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2. 4.(일) 갑진년 입춘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24.02.04 조회3,114회 댓글0건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동명스님(불광사 주지)삼재를 ‘축복’으로 만드는 최상의 방법
기다리지 않아도 오고/ 기다림마저 잃었을 때에도 너는 온다./ 어디 뻘밭 구석이거나/ 썩은 물 웅덩이 같은 데를 기웃거리다가/ 한눈 좀 팔고, 싸움도 한판 하고,/ 지쳐 나자빠져 있다가/ 다급한 사연 들고 달려간 바람이/ 흔들어 깨우면/ 눈 부비며 너는 더디게 온다./ 더디게 더디게 마침내 올 것이 온다./ 너를 보면 눈부셔/ 일어나 맞이할 수가 없다./ 입을 열어 외치지만 소리는 굳어/ 나는 아무것도 미리 알릴 수가 없다./ 가까스로 두 팔 벌려 껴안아 보는/ 너, 먼 데서 이기고 돌아온 사람아.
- 이성부의 시 「봄」 전문
2월이면 저는 이 시를 생각합니다. 2월 초순은 제법 춥습니다. 입춘추위라는 말도 있듯이 특히 입춘 무렵에 몹시 추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입춘 무렵에 산에 가보십시오. 계곡의 얼음장 밑에서 흐르는 계곡물 소리가 한결 경쾌해지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알고 보니 입춘의 봄은 땅속,얼음장 밑에서 시작되는 것이었습니다.
2월에 봄을 느껴보십시오. 인생이 달라집니다. 아주 활기에 넘치게 되고, 살아가는 참 재미를 느끼게 됩니다. 그런 재미를 느끼지 못하시겠다면, 이성부의 「봄」이라는 시를 읽으십시오. 2월 엄동설한의 본성이 사실은 봄임을 우리는 느끼게 됩니다. 계절의 흐름 속에서 우리는 나의 본질, 아니 세상의 본질이 진정으로 ‘마하반야바라밀’임을 느끼게 됩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겨울이지만, 그 본성은 이미 봄이었습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불임이지만, 내면적으로는 왕성한 생명력이었습니다. 그 왕성한 생명력이 곧 마하반야바라밀입니다.
입춘기도나 정초기도에는 삼재풀이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여러분은 모르셨죠, 우리 절도 삼재풀이를 한다는 사실을? 우리 절은 삼재풀이 기도비를 따로 받지 않고 삼재풀이를 하고 있습니다. 무슨 말이냐고요?
삼재는 물에 의한 재난, 불에 의한 재난, 바람에 의한 재난을 말합니다. 그런데 그 삼재의 본성을 가만히 보십시오. 물이 없으면 우리는 살 수 없습니다. 불이 없어도 살 수 없고, 바람이나 공기가 없어도 살 수 없습니다. 가만히 보면 삼재의 본성이 우리 생명에게는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그 근본적인 요소의 총체가 곧 ‘마하반야바라밀’입니다. 우리는 방금 마하반야바라밀을 정성껏 염송했습니다. 또한 우리는 우리의 마음을 도장으로 찍은 입춘다라니 ‘마하반야바라밀’을 몇 장씩 가지고 가서 문이나 방에 붙이고 마하반야바라밀을 수시로 명상할 것입니다. 그것이 바로 최상의 삼재풀이가 아니고 그 무엇이겠습니까?
오늘 입춘을 맞이하여 우리는 삼재의 본질을 이루는 물, 불, 바람(공기)에 대해 깊이 감사하는 마음을 가져봅니다. 물이 있어서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물이 있어서 우리는 부처님께 감로수를 올리고 기도하고 있습니다. 불이 있어서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불이 있어서 우리는 부처님께 촛불을 올리고 기도하고 있습니다. 바람(공기)이 있어서 우리는 살고 있습니다. 바람(공기)이 있어서 해마다 봄바람이 남에서 옵니다. 물과 불과 바람(공기)은 재난이 아니라 ‘축복’입니다. 물과 불과 바람(공기)을 축복으로 만드는 것, 그것이 바로 마하반야바라밀, 대긍정의 삼재풀이입니다.
대긍정의 게송과 선시 한 편씩 읽습니다.
“깊은 바다가/ 티없이 맑고 고요하듯이/ 지혜로운 이는/
진리의 가르침을 듣기에/ 그 마음 맑고 깨끗하다.”(법구경 82송)
누가 쌍거울을 내 얼굴에 걸어놓았나
푸르고 희고 검고 누런 색깔 분명히 보누나
남의 시비를 가리고 구별하는 데는 능숙한데
자기 자신을 되돌아보는 건 참 미숙하구나
誰將雙鏡掛於面 靑白玄黃歷歷分 飜笑是非他了別 未能返照自家痕
-영허해일(暎虛海日, 1541~1609), 「눈(眼)」
금주의 다짐
.법회 소식
호법법회·일시 : 2월 7일(수) 오전 10시, 보광당(지하 4층)
·법사 : 주지 동명스님
설날합동차례
·일시 : 2월 10일(토) 오전 10시, 보광당(지하 4층)
·동참금 : 10만원(친외가 양가 접수 15만원)
정초7일기도입재
·일시 : 2월 12일(월) 오전 10시, 보광당(지하 4층)
·법사 : 총무 구담스님 ·동참금 : 3만원
금하당 광덕큰스님 추모법회
·일시 : 2월 17일(토) 오전 10시, 보광당(지하 4층)
·법사 : 정여스님(범어사 방장)
사시기도 장소 변경 <대웅전>
·일시 : 1월 29일(월)부터 사시기도를 대웅전에서 봉행합니다.
천팔십일기도 2차 108일 회향 기념 특별순례기도 <영월 법흥사>
·일시 : 2월 25일(일), 적멸보궁 영월 법흥사
·동참금 : 5만원 ·접수 및 문의 : 접수처 02-413-6060
부처님오신날 연등 모연문 배포 안내
·접수처에서 부처님오신날 연등 모연문을 배포합니다.
저온저장고 불사
·공양미와 김장김치, 과일 등을 보관하기 위한 저온저장고 불사 보시를 받습니다.
·접수 및 문의 : 접수처 413-6060
만불전 원불봉안 접수
·만불전 원불봉안불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세한 안내는 접수처에서 받으시기 바랍니다.추가로 원불봉안 접수를 받사오니 불광법우형제님들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동참금 : 108만원 ·접수 및 문의 : 접수처 02-413-6060
법요집 법보시
·바뀐 의식에 맞추어 새로 법요집을 제작합니다. 법보시 받사오니 많은 동참 바랍니다.
·접수 및 문의 : 접수처 02-413-6060
봉사자 모집 안내
·모집분야 : 공양봉사팀, 재봉사팀, 호법팀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02-413-6060
금강청년법회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30분, 보리당(본관 4층)
연꽃어린이법회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30분, 교육원 5층 대법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