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3. 16.(토) 토요법회 및 출가재일기념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24.03.22 조회2,853회 댓글0건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자현스님(중앙승가대 교수)왜 붓다는 금수저를 버렸을까?
출가·열반주간이라는 특별한 대정진의 기간을 아시나요?
우리나라의 명절하면 단연 설과 추석이 떠오른다. ‘민족최대의 명절’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이들 명절은 단연 쌍벽이라고 이를 만하다. 여기에 단오와 한식을 더해지면 4대 명절이 된다.
불교에도 이와 같은 5대 명절이 있다. 불교의 명절은 대체로 교조인 붓다의 일생과 관련된 가장 선 굵은 사건들을 기념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인간의 일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생사, 즉 탄생과 죽음일 것이다. 불교에서는 이를 4월 8일의 부처님 오신 날과 2월 15일의 열반재일로 기념한다. 여기에 인간 싯다르타가 깨달음을 증득하고 붓다라는 완전한 존재로 깨어나는 성도의 순간 역시 중요하다. 즉 인간으로 와서 붓다로 완성되는 12월 8일의 성도재일인 것이다.
여기에 수행자로서의 시작인 출가가 이루어지는 2월 8일의 출가재일과, 7월 15일의 하안거 해제 날에 동아시아 전통의 조상숭배가 결합된 우란분재가 더해지면 불교의 5대 명절이 완성된다. 즉 붓다와 관련된 네 명절에 동아시아와 습합된 하나의 명절, 즉 4+1인 셈이다.
이 중 출가재일과 열반재일은 같은 2월 달에 불과 8일 차이로 인접해 있다. 때문에 이 8일을 출가·열반주간이라고 해서 부처님의 수행정신을 닮고자하는 발심대정진기간으로 설정하는 전통이 존재하게 된다. 즉 붓다로 사는 참 삶의 기간이 바로 이때인 것이다.
이 기간의 대표적인 불교전통에는 탑돌이가 있다. 『삼국유사』의 「김현감호金現感虎」를 보면, 신라시대 때부터 이 시기에 탑돌이가 행해졌음을 알 수 있다. 내용인 즉슨, 김현이 이차돈의 순교사찰인 경주의 흥륜사에서 탑돌이를 하다가 사람으로 변신한 호랑이 여인을 만나 결국 비극적인 사랑을 하게 된다는 이야기다. 즉 특별정진기간의 탑돌이 과정에 발칙하게도 썸을 타기도 했다는 말이다. 그러나 어떤 면에서는 이 역시 우리 삶의 또 다른 군상이 아닐까?!
탑돌이는 밤에 연등을 들고 오른쪽의 시계방향으로 탑을 돌며 소원을 기원하는 오랜 연원을 가진 불교문화이다. 어둠을 물리치는 등불, 그것은 곧 진리를 가리키는 붓다의 곧바른 이정표인 셈이다.
또 일본의 승려 엔닌이 당나라의 불교유적을 순례하면서 적은 『입당구법순례행기』의 841년 2월 8일 내용에 보면, 이때 무애다반無礙茶飯이 행해졌다는 기록도 있다. 무애다반이란 부처님께 성대한 공양을 올리고 이를 이웃들과 함께 나누며 뜻 깊은 회향을 베푸는 것을 의미한다. 즉 붓다를 떠올리게 되는 정진기간에 약자를 보둠어 안는 대사회적인 실천의 노력을 전개하는 것이다.
조계종에서는 1996년부터 이 기간을 ‘불교도 경건주간’으로 지정하고, 자비 나눔의 보살행을 권장해 왔다. 이는 현재 ‘출가·열반재일주간’으로 재정리되어, 승단에 공양을 올려 복을 짓는 ‘승보공양’과 ‘108참회기도’ 그리고 ‘생명과 나눔’ 등의 행사 등으로 확대되어 있다.
열반재일은 단순히 붓다의 삶이 끝나는 날만은 아니다. 초기불교에서는 육체를 버린 열반에 이르러서야 진정한 깨달음이 완성된다(무여열반)고 보았다. 이 때문에 우리가 사용하는 불기佛紀는 부처님의 탄생이나 성도하신 해를 기점으로 하지 않고, 열반에 드신 년도로 정해지게 된다. 즉 죽음을 넘어선 깊음 상징이 열반의 의미 속에 깃들어 있는 것이다.
