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10월 첫째주 불광토요법회 및 포살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2023.10.08 조회2,985회 댓글0건본문
첨부파일 :
오직 보시바라밀을 실천하겠습니다
“공양은 부처님께서 주신 무량복덕의 문을 활짝 여는 길임을 믿습니다. 저희들은 간탐심과 애착심으로 인하여 참된 공양을 행하지 못하였고, 설사 약간의 공양을 한다 하더라도 이유와 조건을 붙인 공양이었습니다. (…)
저희들은 이제 공양을 행하되 마음의 문이 활짝 열리도록 아낌없이 바람 없이 지성껏 공양하겠습니다. 정성 바쳐 공양함으로써 애착과 간탐심의 작은 뿌리들을 하나하나 뽑겠습니다.”
(광덕큰스님의 「보현행자의 서원 – 공양분」에서)
저는 이 서원을 일상생활 속에서 ‘대가 없이 보시하겠습니다’ 또는 ‘오직 보시바라밀을 실천하겠습니다’로 바꾸어 실천하되, 반야심경의 가르침에 따르고자 합니다.
“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 오온이 공한 것을 비추어 보고 온갖 고통에서 건너느니라.”
첫째, 나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마음으로 보시하겠습니다. 보시는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오직 남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남을 위하는 것이 곧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며, 나 자신부터 온갖 고통에서 건너게 해주는 것임을 이해해야 합니다.
둘째, 나 자신의 몸과 느낌과 마음을 항상 알아차리면서 보시하겠습니다. 보시를 결심하면서 우리는 여러 가지 계산을 하기 쉽습니다. 그럴 때 내 몸과 느낌과 마음은 어떤지 알아차리겠습니다. 알아차림으로써 나는 몸과 느낌과 마음이 모두 영원하지 않고 항상 변화하는 것이며, 그것들이 모두 집착할 것이 되지 못함을 깨닫겠습니다.
셋째, ‘나’ 자신에게 집착하지 않고 보시하겠습니다. 오온이 공한 것을 비추어보는 것은 곧 자신을 바르게 보는 것입니다. 자신을 바르게 보면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있음을 알게 되고, 내가 무언가를 소유한다는 것은 그것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것이나 한가지임을 깨닫게 됩니다.
넷째, 문제를 제대로 알고 보시하겠습니다. ‘온갖 고통에서 건넜다’는 구절을 통해 우리는 관세음보살님이 사성제(四聖諦)를 통해 괴로움을 통찰하셨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문제의식을 정확하게 갖고 보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섯째, 오직 보시바라밀을 실천하겠습니다. 관세음보살님은 “얻을 것이 없는 까닭에 보살은 (오직)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으므로 두려움이 없어서, 뒤바뀐 헛된 생각을 멀리 떠나 완전한 열반에 들어가며, 삼세의 모든 부처님도 (오직)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 최상의 깨달음을 얻느니라”라고 하셨습니다. 관세음보살님처럼 ‘순수한 마음’으로, 대가를 바라지 않고 ‘오직’ 보시바라밀을 실천하겠습니다.
부처님 시대의 꽃장수 수마나처럼 오직 보시바라밀에만 집중할 뿐 그 결과에 대해서는 집착하지 않겠습니다. 부처님께서는 게송으로 말씀하셨습니다.
그 일을 하고 나서 후회하지 않고/ 그 결과가 어떻든 기뻐하고 즐거워한다면/ 그 행위는 훌륭하다 할 수 있다. (법구경 68송)
부처님께서는 “믿음으로 보시하고, 존중하면서 보시하고, 바른 시기에 보시하고, 마음에 남음이 없이 보시하고, 자기와 남을 손상시키지 않고 보시하는 사람은 참된 사람”(「참된 사람 경」, A5:148)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보시를 통해 미색과 재물 구하지 않고/ 천상이나 인간 세상에 나기를 바라지도 않으며/ 오직 위없이 수승한 보리를 구하였으니/ 오히려 미미하게 보시하고 큰 과보를 얻었어라
行施不求妙色財 亦不願感天人趣 爲求無上勝菩提 施微而獲求大果
-부용영관(芙蓉靈觀, 1485~1571), 「실을 보시한 사람을 예찬하다」(贊施縷者)
오늘 하루 모두를 부처님께 맡기자. 걱정과 다툼 모두를 버리자.
부처님은 쓰러진 자를 붙들어 일으키고 어두운 마음을 밝혀 주시며
지친 자에게 활력을 주고 막힌 자에게 길을 터 주신다.
오늘 하루를 부처님께 맡기자. 되찾아 오지말자.
