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도는 불자의 특권이다. > 불광소식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기도는 불자의 특권이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06.01.22 조회1,609회 댓글0건

본문

기도는 불자의 특권이다


 기도(祇禱)의 사전적 의미는 “바라는바가 이루어지기를 신불(神佛)에게 비는 행위 또는 그 의식”이다. 그러나 불가에서의 기도란 신(信), 원(願), 행(行)이 완전히 갖추어져야 참다운 기도라고 말할 수 있다. 여기서 신(信)이란 신심(信心)을 말하며 기도를 하면 부처님의 위신력(威信力)으로 반듯이 이루어진다는 확고한 믿음, 그리고 기도란 진리의 힘을 움직이는 것이므로 당연히 이루어진다는 바른 믿음을 가리킨다.

 

 부처님 가르침의 큰바다(佛法大海)는 믿음(信) 하나면 충분히 들어갈 수 있다. 그래서 화엄경에 나오는 보살의 52지위 서열도 믿음(十信)으로부터 시작되는데, 믿음 앞에 그 어떤 성현(보살)의 지위도 없음을 말한다. 그래서 마명(馬鳴)보살은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을 저술하셨고 선종의 삼조(三祖) 승찬(僧瓚)조사는 “신심명(信心銘)”을 저술하셨다.! 믿는 마음 하나가 진리(道)에 들어가는 핵심 법문이기 때문이다.


 원(願)이란 발원(發願)으로서 이루고자 하는 소망을 말하며 그 소망이 올바르고 간절하여야 한다. 여기서 참된 소망이란 진리를 바탕으로 하고 진리에 기초한 소망을 말한다. 진리를 바탕으로 한 소망은 자기 자신이 물질적으로 경제적으로 환경적으로 윤택하고 너그러워지고 평화로워질 뿐만 아니라 남들도 동시에 이로워지는 소망을 말한다.

 이기적인 것, 자기는 잘되고 남이 안 되길 바라거나 자기만 편안하길 바라거나, 아니면 남과 대립관계를 전제로 한 것은 전부 올바른 소망이 아니다. 반대로 자기가 성장하고 이웃이 바르게 되고 세상에 도움을 주는 이 모든 것은 참된 소망이다. 그리고 발원은 크고 간절해야 하며 지극한 열성이 있어야 한다.


행(行)이란 수행(修行)을 의미한다. 불교에서는 행이 없는 즉 수행이 없는 기도는 성립될 수 없다. 이러한 점에서 불교의 기도는 타종교의 기도와 확연히 차이가 난다. 불교의 수행은 크게 계율, 선정, 지혜로 나누어지지만 세부적으로는 다양한 수행법이 있다. 즉, 위빠사나, 참선, 간경, 독경, 염불(염송)정근, 사경, 진언주력, 절 등이 있다.

 이러한 수행법 중 자기에게 맞는 수행법을 택할 수 있겠으나 불광법회에서는 금강경 독경과 마하반야바라밀 염송을 주된 수행법으로 정하고 있다.


 확고하고 진실한 믿음, 간절한 발원 그리고 바른 수행정진을 했을 때 비로소 부처님의 가피를 입을 수 있으며 원하는 바가 성취될 수 있다. 부처님의 가피는 현훈가피(顯熏加被) 또는 (冥熏加被)로 나타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부처님의 가피력은 명훈가피(冥熏加被)이다. 즉, 종종 우리들이 열심히 기도하여 즉시성취 금시발복하는 현훈가피를 경험하기도 하지만 대개는 우리들 스스로가 잘 알아차리지 못하는 사이에 부처님의 가호는 진행되고 진실한 자기 성장의 길로 나아가게 되는 명훈가피를 받는다.

 

 만약 우리가 열심히 기도를 했는데도 불구하고 원하는 바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 다음의 몇 가지 요인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는 믿음의 부족이다. 실로 부처님의 은혜를 절대적으로 믿어야 하는데 부처님의 위신력(威信力)이 나에게 충만해서 나를 끊임없이 키워주신다는 이 믿음이 약해지면 어두운 생각이 생기게 되고 기도가 성취되지 않게 된다.

 둘째 기도도중에 대립감정이나 슬픈 감정이 있는 경우 이다. 자신의 마음속에 증오나 원망 같은 감정이 남아 있다면 어떤 방법으로든 비워야 하며 그것을 마음속에 놓아두고 기도해서는 기도를 성취할 수 없다. 그리고 자기 열등의식이나 부정적 생각이다. 이것은 우리의 마음을 어둡게 하고 결박 지우므로 기도가 성취되기 힘들다. 따라서 긍정적인 생각과 밝은 마음으로 부처님의 위신력을 확고히 믿고 간절한 원을 세우! 고 열심히 정진하면 우리의 기도는 반듯이 성취될 것이다.

 

불광법회 조원호 회장님께서 1월 22일 일요법회에서 법문하시는 내용입니다.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