장소 : 매주 토요일 10시30분 / 불광교육원 5층 법당
·지도법사 : 안정스님(중앙승가대 불교역경학과 재학)

불광사 참선반 모집 안내
·정진시간 : 매일 오전 9시~12시, 오후 1시~3시 (개방시간 오전8시~오후5시)
·장소 : 본당 4층 보리당 ·동참금 : 월 5만원
·지도법사 : 청목스님(불광사 교무) ·소참법문 : 매주 금요일 오후2시

꽃비

[불기 2567년 10월 28일(토)]
1080일기도동참자 가정희 강성인 강신재 강정기 고각스님 구용주 구담스님 구수회 구한나 국을경 권영팔 권용락 권인석 권종태 길세현 김견하 김기돈 김기호 김기홍 김대호 김덕재 김도연 김도형 김동학 김만귀 김문회 김민규 김민선 김상규 김상기 김상미 김성곤 김성욱 김성율 김성은 김시열 김시형 김양임 김옥련 김유미 김윤우 김윤환 김용원 김은재 김재우 김재연 김정란 김정하 김정호 김종진 김주홍 김준호 김중묵 김지혜 김진영 김진일 김창숙 김태나 김태윤 김학혁 김헌영 김현우 김현철 김효재 나현주 남승현 덕인스님 동명스님 류지영 마포구법회 무아스님 문미숙 문호경 민세기 박덕규 박도선 박민선 박병우 박봉식 박상현 박상훈 박석윤 박순지 박승혁 박윤영 박인규 박인재 박인표 박일서 박정선 박종선 박주호 박지현 박진희 박창희 박태민 박태헌 박향영 박현훈 박효정 배선희 배재인 백경섭 백낙현 백상호 백성민 백승익 백승화 변성문 서명심 서문옥 서민경 서영진 서재홍 서재흔 설미자 성민용 성봉수 성제호 성호순 손기원 송관호 송승엽 송현주 송현탁 신기림 신소이 신승재 신중광 신현준 심상인 심재순 안만수 양기종 양승호 양재민 양재혁 양정숙 양정자 양지원 엄기철 염승규 오경택 오세점 우리친환경 유재령 유지만 윤두연 윤성준 윤소년 윤애심 윤영특 윤장호 윤정로 윤진미 윤태노 이만규 이만우 이명숙 이미숙 이병무 이병미 이병무 이상식 이숙희 이승룡 이승우 ESC유니온유통이영자 이애숙 이영주 이영철 이유리 이은숙 이인선 이재은 이재현 이정국 이정한 이제경 이조순 이종훈 이주희 이준희 이지숙 이창호 이태일 이현우 이혜숙 이호근 이호수 이호철 이흥주 일우스님 임영호 장금순 장복환 장세정 장수연 장수영 장양석 장주령 장준상 장진영 전미화 전영애 전유순 전정은 정동화 정복례 정숙영 정순태 정승열 정오훈 정우승 정옥선 정우승 정재준 정재훈 정종무 정진숙 정찬영 정창덕 정춘란 정희승 정희주 조경자 조대연 조민수 조성순 조성애 조세란 조운 조원조 조원호 조홍래 조현서 조현창 지덕스님 지예승 진성민 차미경 차인숙 채명성 천은숙 청목스님 최갑봉 최광연 최경화 최경희 최규호 최동환 최문박 최복희 최봉준 최선옥 최소희 최영환 최운주 최주아 최진규 최충식 최현준 최현지 최형근 최호재 최희재 태기욱 하상우 한보경 한순복 한영임 한종록 한진민 허영두 허윤희 혜성스님 홍대용 홍정희 홍승도 홍연우 홍영숙 홍정희 홍채영 황경연 황미라 황병훈 황보율 황보종구 황상준 황선제 황영희 황장회
영가천도헌공금 박갑배영가 350,000
백중설판헌공금 김일동 50,000
불광토요법회현물보시 지운 생수 180개
불사 봉납 23년 총액 9,090,000 (10/20 ~ 10/26 합계 110,000)
[중창불사] 20,000 [亡]김창래
[만불봉안] 30,000 김윤우 임솔 | 10,000 이현석 정복례 최봉준
불광장학회 후원금 (10/20 ~ 10/26 합계 115,000)
50,000 김원향 | 30,000 서양옥 | 20,000 이광세 | 10,000 김지하 백성례 안미경 | 5,000 권혁재 노월수 이현숙 전은영 최운주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