감사하고 기뻐하며 용기를 내자. 우리의 하루하루가 부처님 날이 된다.
·법문 : 동명스님(불광사 주지)
·10월 포살의식
·보현행자의 서원 제7 청법분 독송
·불광토요법회 발원문 봉독
·1080일기도 78일차, 금강경 독송
불광 창립 49주년 기념법회 봉행
·일정 : 불기 2567(2023)년 10월 14일(토)
·시간 : 오전 10시
·장소 : 보광당 (본당 지하 4층)
모범신도 표창 – 기념법회시
▷ 신도분들의 추천을 바랍니다.
▷ 추천서 양식은 종무소에 비치되어 있습니다.
▷ 문의 : 사무장 법우
음력8월 관음재일법회 안내
·일정 : 10월 8일(일) 오전 10시30분, 대웅전(지상 5층)
·법사 : 청목스님(불광사 교무)
음력9월 초하루법회 안내
·일정 : 10월 15일(일) 오전 10시30분, 대웅전(지상 5층)
·법사 : 구담스님(불광사 지도법사)
77기 불교기본교육 수련회 안내
·일정 : 10월 14일(토)~15일(일)
·장소 : 해인사
·동참문의 : 종무소 02-413-6060
학업성취발원 2차 성지순례 안내
·일정 : 10월 17일(화)~18일(수)
·장소 : 설악산 봉정암
·동참문의 : 종무소 02-413-6060
4회 불광사「국화향기 나눔전」꽃공양 안내
·일 정 : 9월 23일(토) ~ 10월 30일(월)
·꽃공양(소) 2만원, 꽃공양(중) 5만원, 꽃공양(대) 10만원, 꽃공양(포토존) 설판접수
불광사 참선반 모집 안내
·정진시간 : 매일 오전 9시~12시, 오후 1시~3시 (개방시간 오전8시~오후5시)
·장소 : 본당 4층 보리당 ·동참금 : 월 5만원
·지도법사 : 청목스님(불광사 교무) ·소참법문 : 매주 금요일 오후2시
불광사 연꽃어린이법회 안내
·일시 / 장소 :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30분 / 불광교육원 5층 법당
- 10월 21일(토) 10시30분, 법회 재개 예정
·지도법사 : 안정스님(중앙승가대 불교역경학과 재학)
1080일기도동참자 가정희 강성인 강신재 강정기 고각스님 구용주 구담스님 구수회 구한나 국을경 권영팔 권용락 권인석 권종태 길세현 김견하 김기돈 김기호 김기홍 김대호 김덕재 김도연 김도형 김동학 김만귀 김문회 김민규 김민선 김상규 김상기 김상미 김성곤 김성욱 김성율 김성은 김시열 김시형 김양임 김옥련 김유미 김윤환 김용원 김은재 김재우 김정란 김정하 김정호 김종진 김주홍 김준호 김중묵 김지혜 김진영 김진일 김창숙 김태나 김태윤 김학혁 김헌영 김현우 김현철 김효재 나현주 남승현 덕인스님 동명스님 마포구법회 무아스님 문미숙 문호경 민세기 박덕규 박도선 박민선 박병우 박봉식 박상현 박상훈 박석윤 박순지 박승혁 박윤영 박인규 박인재 박인표 박일서 박정선 박종선 박주호 박지현 박진희 박창희 박태민 박태헌 박향영 박현훈 박효정 배선희 배재인 백경섭 백낙현 백상호 백성민 백승익 백승화 서명심 서문옥 서민경 서영진 서재홍 서재흔 성민용 성봉수 성제호 성호순 손기원 송관호 송승엽 송현주 송현탁 신기림 신소이 신승재 신중광 신현준 심상인 심재순 안만수 양기종 양승호 양재민 양재혁 양정숙 양정자 엄기철 염승규 오경택 오세점 우리친환경 유재령 윤두연 윤소년 윤애심 윤영특 윤장호 윤정로 윤진미 윤태노 이만규 이명숙 이미숙 이병무 이병미 이명숙 이병무 이상식 이숙희 이승룡 이승우 ESC유니온유통이영자 이애숙 이영주 이유리 이은숙 이인선 이재은 이재현 이정국 이정한 이제경 이조순 이종훈 이주희 이준희 이창호 이태일 이현우 이호근 이호수 이호철 이흥주 일우스님 임영호 장금순 장복환 장세정 장수연 장양석 장주령 장준상 장진영 전미화 전영애 전유순 전정은 정동화 정복례 정숙영 정순태 정승열 정오훈 정우승 정옥선 정우승 정재준 정재훈 정종무 정진숙 정찬영 정창덕 정춘란 정희승 정희주 조대연 조민수 조성순 조성애 조세란 조운 조원조 조원호 조현서 조현창 지덕스님 지예승 진성민 차미경 차인숙 채명성 천은숙 청목스님 최갑봉 최광연 최경화 최경희 최규호 최동환 최문박 최복희 최봉준 최선옥 최소희 최영환 최운주 최주아 최진규 최충식 최현준 최현지 최형근 최호재 최희재 태기욱 하상우 한보경 한순복 한영임 한종록 한진민 허영두 허윤희 혜성스님 홍대용 홍정희 홍승도 홍영숙 홍정희 홍채영 황경연 황미라 황병훈 황보율 황보종구 황상준 황선제 황영희
