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상을 대신하여 사리를 모신 탑, 금강보좌, 보리수, 불족적 등이 석가 의 모습 대신 표현되어 오다가 석가의 입멸 후 500여 년이 지난 기원 전후 무 렵에 들어서 비로소 불상이 만들어지게 되는데 이는 물론 예배상으로서 불상을 만들고자 하는 요구가 커졌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불상을 만들어도 석가에 대한 신성모독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게 됨으로써 불상의 조성이 가능해질 수 있었으며 동시에 앞서 말했던 불교 근본주의의 입장이 희미해져가는데 그 원인이 있었다.
불교의 교세가 커지면서 많은 불교도들은 신앙의 실체로서 가시적인 대상을 요구하게 되었다. 인도 불교도들은 석가가 열반에 든 후 얼마 동안은 석가의 모습과 가르침을 기억하고 석가의 인격적인 교화를 사모했다. 또 직접 석가를 만나지 못했던 사람이라 하더라도 그의 소식을 생생하게 전해들었고 사리를 모신 탑, 금강보좌, 보리수, 불족적 보륜 등을 예배하는 것으로도 충분했다. 그러나 부처가 입멸한 지 500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이때에 이르러서는 이 세상에 오셨던 위대한 인류의 스승으로서의 부처의 모습은 희미해져가고 초인 간적, 초자연적 존재로 인식되기 시작했다. 여기에 불상을 만들려는 욕구가 따 르게 되었다.
- 약 5세기에 걸친 무불상시대가 지나고 불상이 비로소 만들어지기 시작한 시기는 인도 쿠샨왕조의 가니슈카왕 때인 서기 2세기경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이 무렵 두 곳에서 거의 동시에 불상을 제작하였다. 즉 최초의 불상이 만들어진 곳은 인도의 서북부 간다라(Gandlh ra) 지방과 북부 마투라(Mathrur )지방이다.
- 마투라는 오래 전부터 종교도시로 알려져 있었으며 델리의 남쪽 갠 지즈 강의 지류인 자무나 강 중간 서안(西岸)에 위치하여 인도 서북부 및 서해 안을 연결하는 대륙간 교통의 요지로서 중개무역의 거점이었다. 마투라의 불교 조상은 인도 고유의 조형성과 소박한 고대 인도 미술의 전통을 계승했다.
- 간다라는 오늘날의 파키스탄과 아프가니스탄 사이의 변경 지역으로서 중앙아시아를 가로지는 실크로드로 나뉘어 인도 내륙을 통과하는 동서교통의 간선로에 인접 하여 예로부터 이민족의 침입을 받았고 동시에 동서문화의 교류가 이루어졌던 중요한 지역이다.
또한 마투라와 간다라 두 지역은 쿠샨 제국의 정치와 경제의 중심지였다.
불상을 만들게 된 동기는 무엇이었을까? 하나는 외적인 자극이고 또 하나는 내적인 요구가 있었던 까닭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