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2. 12.(월) 정초기도 및 정월조상합동천도기도 입재법회 > 법회보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2024. 2. 12.(월) 정초기도 및 정월조상합동천도기도 입재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24.02.12 조회2,982회 댓글0건

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구담스님(불광사 총무)

정초에 올리는 기도와 공덕
정초기도는 새해를 시작하면서 발원하는 중요한 시간입니다. 과거 새벽녘 장독대 위해 정안수를 떠놓고 빌던 치성처럼 옛 스님들 또한 ‘정초에 정성껏 기도를 들여야, 일년 농사를 잘 짓고 원만히 회향할 수 있다고’ 강조하셨습니다. 정초기도는 새해가 되면 당연히 올리는 의례이면서 우리 민족의 삶의 방식이었기에, 한 해의 삶을 시작하는 첫걸음이면서 올 한 해 이렇게 해보겠다고 다짐하는 자신과의 약속입니다.

마찬가지로 새해 정초기도를 입재하면서 선망 조상을 위한 천도재를 올리는 것은 가족을 위한 가장 현실적인 이익된 방생이 될 수 있습니다. 새해를 여는 첫걸음으로 기도와 함께 선망 조상들에게 정성을 다하는 복을 짓는 것이야말로,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마음 표현 방법일 될 것입니다.

천도재는 마음을 비우고 진심으로 정성을 기울이는 일입니다. 오늘 우리가 입재하는 조상 천도재 또한 그렇습니다. 가까이서 보면 엄숙한 제사주의 형식 같지만, 한발 물러서 보면 우리 가족을 위한 화합의 잔치와도 같습니다.

오늘날 우리가 절에서 지내는 제사 형식은 유교에서 비롯된 전통제례 방식을 따르고, 그 안의 내용은 불교의 정신을 담고 있습니다. 그러기 때문에 우리가 불자로서 제사를 모실 때 분명하게 알아야 할 것은 비록 우리가 형식은 불교 바깥의 유교 형식을 따른다고 하지만 그 안에 담겨진 내용과 정신은 불교임을 아셔야 되고 그리고 내용과 정신에 따라서 그 의식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다른 사상이나 종교와 불교의 가장 큰 특징 가운데 중요한 하나는 ‘영원히 변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그 무엇’이 있다는 것은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비록 불교에서 제사를 지내더라도 그것은 영혼의 존재를 믿고 그 영혼을 위해서 지내는 제사가 아니라 오히려 살아있는 존재를 위한 행사입니다. 그렇기에 우리가 알고 있는 전통 방식의 제사라는 것도 사실 돌아가신 영혼을 위한 것만이 최고의 목적은 아니라는 점을 알아야 합니다.

우리가 지내는 전통방식의 제례 형식의 기원을 공자님 말씀에 둡니다. 공자께서 그런 제례의 예법을 세우실 때 기준으로 삼으신 것은 주나라 주공의 예법입니다. 오늘날 우리가 지내는 제사 형식의 기원은 주나라 주례에 있다 할 수 있고, 그에 문헌의 해석서에 보면 제사에 대해서 이렇게 얘기했다고 합니다.
“제사를 지내는 가장 큰 목적은 공동체의 화합이다.” 즉 제사로써 얻고자 하는 가장 큰 목적은, 지금 함께 살아가는 사람들의 화합에 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지금 함께 있는 사람들의 현실적인 행복, 그래서 조상님 제사를 모시는 가장 큰 목적은 우리 가족의 인연과 화합을 위한 것임을 알아야 합니다. 그러니 제사를 모실 때 가장 중요한 공양물과 가장 중요하게 마련해야 하는 제물은, 푸짐한 음식이나 화려한 장식이 아니라 제사를 모시는 사람들의 마음, 가족들이 서로 사랑하고 화합하는 마음입니다.
마하반야바라밀.

금주의 다짐

.

법회 소식

금하당 광덕큰스님 추모법회
·일시 : 2월 17일(토) 오전 10시, 보광당(지하 4층)
·법사 : 정여스님(범어사 방장)
정초7일기도 회향
·일시 : 2월 18일(일) 오전 10시, 대웅전(5층) 및 만불전(3층)
·법사 : 주지 동명스님 ·동참금 : 3만원
천팔십일기도 2차 회향
·일시 : 2월 22일(목) 오전 10시, 보광당(지하 4층)
·법사 : 승원스님(중앙승가대 교수) ·동참금 : 3만원

사시기도 장소 변경 <대웅전>
·일시 : 1월 29일(월)부터 사시기도를 대웅전에서 봉행합니다.

천팔십일기도 2차 108일 회향 기념 특별순례기도 <영월 법흥사>
·일시 : 2월 25일(일), 적멸보궁 영월 법흥사
·동참금 : 5만원 ·접수 및 문의 : 접수처 02-413-6060

부처님오신날 연등 모연문 배포 안내
·접수처에서 부처님오신날 연등 모연문을 배포합니다.

만불전 원불봉안 접수
·만불전 원불봉안불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세한 안내는 접수처에서 받으시기 바랍니다.추가로 원불봉안 접수를 받사오니 불광법우형제님들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동참금 : 108만원 ·접수 및 문의 : 접수처 02-413-6060

법요집 법보시
·바뀐 의식에 맞추어 새로 법요집을 제작합니다. 법보시 받사오니 많은 동참 바랍니다.
·접수 및 문의 : 접수처 02-413-6060

저온저장고 불사
·공양미와 김장김치, 과일 등을 보관하기 위한 저온저장고 불사 보시를 받습니다.
·접수 및 문의 : 접수처 413-6060

봉사자 모집 안내
·모집분야 : 공양봉사팀, 재봉사팀, 호법팀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02-413-6060

금강청년법회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30분, 보리당(본관 4층)
연꽃어린이법회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30분, 교육원 5층 대법전

불광사 유튜브채널 <대한불교조계종 불광사>
www.youtube.com/@bulkwangsa1974
유튜브에서 “불광사”를 검색하세요.

꽃비

.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