창립법회헌공금 이명숙 1,000,000 | 김헌영 500,000 | 조원호 200,000 |박종선 보현회 유순좌 최광연 100,000 | 권영팔 50,000
대웅전꽃공양금 김민교 960,000
추석대중공양헌공금 송승연 200,000 | 최광연 한지희 50,000
불우이웃돕기헌공금 박기순 40,000
불광토요법회현물보시 지운 생수 180개 | 희망시루 두부 145개
창립법회현물보시 지운 생수 500개
불사 봉납 23년 총액 6,310,000 (9/22 ~ 10/5 합계 3,200,000)
[중창불사] 권영팔 권오재 100,000 [만불전불사] 이정민 50,000
[만불봉안] 동명스님 1,080,000 | 금강스님 1,000,000 | 박광선 박다연 180,000 |
김정민 서은경 140,000 | 김도윤 김서영 100,000 | 류혜경 30,000
불광장학회 후원금 (9/22 ~ 10/5 합계 90,000)
30,000 서양옥 선문기 | 20,000 이광세 이영숙 | 10,000 노고명순 권혁준 김태균 김희정 문건호 문명옥 박준성 백성례 신명자 신화옥 안영희 윤정로 윤호애 이동수 이매자 이병무 이병호 | 5,000 노고진희 권혁재 김신자 송문옥 신인숙 유지민 윤순란 이현숙 장지혜 최용진 최운주
이주의 법문
법사 : 동명스님(불광사 주지)오직 보시바라밀을 실천하겠습니다
“공양은 부처님께서 주신 무량복덕의 문을 활짝 여는 길임을 믿습니다. 저희들은 간탐심과 애착심으로 인하여 참된 공양을 행하지 못하였고, 설사 약간의 공양을 한다 하더라도 이유와 조건을 붙인 공양이었습니다. (…)
저희들은 이제 공양을 행하되 마음의 문이 활짝 열리도록 아낌없이 바람 없이 지성껏 공양하겠습니다. 정성 바쳐 공양함으로써 애착과 간탐심의 작은 뿌리들을 하나하나 뽑겠습니다.”
(광덕큰스님의 「보현행자의 서원 – 공양분」에서)
저는 이 서원을 일상생활 속에서 ‘대가 없이 보시하겠습니다’ 또는 ‘오직 보시바라밀을 실천하겠습니다’로 바꾸어 실천하되, 반야심경의 가르침에 따르고자 합니다.
“관자재보살이 깊은 반야바라밀다를 행할 때, 오온이 공한 것을 비추어 보고 온갖 고통에서 건너느니라.”
첫째, 나 자신을 진정으로 사랑하는 마음으로 보시하겠습니다. 보시는 자신을 위한 것이 아니라 오직 남을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러나 남을 위하는 것이 곧 자신을 사랑하는 것이며, 나 자신부터 온갖 고통에서 건너게 해주는 것임을 이해해야 합니다.
둘째, 나 자신의 몸과 느낌과 마음을 항상 알아차리면서 보시하겠습니다. 보시를 결심하면서 우리는 여러 가지 계산을 하기 쉽습니다. 그럴 때 내 몸과 느낌과 마음은 어떤지 알아차리겠습니다. 알아차림으로써 나는 몸과 느낌과 마음이 모두 영원하지 않고 항상 변화하는 것이며, 그것들이 모두 집착할 것이 되지 못함을 깨닫겠습니다.
셋째, ‘나’ 자신에게 집착하지 않고 보시하겠습니다. 오온이 공한 것을 비추어보는 것은 곧 자신을 바르게 보는 것입니다. 자신을 바르게 보면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있음을 알게 되고, 내가 무언가를 소유한다는 것은 그것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것이나 한가지임을 깨닫게 됩니다.
