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3. 9.(토) 토요법회 > 법회보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2024. 3. 9.(토) 토요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24.03.22 조회2,832회 댓글0건

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현진스님(여의도포교원 원장)

금강경으로 보는 보살행(菩薩行)
제3분 대승정종분(大乘正宗分, 대승의 바른 종지)
佛告須菩提,“諸菩薩摩訶薩應如是降伏其心,‘所有一切衆生之類,若卵生、若胎生、若濕生、若化生、若有色、若無色、若有想、若無想、若非有想非無想,我皆令入無餘涅槃而滅度之。’ 如是滅度無量無數無邊衆生,實無衆生得滅度者。何以故?須菩提!若菩薩有我相、人相、衆生相、壽者相,卽非菩薩。”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모든 보살마하살은 응당 이와 같이 그 마음을 항복받을지니라.
‘있는 바 일체 중생 종류인, 혹 알로 생기는 것, 혹 태로 생기는 것, 혹 습(濕)으로 생기는 것, 혹 화(化)하여 생기는 것, 혹 형상 있는 것, 혹 형상 없는 것, 혹 생각 있는 것, 혹 생각 없는 것, 혹 생각이 있는 것도 아니요, 없는 것도 아닌 것들을 내가 다 하여금 무여열반(無餘涅槃)에 넣어서 멸도(滅度)하리라.
이와 같이 한량없고 셀 수 없고 가없는 중생을 멸도하나 실로는 멸도를 얻은 중생이 없다’ 하라.
어찌한 까닭이랴. 수보리야, 만약 보살이 아상(我相)과 인상(人相)과 중생상(衆生相)과 수자상(壽者相)이 있으면 이는 곧 보살이 아니니라.

제4분 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 묘행은 머묾이 없음)
“復次,須菩提!菩薩於法,應無所住,行於布施,所謂不住色布施,不住聲香味觸法布施。須菩提!菩薩應如是布施,不住於相。何以故?若菩薩不住相布施,其福德不可思量。須菩提!於意云何?東方虛空可思量不?”“不也,世尊!”“須菩提!南西北方四維上下虛空可思量不?”“不也,世尊!”“須菩提!菩薩無住相布施,福德亦復如是不可思量。須菩提!菩薩但應如所教住。”
그리고 또 수보리야, 보살은 마땅히 법에 머문 바 없이 보시(布施)를 행할지니, 이른바 형상에 머물지 않은 보시이며, 성(聲), 향(香), 미(味), 촉(觸), 법(法)에 머물지 않은 보시여야 하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응당 이와 같이 보시하여 상(相)에 머물지 않느니라. 어찌한 까닭이랴? 만약 보살이 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면 그 복덕을 가히 생각으로 헤아릴 수 없느니라.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동쪽 허공을 가히 생각으로 헤아릴 수 있겠느냐?”
“못하겠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남서북방과 사유(四維)와 상하 허공을 가히 생각으로 헤아릴 수 있겠느냐?”
“못하겠습니다. 세존이시여.”
“수보리야, 보살의 상(相)에 머무름이 없는 보시의 복덕도 또한 다시 이와 같아야 생각으로 헤아릴 수 없느니라.
수보리야, 보살은 자못 마땅히 가르친 바와 같이 머물지니라.

제5분 여리실견분(如理實見分, 바른 도리를 실답게 봄)
“須菩提!於意云何?可以身相,見如來不?”“不也,世尊!不可以身相得見如來。何以故?如來所說身相,卽非身相。”佛告須菩提,“凡所有相,皆是虛妄。若見諸相非相,則見如來。”
수보리야, 어떻게 생각하느냐? 너는 몸 모양으로써 여래를 볼 수 있겠느냐?”
“못보겠습니다. 세존이시여, 몸 모양으로써 여래는 볼 수 없습니다.
왜냐하오면 여래께서 말씀하시는 바 몸 모양은 곧 몸 모양이 아니옵니다.”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이르셨다.
“무릇 있는 바 상(相)은 다 이것이 허망하니 만약 모든 상이 상 아님을 보면 곧 여래를 보리라.”