금주의 다짐
두려워 말고 흔들리지 말고 앞으로 나아가자. 희망과 용기와 자신을 더하고 성공을 꿈꾸자. 영겁의 생명, 진리의 태양은 지금 우리의 가슴을 뛰고 시시각각 우리의 결단을 기다리고 있다. 원래로 보름달과 같이 원만한 우리 마음인데, 이를 가로막는 것은 감정의 구름덩어리다. 원래로 행복한 우리 인생인데, 불행하게 만든 것은 번뇌 망상이다.법회 소식
출가재일기도·일시: 3월 17일(일) 오전 10시, 대웅전(5층)
3월 넷째주 토요법회/열반재일기념법회
·일시: 3월 23일(토) 오전 10시, 보광당(지하 4층)
·법사: 교무 일화스님
열반재일기도
·일시: 3월 24일(일) 오전 10시, 대웅전(5층)
3월 다섯째주 토요법회/만불전 원불 점안법회
·일시: 3월 30일(토) 오전 10시, 만불전(3층)
·법사: 흥교큰스님(창원 성주사 회주)
출가열반재일 특별정진주간
·기간: 3월 17일(일) ~ 24일(일)
·천수경/석가모니불 정근/출가열반재일 특별정진 발원문/참선정진
부처님오신날 연등 모연문 배포
·접수처에서 연등 모연문을 배포합니다.
만불전 원불봉안 접수
·원불봉안 접수를 받사오니 많은 관심 바랍니다.
·동참금: 108만원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법요집 법보시
·바뀐 의식에 맞추어 새로 법요집을 제작하오니 많은 동참 바랍니다.
봉사자 모집 안내
·모집분야: 공양봉사팀, 재봉사팀, 호법팀 ·접수 및 문의: 종무소 02-413-6060
불광사 유튜브채널 <대한불교조계종 불광사>
·www.youtube.com/@bulkwangsa1974 ★‘불광사’를 검색하세요★
<불광교육원 강좌 안내>
·불광교육원 02-417-2551 / 접수처 02-413-6060
1. 불교기본교육(16주) : 10만원
- 주간반 3/7(목) 오후 2시
- 야간반 3/7(목) 오후 7시
2. 불광불교대학(1년 2학기) : 학기당 30만원
- 주간반 3/5(화) 오후 2시
- 야간반 3/5(화) 오후 7시
3. 불광선재대학(3개월) : 학기당 10만원
- 주간반 4/3(수) 오후 2시
4. 불광아카데미
<법화경>, <선가귀감>, <명품으로 보는 한국 불교문화>, <불화반>, <스마트 생활명상>, <예술치유명상>
왕생극락을 기원합니다
·3/7(목) 김영숙 보살의 언니
·3/8(금) 민태규 거사의 아버지께서 세상 인연이 다하여 이 땅을 하직하셨습니다.
꽃비
<꽃비>[불기2568(2024)년 3월 8일 ~ 3월 14일]
1080일기도동참자 김기돈 김도연 김지혜 김창숙 박성억 박성준 박지현 서영진 신승재 양승호
오정현 이명숙 이인서 최미옥 황선제
대중떡공양헌공금 140,000 홍종덕 | 120,000 최정애
법요집법보시 100,000 허영두 | 50,000 박윤선 이청현
승보공양헌공금 500,000 서민경 | 300,000 보현1신행회일동 불교대학제19기일동 | 200,000 박종분 이명숙 | 100,000 권용락 김성미 김희동 박종선 박창희 불광안내팀 새신도안내팀 이청현 전영애 정승화 정재준 정창화 허영두 화엄회 | 50,000 김복등 박상하 윤양규 이쌍남 이유자 이지원 장지영 장지현 한순복
감사헌공금 100,000 포개농산
현물보시 생수(초하루법회) 우리친환경
청년법회후원금 400,000 이명숙
불사 봉납 24년 총액 24,764,000 (3/8 ~ 3/14 합계 40,000)
[만불봉안] 40,000 서경숙
불광장학회 24년 총액 895,000 (3/8 ~ 3/14 합계 10,000)
10,000 박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