넷째, 문제를 제대로 알고 보시하겠습니다. ‘온갖 고통에서 건넜다’는 구절을 통해 우리는 관세음보살님이 사성제(四聖諦)를 통해 괴로움을 통찰하셨음을 알 수 있습니다. 문제의식을 정확하게 갖고 보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섯째, 오직 보시바라밀을 실천하겠습니다. 관세음보살님은 “얻을 것이 없는 까닭에 보살은 (오직)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 마음에 걸림이 없고 걸림이 없으므로 두려움이 없어서, 뒤바뀐 헛된 생각을 멀리 떠나 완전한 열반에 들어가며, 삼세의 모든 부처님도 (오직) 반야바라밀다를 의지하므로 최상의 깨달음을 얻느니라”라고 하셨습니다. 관세음보살님처럼 ‘순수한 마음’으로, 대가를 바라지 않고 ‘오직’ 보시바라밀을 실천하겠습니다.
부처님 시대의 꽃장수 수마나처럼 오직 보시바라밀에만 집중할 뿐 그 결과에 대해서는 집착하지 않겠습니다. 부처님께서는 게송으로 말씀하셨습니다.
그 일을 하고 나서 후회하지 않고/ 그 결과가 어떻든 기뻐하고 즐거워한다면/ 그 행위는 훌륭하다 할 수 있다. (법구경 68송)
부처님께서는 “믿음으로 보시하고, 존중하면서 보시하고, 바른 시기에 보시하고, 마음에 남음이 없이 보시하고, 자기와 남을 손상시키지 않고 보시하는 사람은 참된 사람”(「참된 사람 경」, A5:148)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보시를 통해 미색과 재물 구하지 않고/ 천상이나 인간 세상에 나기를 바라지도 않으며/ 오직 위없이 수승한 보리를 구하였으니/ 오히려 미미하게 보시하고 큰 과보를 얻었어라
行施不求妙色財 亦不願感天人趣 爲求無上勝菩提 施微而獲求大果
-부용영관(芙蓉靈觀, 1485~1571), 「실을 보시한 사람을 예찬하다」(贊施縷者)
금주의 다짐
오늘 하루 모두를 부처님께 맡기자. 걱정과 다툼 모두를 버리자.
부처님은 쓰러진 자를 붙들어 일으키고 어두운 마음을 밝혀 주시며
지친 자에게 활력을 주고 막힌 자에게 길을 터 주신다.
오늘 하루를 부처님께 맡기자. 되찾아 오지말자.
감사하고 기뻐하며 용기를 내자. 우리의 하루하루가 부처님 날이 된다.
법회 소식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법문 : 동명스님(불광사 주지)
·10월 포살의식
·보현행자의 서원 제7 청법분 독송
·불광토요법회 발원문 봉독
·1080일기도 78일차, 금강경 독송
불광 창립 49주년 기념법회 봉행
·일정 : 불기 2567(2023)년 10월 14일(토)
·시간 : 오전 10시
·장소 : 보광당 (본당 지하 4층)
모범신도 표창 – 기념법회시
▷ 신도분들의 추천을 바랍니다.
▷ 추천서 양식은 종무소에 비치되어 있습니다.
▷ 문의 : 사무장 법우
음력8월 관음재일법회 안내
·일정 : 10월 8일(일) 오전 10시30분, 대웅전(지상 5층)
·법사 : 청목스님(불광사 교무)
음력9월 초하루법회 안내
·일정 : 10월 15일(일) 오전 10시30분, 대웅전(지상 5층)
·법사 : 구담스님(불광사 지도법사)
77기 불교기본교육 수련회 안내
·일정 : 10월 14일(토)~15일(일)
·장소 : 해인사
·동참문의 : 종무소 02-413-6060
학업성취발원 2차 성지순례 안내
·일정 : 10월 17일(화)~18일(수)
·장소 : 설악산 봉정암
·동참문의 : 종무소 02-413-6060
4회 불광사「국화향기 나눔전」꽃공양 안내
·일 정 : 9월 23일(토) ~ 10월 30일(월)
·꽃공양(소) 2만원, 꽃공양(중) 5만원, 꽃공양(대) 10만원, 꽃공양(포토존) 설판접수
불광사 참선반 모집 안내
·정진시간 : 매일 오전 9시~12시, 오후 1시~3시 (개방시간 오전8시~오후5시)
·장소 : 본당 4층 보리당 ·동참금 : 월 5만원
·지도법사 : 청목스님(불광사 교무) ·소참법문 : 매주 금요일 오후2시
불광사 연꽃어린이법회 안내