금주의 다짐

아무리 어두운 구름이 덮여 오더라도 태양은 거침없이 찬란한 빛을 부어댄다. 아무리 고난과 불안이 밀어닥쳐도 우리의 희망, 우리의 전진을 가로막지는 못한다. 구름을 벽으로 아는 자에게 길이 막힌다. 구름을 두려워 떠는 자에게 불행이 온다. 고난과 불행은 움직이는 필름의 영상과 같이 나타났을 때 사라진다. 그것은 그림자다.

법회 소식

음력2월 초하루법회
·일시: 3월 10일(일) 오전 10시, 대웅전(본관 5층)
·법사: 총무 구담스님

토요법회/출가재일법회
·일시: 3월 16일(토) 오전 10시, 보광당(지하 4층)
·법사: 자현스님(중앙승가대 교수)

출가재일기도
·일시: 3월 17일(일) 오전 10시, 대웅전(5층)

3월 넷째주 토요법회/열반재일법회
·일시: 3월 23일(토) 오전 10시, 보광당(지하 4층)
·법사: 교무 일화스님

열반재일기도
·일시: 3월 24일(일) 오전 10시, 대웅전(5층)

스님의날(출가재일) 승보공양 안내
·부처님 법을 지키고 널리 전하는 승가에 대한 공양은 무량한 공덕이 있습니다.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부처님오신날 연등 모연문 배포
·접수처에서 연등 모연문을 배포합니다.

만불전 원불 점안법회
·3월 30일(토) 오전 10시, 만불전(3층)

만불전 원불봉안 접수
·원불봉안 접수를 받사오니 많은 관심 바랍니다.
·동참금: 108만원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법요집 법보시
·바뀐 의식에 맞추어 새로 법요집을 제작하오니 많은 동참 바랍니다.

봉사자 모집 안내
·모집분야: 공양봉사팀, 재봉사팀, 호법팀 ·접수 및 문의: 종무소 02-413-6060

<불광교육원 강좌 안내>
·불광교육원 02-417-2551 / 접수처 02-413-6060

1. 불교기본교육(16주) : 10만원
- 주간반 3/7(목) 오후 2시
- 야간반 3/7(목) 오후 7시

2. 불광불교대학(1년 2학기) : 학기당 30만원
- 주간반 3/5(화) 오후 2시
- 야간반 3/5(화) 오후 7시

3. 불광선재대학(3개월) : 학기당 10만원
- 주간반 4/3(수) 오후 2시

4. 불광아카데미
<법화경>, <선가귀감>, <명품으로 보는 한국 불교문화>, <불화반>, <스마트 생활명상>, <예술치유명상>

불광사 유튜브채널 <대한불교조계종 불광사>
·www.youtube.com/@bulkwangsa1974 ★‘불광사’를 검색하세요★

왕생극락을 기원합니다
·3/5(화) 김두응 거사의 아버지께서 세상 인연이 다하여 이 땅을 하직하셨습니다.

꽃비

<꽃비>
[불기2568(2024)년 2월 29일 ~ 3월 7일]
1080일기도동참자 고하자 나현주 류광현 박병우 박일서 백경섭 백상호 성후경 신자선 이만규
이상연 이재현 이제경 장수영 정승열 정재준 정진숙 지예승
법요집법보시 100,000 안옥만 | 50,000 박두자 복준영 한정애
승보공양헌공금 300,000 김민선 | 200,000 권혁분 바라밀1신행회 이순효 이윤희 파라미타합창단 | 100,000 국을경 김민규 김옥춘 박두자 법당안내팀 신자선 윤정로 최규호 최명자 | 50,000 가정희 문경옥 복기봉 성창국 이원식 이태일 정숙영 조운 최남숙 | 30,000 이회종
감사헌공금 50,000 이성민 | 30,000 성창훈 | 10,000 윤상민
현물보시 생수(관음재일) 우리친환경

불사 봉납 24년 총액 24,724,000 (2/29 ~ 3/7 합계 3,808,000)
[만불봉안] 1,080,000 김인남 이철우 | 1,000,000 김병희 | 108,000 정희문 | 100,000 나성수 | 80,000 김병희 | 50,000 김미영 김지아 김헌영 송웅재 임소이 임지호 | 30,000 김민규 김민선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