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2569(2025). 6. 28.(토) 토요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25.06.28 조회174회 댓글0건본문
이주의 법문
법사 : 동민스님(불광사 총무)내려놓음 진정한 자유와 평화를 위한 길
왜 내려놓아야 하는가? 고통의 뿌리, 집착.
고통의 근원: 우리가 무언가를 '쥐고' 놓지 않으려 할 때 고통이 시작됩니다. 이 '집착'(執着)이 모든 괴로움의 뿌리입니다.
세상의 진리: 세상 모든 것은 '무상'(無常)합니다. 변하지 않는 것은 아무것도 없으며, 영원히 소유할 수 있는 것도 없습니다.
나의 실체 '나'(我)라고 하는 고정된 실체는 없으며, '무아'(無我)입니다. '나'에 대한 집착(아집)이 번뇌를 일으킵니다. 집착은 우리를 묶는 족쇄이며, 내려놓음은 이 족쇄를 끊고 자유를 얻는 길입니다.
무엇을 내려놓아야 하는가? 삶의 무거운 짐들.
우리를 묶어두는 마음의 짐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과거의 상처와 후회 이미 지나간 일에 대한 미련과 고통스러운 기억. 미래에 대한 불안과 기대 아직 오지 않은 것에 대한 통제할 수 없는 걱정과 과도한 기대. 타인에 대한 판단과 기대 다른 사람들을 내 잣대로 평가하고 통제하려는 마음. 완벽주의와 통제 욕구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하려 하고 상황을 통제하려는 압박감. 결과에 대한 집착 노력의 과정보다 오직 성공, 인정 등 특정 결과만을 쫓는 마음. 자기 의견, 명예, 분노, 질투 등 마음을 무겁게 하는 모든 번뇌와 관념.
어떻게 내려놓을 것인가? 수행의 길.
내려놓음은 의식적인 선택이자 꾸준한 실천의 과정입니다: 마음챙김(Mindfulness). 지금 이 순간, 내 몸과 마음에 일어나는 생각과 감정을 '알아차리고' '관찰'합니다. 판단하거나 저항하지 않고, 그저 흐르게 두며 자신과 생각/감정 사이에 '거리'를 둡니다.
관찰과 통찰: 집착하는 대상의 무상함을 깊이 관찰하고, 그 집착이 나에게 가져다주는 고통을 통찰합니다. 자비심(慈悲心) 확장. '내가 이 고통에서 벗어나 평화로워지기를' 하고 자신에게 자비로운 마음을 보냅니다. 이 자비심을 타인에게도 확장하여 모든 존재의 고통 소멸을 바랍니다.
수용(受容)의 태도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삶의 모든 상황들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입니다. 이는 체념이 아닌, 현실을 직시하는 적극적인 태도입니다.
감사하는 마음 이미 가진 것에 집중하고 감사할 때, 부족함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 마음이 풍요로워집니다. 내려놓음은 포기가 아닌, 더 풍요롭고 의미 있는 삶을 위한 지혜로운 선택입니다. 무거운 짐을 내려놓고 가볍게, 자유롭게 걸어갈 때 우리는 진정한 평화와 행복을 얻을 수 있습니다.
지금 이 순간, 부디 마음을 조금 놓아보십시오.
편안히 앉아 숨을 느껴봅니다.
들이쉬는 숨, 내쉬는 숨, 그저 이 숨결에 기대어 봅니다.
숨을 따라 내 안에 쌓인 긴장, 내 안에 웅크린 아픔,
천천히 풀려 나가도록 허락해 줍니다.
내 마음을 가만히 들여다봅니다.
혹시 지금 이 순간도 놓지 못한 미움은 없습니까?
놓지 못한 서운함, 내려놓지 못한 집착은 없습니까?
우리는 알게 모르게 많은 마음의 짐을 짊어지고 살아갑니다.
그 마음을 억지로 버리려고 애쓰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다만 이렇게 스스로에게 말해봅니다.
“이제 그만 놓아도 됩니다. 나를 괴롭히던 미움과 서운함을 놓습니다.
그 사람도 나처럼 괴로웠겠지요. 그 일도 이제 다 지나갔습니다.
나는 오늘 이 자리에서 내려놓습니다.”
내쉬는 숨마다, 그 마음의 짐이 조금씩 풀려나갑니다.
가슴 한켠이 조금은 가벼워지는 것을 느껴봅니다.
지금 이 순간, 나는 나 자신에게 자비를 베풉니다.
내가 나를 용서하고, 내가 나를 자유롭게 합니다.
오늘 이 순간의 고요함이 내 삶의 등불이 되기를,
그렇게 우리는 마음을 내려놓으며 조금 더 자유로운 사람이 됩니다.
