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2569(2025). 7. 19.(토) 토요법회 및 우란분절(백중) 입재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25.07.19 조회27회 댓글0건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자현스님(중앙승가대 교수)우란분절에 밝혀진 백등白燈의 의미
우란분절은 목련존자의 효행에서 비롯된 불교 명절이다. 이것이 동아시아 전통의 조상숭배문화와 결합되면서, 돌아가신 분들에 대한 추모와 보은을 되새기는 범국가적인 행사로 확대된다. 유교의 제사가 남성에 국한된 직계중심인데 반해, 우란분절은 혈연을 넘어서 고마운 모든 분들을 함께 기리는 은혜로운 날이다. 이런 점에서 우란분절은 유교의 제사에 비해서 훨씬 외연이 넓다. 이는 우란분절에 모계는 물론이거니와 수자령이나 친척, 친구 등 모든 영혼들의 천도를 기원하는 것을 통해서 분명해진다.
우란분절 기도 기간에 대형사찰에서는 연꽃 축제가 함께 진행되기도 한다. 또 요즘에는 우란분절 때 사찰을 백등으로 장엄하기 때문에, 하늘에는 흰색 연등이 달리고 땅에는 다양한 빛의 연꽃이 피어 있는 경우도 목도된다.
연등燃燈을 밝히는 것은 원래 정월 대보름에 모든 삿된 기운을 쫓고 밝은 기운을 북돋기 위함이었다. 이것이 무신정권의 집권자인 최우(최이)에 의해 부처님오신날로 옮겨진다. 이 때문에 연등하면 연꽃등을 연상하기 쉽지만 ‘연등燃燈(밝은등)≠연등蓮燈(연꽃등)’은 엄연히 다르다. 이 연등이 연꽃의 이미지와 결합되면서 연꽃등 형태로 발전하는 것뿐이다. 실제로 팔각등이나 주름등을 보면, 연등이 곧 연꽃등만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연등을 밝힘에, 언제부턴가 돌아가신 분들을 위한 영가등은 흰색의 백등이라는 인식이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백등은 밝은 빛에 의한 길상의 의미지, 이것이 반드시 망자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우리의 전통문화에서 상례는 모두 흰색을 쓴다. 흰색의 상여나 상복 등을 생각해보면 이해가 쉽겠다. 상례에 빛을 상징하는 흰색을 사용하는 것은 죽음이라는 어두운 세계(명계)로 간 분들에게 보다 밝은 기운을 전달해서 좋은 곳으로 가기를 기원하기 때문이다. 즉 흰색은 죽음을 상징하는 것이 아니라 죽음을 극복하는 색인 것이다.
불교적으로 흰색은 관세음보살을 상징한다. 관세음보살의 대표적인 모습에 흰옷(사라)을 입은 백의관음이 있는 것을 떠올려보면 되겠다. 또 관세음보살이 사는 곳은 남인도에 위치한 보타락가산이다. 보타락가산이란, 소백화산小白花山 즉 흰색의 꽃으로 장엄된 광명의 산을 의미한다. 이 때문에 의상대사가 관세음보살 도량에 태어나기를 발원하는 글이 바로 「백화도량발원문白花道場發願文」인 것이다.
또 중국불교에서는 아미타불의 극락세계를 흰 연꽃이 가득한 세계로 이해하곤 했다. 중국 정토종의 시조인 혜원은 402년 여산의 동림사에서 유유민·종병 등 123명과 함께 극락왕생을 위한 결사를 맺는다. 이것을 백련결사白蓮結社, 즉 흰 연꽃의 결사라 한다. 이로 인해 고려 후기 원묘국사 요세의 극락왕생 결사 역시 백련결사라는 명칭을 차용하게 된다.
극락이 흰 연꽃의 세계는 아니다. 그러나 중국불교에서는 그렇게 이해했고, 또 동아시아 대승불교에서 가장 인기 있는 관세음보살 역시 백색의 이미지를 대표한다. 이런 점에서 빛이 필요한 망자에게 백등은 가장 맞춤한 것이 된다. 즉 ‘백등≠영가등’은 아니지만, 돌아가신 분을 위해 가장 필요한 등이 백등인 것은 맞다는 말이다. 이런 점에서 우란분절을 맞아 백등을 맑히는 것은 추모의 정과 극락왕생을 기원하는 가장 온당한 방법이 아닌가 한다.