·일시 / 장소 :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30분 / 불광교육원 5층 법당
- 10월 21일(토) 10시30분, 법회 재개 예정
·지도법사 : 안정스님(중앙승가대 불교역경학과 재학)
꽃비
[불기 2567년 10월 7일(토)]1080일기도동참자 가정희 강성인 강신재 강정기 고각스님 구용주 구담스님 구수회 구한나 국을경 권영팔 권용락 권인석 권종태 길세현 김견하 김기돈 김기호 김기홍 김대호 김덕재 김도연 김도형 김동학 김만귀 김문회 김민규 김민선 김상규 김상기 김상미 김성곤 김성욱 김성율 김성은 김시열 김시형 김양임 김옥련 김유미 김윤환 김용원 김은재 김재우 김정란 김정하 김정호 김종진 김주홍 김준호 김중묵 김지혜 김진영 김진일 김창숙 김태나 김태윤 김학혁 김헌영 김현우 김현철 김효재 나현주 남승현 덕인스님 동명스님 마포구법회 무아스님 문미숙 문호경 민세기 박덕규 박도선 박민선 박병우 박봉식 박상현 박상훈 박석윤 박순지 박승혁 박윤영 박인규 박인재 박인표 박일서 박정선 박종선 박주호 박지현 박진희 박창희 박태민 박태헌 박향영 박현훈 박효정 배선희 배재인 백경섭 백낙현 백상호 백성민 백승익 백승화 서명심 서문옥 서민경 서영진 서재홍 서재흔 성민용 성봉수 성제호 성호순 손기원 송관호 송승엽 송현주 송현탁 신기림 신소이 신승재 신중광 신현준 심상인 심재순 안만수 양기종 양승호 양재민 양재혁 양정숙 양정자 엄기철 염승규 오경택 오세점 우리친환경 유재령 윤두연 윤소년 윤애심 윤영특 윤장호 윤정로 윤진미 윤태노 이만규 이명숙 이미숙 이병무 이병미 이명숙 이병무 이상식 이숙희 이승룡 이승우 ESC유니온유통이영자 이애숙 이영주 이유리 이은숙 이인선 이재은 이재현 이정국 이정한 이제경 이조순 이종훈 이주희 이준희 이창호 이태일 이현우 이호근 이호수 이호철 이흥주 일우스님 임영호 장금순 장복환 장세정 장수연 장양석 장주령 장준상 장진영 전미화 전영애 전유순 전정은 정동화 정복례 정숙영 정순태 정승열 정오훈 정우승 정옥선 정우승 정재준 정재훈 정종무 정진숙 정찬영 정창덕 정춘란 정희승 정희주 조대연 조민수 조성순 조성애 조세란 조운 조원조 조원호 조현서 조현창 지덕스님 지예승 진성민 차미경 차인숙 채명성 천은숙 청목스님 최갑봉 최광연 최경화 최경희 최규호 최동환 최문박 최복희 최봉준 최선옥 최소희 최영환 최운주 최주아 최진규 최충식 최현준 최현지 최형근 최호재 최희재 태기욱 하상우 한보경 한순복 한영임 한종록 한진민 허영두 허윤희 혜성스님 홍대용 홍정희 홍승도 홍영숙 홍정희 홍채영 황경연 황미라 황병훈 황보율 황보종구 황상준 황선제 황영희
창립법회헌공금 이명숙 1,000,000 | 김헌영 500,000 | 조원호 200,000 |박종선 보현회 유순좌 최광연 100,000 | 권영팔 50,000
대웅전꽃공양금 김민교 960,000
추석대중공양헌공금 송승연 200,000 | 최광연 한지희 50,000
불우이웃돕기헌공금 박기순 40,000
불광토요법회현물보시 지운 생수 180개 | 희망시루 두부 145개
창립법회현물보시 지운 생수 500개
불사 봉납 23년 총액 6,310,000 (9/22 ~ 10/5 합계 3,200,000)
[중창불사] 권영팔 권오재 100,000 [만불전불사] 이정민 50,000
[만불봉안] 동명스님 1,080,000 | 금강스님 1,000,000 | 박광선 박다연 180,000 |
김정민 서은경 140,000 | 김도윤 김서영 100,000 | 류혜경 30,000
불광장학회 후원금 (9/22 ~ 10/5 합계 90,000)
30,000 서양옥 선문기 | 20,000 이광세 이영숙 | 10,000 노고명순 권혁준 김태균 김희정 문건호 문명옥 박준성 백성례 신명자 신화옥 안영희 윤정로 윤호애 이동수 이매자 이병무 이병호 | 5,000 노고진희 권혁재 김신자 송문옥 신인숙 유지민 윤순란 이현숙 장지혜 최용진 최운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