마하반야바라밀
금주의 다짐
아무리 어두운 구름이 덮여 오더라도 태양은 거침없이 찬란한 빛을 부어댄다. 아무리 고난과 불안이 밀어닥쳐도 우리의 희망, 우리의 전진을 가로막지는 못한다. 구름을 벽으로 아는 자에게 길이 막힌다. 구름을 두려워 떠는 자에게 불행이 온다. 고난과 불행은 움직이는 필름의 영상과 같이 나타났을 때 사라진다. 그것은 그림자다.법회 소식
▣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금강경 독송: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 / 708일차, 금강경 <하>편 독송
·보현행자의 서원: 제9 수학분 / 『불광법요집』 큰책 121쪽, 작은책 191쪽
▣ 소설가 박상륭 선생 원적 8주기 추모문화재
·일시: 7월 1일(화) 오후 2시, 보광당
·박상륭 원작 영화 <유리> 배우 박신양, 이은정, 문영동과의 만남
▣ 7월 호법법회
·일시: 7월 2일(수) 오전 10시 30분, 대웅전
·법문: 주지 동명스님
※호법법회와 초하루법회를 대웅전에서 봉행합니다.
▣ 7월 첫째 주 토요포살법회
·일시: 7월 5일(토) 오전 10시 30분, 보광당
·법문: 주지 동명스님
※법회를 마친 후 새법우환영법회와 거리전법을 진행합니다.
▣ 우란분절(백중) 49일기도
·입재: 7월 19일(토) ~ 회향: 9월 6일(토)
·동참금: 5만원(영가 4위)
※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 불광사 일주문 단청불사 모연
·불광사 일주문(남쪽/동쪽)을 아름다운 빛깔로 장엄하는 단청불사를 모연하오니 많은 동참 바랍니다.
·동참금: 1구좌 당 30만원 (소액 동참 가능)
·접수 및 문의: 접수처 02-413-6060
▣ 불광교육원 백중 특강 안내
[초기불교속 효 이야기] 7/15(화) 14:00, 19:00 | 이미령 교수
[명심보감 특강] 7/18(토) 14:00 | 김병조 교수(전 코미디언)
·불광교육원에서 백중을 맞이하여 효의 의미와 삶의 자세를 돌이켜보는 특강을 준비하였습니다. 불광 법우형제님들의 많은 동참 부탁드립니다.
·접수 및 문의: 불광교육원 02-417-2551 / 접수처 02-413-6060
▣ 봉사자 모집 안내
[후원봉사팀] 후원(공양간) 봉사
[연화부] 시다림 염불 봉사(영가천도)
[불광연희단] 무용, 연등행렬 연희단
[풍물패] 사물놀이 공연
[떡공양봉사] 사중에 떡 만드는 시설을 설비할 예정이며, 봉사자를 모집합니다
·접수 및 문의: 종무소 02-413-6060
▣ 계층법회 안내
·연꽃어린이법회: 매주 토요일 오전 10시 30분, 대법전(교육원 5층)
·금강청년법회: 매주 일요일 오전 10시 30분, 보리당(본당 4층)
▣ 계층법회 후원 안내
·연꽃어린이법회, 금강청년법회에서 후원을 받습니다. 후원금은 불교의 미래를 밝히는 계층법회 활성화를 위한 지원금으로 사용됩니다.
·접수 및 문의 : 접수처 02-413-6060
▣ <불광사, 불광교육원 카카오톡 채널> 친구 추가
①카카오톡에서 불광사, 불광교육원을 검색하거나 ②아래 QR코드를 스캔
▣ <불광사 유튜브 채널> 구독! 좋아요! 알림설정!
·www.youtube.com/@bulkwangsa1974 (유튜브에서‘불광사’검색)
·QR코드를 스캔하시면 불광사 홈페이지 및 SNS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 QR코드 링크: linktr.ee/bulkwangsa
▣ 왕생극락을 기원합니다
·6/22 박응도 거사님의 부친 박동규 영가
·6/22 김재명 거사님의 모친 홍온전 영가
꽃비
<꽃비>불기2569(2025)년 6월 20일(금) ~ 6월 26일(목)
[1080일기도] 108,000 최정우 | 30,000 김문회
[떡공양헌공금] 120,000 박승혁 | 60,000 정하윤 | 45,000 장세영
[백중설판] 100,000 김미순
[떡공양실 헌공금] 3,000,000 이윤희(대법성) | 500,000 김난희(본정안)
[선방대중공양 헌공금] 2,000,000 이윤희(대법성) | 300,000 정진엽[영] | 100,000 박두자 박희자 장경희
[감사헌공금] 100,000 전영애 | 50,000 김복례 이만호 | 30,000 성창훈 | 9,000 남만식 | 6,000 최수옥
불사 봉납 2025년 총액 129,410,000 (6/20 ~ 6/26 합계 4,198,000)
[중창불사] 50,000 최인혜
[단청불사] 300,000 보현2구
[원불봉안] 1,080,000 노월수[영] 홍혜선 | 980,000 차복화 | 200,000 김경록 | 108,000 김정하 | 50,000 김세현 문복란 조대원 조선우 조선재 | 30,000 천희영 | 20,000 이현석 정복례 최봉준 최서원 최우재 최정우
불광장학회 2025년 총액 1,085,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