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 18.(목) 불기 2568년 성도광명일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24.01.18 조회2,877회 댓글0건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동명스님(불광사 주지)그대는 더 이상 집을 짓지 않으리라
수많은 삶, 윤회 속을 헤매면서/ 집 짓는 자를 찾았지만 찾지 못하여/ 계속해서 태어남은 괴로움이었네.(법구경 153송)
오, 집 짓는 자여!/ 이제 그대를 보았으니/ 그대는 더 이상 집을 짓지 못하리라./ 서까래는 부서졌고 대들보는 뿔뿔이 흩어졌으며/ 마음은 열반에 이르러/ 갈애의 소멸을 성취했노라.(법구경 154송)
부처님의 등장은 실로 인류 사상의 흐름을 획기적으로 전환시킨 일대 혁명이었습니다. 부처님께서 인류 역사에 실질적으로 등장한 날이 바로 오늘, 성도재일입니다. 큰스님께서 재일(齋日)이라는 용어 대신에 특별히 광명일(光明日)이라는 용어를 쓰셨던 것은, 어두웠던 인류 역사를 환하게 밝힌 날이 바로 부처님께서 성도하신 바로 오늘이기 때문입니다.
(1) 원력의 절반을 성취하시다
부처님께서는 이 세상에 두 가지 큰 원력을 세우고 오셨습니다. 첫째, 온갖 번뇌로부터 벗어난 붓다가 되는 것이요, 둘째, 뭇 생명들을 번뇌로부터 해방시키는 것이었습니다. 그중 첫번째 원력이 실현된 날이 바로 성도재일입니다.
(2) 신보다도 위대한 인간의 탄생 – 또하나의 인간선언
인간이 기록한 역사 속에서 천상과 인간을 통틀어 번뇌로부터 완전하게 해방된 이는 보이지 않았습니다. 부처님께서 깨달음을 얻으심으로써 번뇌로부터 완전하게 해방되셨으니, 부처님의 성도는 곧 가장 위대한 인간의 탄생을 알리는, 다시 말해 탄생게인 “천상천하 유아독존”을 실질적으로 증명하는 또하나의 인간선언입니다.
(3) 세상의 창조자는 따로 없다
이 세상은 어떻게 생겨났을까요? 불교가 등장하기 이전에는 신과 같은 조물주가 이 세상을 창조했으리라는 생각으로부터 크게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부처님의 깨달음으로부터 비로소 세상의 창조자는 따로 없을 수 있음을 우리는 알게 됩니다. 실로 세상은 어떤 실체가 있어서 시작된 것이 아니라, 원인이 될 만한 씨앗과 조건이 만나서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룬 것입니다. 조건이 변화하면서 세상도 변화하고 파괴될 수도 있음은 물론입니다. 부처님께서 깨달으신 연기법은 이 세상이 만들어지고 유지되고 변화하고 소멸하기도 한다는, ‘자연이 순환하는 원리’에 다름 아닙니다.
(4) 신의 힘을 빌리지 않는 해결사(자력신앙)의 등장
부처님께서는 난제 중의 난제인 생로병사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출가하셨습니다. 그리고 그 답을 마침내 찾아내셨습니다. 인류 역사상 생로병사와 같은 난제나 인간 구원의 문제를 해결했다고 하는 이는 꽤 있었지만, 그러나 온전한 인간의 힘으로 문제를 해결한 이는 없었습니다. 오직 부처님만이 신의 힘을 빌리지 않고 자력으로 해결하셨으니, 문제해결의 새로운 차원을 여신 것입니다.
(5) 고행도 쾌락도 아닌 중도의 발견
부처님의 깨달음은 여러 가지로 설명할 수 있지만, 간단하게 말하면 중도의 발견입니다. 당시 인도 사회에서는 물론이고 세계에서도 ‘중도’라는 아주 온순한 방법이 도를 닦는 최상의 길이라는 생각은 할 수 없었습니다. 부처님은 지극한 쾌락도 첨단의 명상도 극단의 고행도 아닌 중도에서 길을 찾으셨는데, 이 또한 인류 역사상 희귀한 혁명이었습니다.
(6) 신과 인간의 역사를 통틀어 가장 완벽한 영웅의 탄생
부처님 등장 이전에 탐진치로부터 완전하게 벗어난 신과 인간은 없었습니다. 우리는 지금 우리가 접할 수 있는 ‘신과 인간의 역사’를 통틀어 가장 위대한 영웅을 만나고 있습니다.
거위 울음이 다른 곳 아닌 나무 위에서 울리는데/ 숲속에서 퍼지는 까치의 노래는 오묘한 진리라네/ 까치 울음 거위 울음 결코 둘이 아니라는 것/ 인연 따라 물건 따라 새롭고도 새롭네(鵝鳴樹上非他得 鵲噪林間說妙眞 鵲噪鵝鳴非有二 遇緣遇物更新新) – 나옹혜근(懶翁惠勤, 1320~1376), 「죽순(竹筍)」에서
금주의 다짐
.법회 소식
토요정기법회·일시 : 1월 20일(토) 오전 10시, 보광당(지하 4층)
·법사 : 법인스님(전 조계종 교육부장)
※법회 후 지하 1층 공양간에서 대중공양을 제공합니다.
지장재일
·일시 : 1월 28일(일) 오전 10시30분
·동참금 : 1만원 ·접수 및 문의 : 접수처 413-6060
입춘 3일기도 입재
·일시 : 2월 2일(금) 오전 10시30분, 보광당(지하 4층)
·동참금 : 3만원 ·접수 및 문의 : 접수처 413-6060
입춘법회
·일시 : 2월 4일(일) 오전 10시30분, 대웅전(지상 5층)
※ 만불전에서도 법회 동참하실 수 있습니다.
부처님오신날 연등 모연문 배포 안내
·접수처에서 부처님오신날 연등 모연문을 배포합니다.
접수처 이전 안내 이전장소 : 종무소 내부 ▶ 본당 1층 로비
저온저장고 불사
·공양미와 김장김치, 과일 등을 보관하기 위한 저온저장고 불사 보시를 받습니다.
·접수 및 문의 : 접수처 413-6060
만불전 원불봉안 접수
·만불전 원불봉안불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세한 안내는 접수처에서 받으시기 바랍니다.추가로 원불봉안 접수를 받사오니 불광법우형제님들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동참금 : 108만원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02-413-6060
만불전 원불봉안 접수
·만불전 원불봉안불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자세한 안내는 접수처에서 받으시기 바랍니다.추가로 원불봉안 접수를 받사오니 불광법우형제님들의 많은 관심 바랍니다.
·동참금 : 108만원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02-413-6060
봉사자 모집 안내
·모집분야 : 공양봉사팀, 재봉사팀, 호법팀
·접수 및 문의 : 종무소 02-413-6060
금강청년법회
·일시 :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30분, 보리당(본관 4층)
·지도법사 : 총무 구담스님
연꽃어린이법회
·일시 :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30분, 교육원 5층 대법전
·대상 : 초등학생
·지도법사 : 안정스님(중앙승가대 불교역경학과 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