금주의 다짐
생명은 밝은 데서 성장한다. 인간은 밝은 사상에서 발전이 있다. 우리의 본면목이 원래로 밝은 생명이기에. 어둠을 찢고 솟아오르는 찬란한 아침 해를 보라. 거침없는 시원스러움이, 넘쳐나는 활기가, 모두를 밝히고, 키우고, 따뜻이 감싸주는 너그러움이 거기 있다. 이 한 해를 결코 성내지 않고, 우울하지 않고, 머뭇대지 않고, 밝게 웃으며, 희망을 향하여 억척스럽게 내어닫는 슬기로운 삶으로 만들자. 빛을 향하는 곳에 행운이 있다. 성공이 온다.법회 소식
▣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금강경 독송: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 / 729일차, 금강경 <상>편 독송
·법문 후 『백중 특강 수강권』 증정 추첨을 합니다.
▣ 음력(윤달)6월 초하루법회
·일시: 7월 25일(금) 오전 10시 30분, 대웅전
·법문: 교무 휴담스님
·동참금: 3만원
▣ 우란분절(백중) 49일기도
·입재: 7월 19일(토) ~ 회향: 9월 6일(토)
·동참금: 5만원(영가 4위 기준/영가 추가 시 1위 1만원)
▣ 학업성취 100일기도
·입재: 8월 5일(화) ~ 회향: 11월 12일(수)
·수능발원일 특별기도: 11월 13일(목)
·동참금: 10만원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 불광사 일주문 단청불사 모연
·불광사 일주문(남쪽/동쪽)을 아름다운 빛깔로 장엄하는 단청불사를 모연하오니 많은 동참 바랍니다.
·동참금: 1구좌 당 30만원 (소액 동참 가능)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 연꽃어린이법회 명상코칭 프로그램 <연꽃 마음자람 놀이터>
·일시: 7월 19일(토) ~ 9월 6일(토)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 30분(8주 프로그램)
·장소: 대법전(불광교육원 5층)
·강사: 한국명상코칭상담연구소 소장 은산스님(meditationcoach.co.kr)
·접수 및 문의: 종무소/접수처 02-413-6060
※연꽃어린이법회 봉사자를 모집하오니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불광교육원 백중 특강 안내
[초기불교속 효 이야기] 7/15(화) 14:00, 19:00 | 이미령 교수
[명심보감 특강] 7/18(토) 14:00 | 김병조 교수(전 코미디언)
※접수 및 문의: 불광교육원 02-417-2551 / 접수처 02-413-6060
▣ 봉사자 모집 안내
[떡공양실] 사중에 떡 만드는 시설을 설비하였으며, 봉사자를 모집합니다.
[불광연희단] 무용, 연등행렬 연희단
[연화부] 시다림 염불 봉사(영가천도)
[풍물패] 사물놀이 공연
[후원봉사팀] 후원(공양간) 봉사
·기존 봉사팀에서도 봉사자를 모집하고 있사오니 많은 관심과 동참 부탁드립니다.
·접수 및 문의: 종무소 02-413-6060 (종무소에 신청서가 비치되어 있습니다.)
▣ 계층법회 안내
·연꽃어린이법회: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 30분, 대법전(교육원 5층)
·금강청년법회: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보리당(본당 4층)
▣ <불광사, 불광교육원 카카오톡 채널> 친구 추가
①카카오톡에서 불광사, 불광교육원을 검색하거나 ②아래 QR코드를 스캔
▣ <불광사 유튜브 채널> 구독! 좋아요! 알림설정!
·www.youtube.com/@bulkwangsa1974
·QR코드를 스캔하시면 불광사 홈페이지 및 SNS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QR코드 링크: linktr.ee/bulkwangsa
▣ 왕생극락을 기원합니다
·7/13 권오철 거사님의 모친 고계권 영가
꽃비
<꽃비>불기2569(2025)년 7월 11일(금) ~ 7월 17일(목)
[1080일기도] 216,000 권인석 성민용 | 108,000 박길자 | 100,000 윤진미 | 54,000 권철호 박경철
[떡공양 헌공금] 200,000 정진영 | 45,000 김태오
[백중 설판(헌공금)] 1,000,000 박순지 | 100,000 국을경 박현수 김동학
[선방대중공양 헌공금] 100,000 신자선
[감사헌공금] 100,000 박유자 | 3,000 남만식
[현물보시] 떡공양실기계(1,600,000) 허경은(청현심) | 영가시식잔 보문부 대혜행 묘행화 정운
불사 봉납 2025년 총액 138,370,000 (7/11 ~ 7/17 합계 910,000)
[단청불사] 300,000 김대옥 | 50,000 노병민 노병진
[원불봉안] 280,000 김경록 | 180,000 임진섭 | 50,000 김세현
불광장학회 2025년 총액 1,09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