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과 Marketing Myopia(마케팅 근시안) > 불광소식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묘행무주분(妙行無住分)과 Marketing Myopia(마케팅 근시안)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06.04.03 조회2,541회 댓글0건

본문

수보리여! 보살은 법에 대해 마땅히 머무는 바 없이 보시를 행한다. 이른바 형체에 머물지 않고 보시를 행하며, 소리, 향기, 맛, 감촉, 법에 머물지 않고 보시를 행한다. 수보리여! 보살은 마땅히 이렇게 보시하며 상에 머물지 않는다. 왜 그런가? 만약 보살이 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하면 그 복덕은 헤아릴 수 없기 때문이다

 

 금강경 묘행수주분에서 설해 지고 있는 부처님 말씀입니다. 여기에서 핵심은 마땅히 머무는 바 없이 보시를 행한다는 말입니다.

 

 세계 각국의 경영자들이 가장 애독하고 있는 잡지가 하버드 경영대학원에서 계간으로 간행하는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Harvard Business Review)라는 잡지입니다. 여기에 실린 논문 들은 모두 주옥 같은 논문들이지만 그 가운데 세계의 경영자들에게 가장 감명 깊게 읽히는 논문이 Marketing Myopia(마케팅 근시안)라는 논문입니다. 하버드 경영 대학원 교수인 시도어 레빗(Theodore Levitt)이 1960년대에 발표한 아주 고전적인 논문으로 세계 각국의 유명 경영대학원의 MBA과정, 박사 과정 그리고 최고 경영자 과정에서 필독하는 논문입니다. 그만큼 이 논문이 주는 통찰력이 가치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 논문에서 주장하는 바는 부처님이 금강경에서 말씀하신 바와 정확하게 일치합니다. 2500년전에 설하신 부처님의 말씀이 현대 경영의 기본 원칙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것에 그저 탄복할 따름입니다.

 

이 논문은 마케팅 근시안을 기업 실패의 치명적인 원인으로 들고 있습니다. 마케팅 근시안은 제품(형체)에 집착하여 고객의 요구를 제대로 보살피지 못하는(보시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상태에 머무르는 것을 말합니다. 마치 근시안이 사람이 멀리 보지 못하는 실수를 저지르는 것처럼 기업도 같은 실수를 저지르는 기업을 빗대어 하는 말입니다.

 

이 논문에서 대표적인 예를 들고 있는 산업이 미국의 철도 산업입니다. 한때 최고 황금주로 각광 받던 미국의 철도 산업이 실패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이동하는 사람이 줄고, 화물 수송 요구가 감소했기 때문일까요? 그렇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 반대입니다. 인구도 늘었고, 경제 발전에 따라 수송 화물의 수도 폭발적으로 증가했습니다.

 

철도 산업이 실패한 이유는 경영자들이 상에 머물러서 보시를 하는 근시안에 빠졌기 때문입니다. 철도라는 제품 편협주의에 빠져서 철도 산업이 존재하는 근본적인 이유를 망각했기 때문입니다.

 

철도 산업이 존재하는 근본적인 이유는 고객들과 화물을 운송하는 보시를 베푸는 것입니다. 철도 산업을 운송하는 보시를 베푸는 업이라 생각하지 않고, 철도라는 제품(상)에 머물러 있었기 때문에 다른 운송 수단들이 고객을 빼앗아 가도 눈을 뻔히 뜨고도 당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상에 머물지 않고 보시를 하면 그 복덕은 헤아릴 수 없다고 부처님께서는 말씀하고 계십니다.  창조적 파괴 물론 말은 쉽고 행동은 어렵습니다. 경영자 여러분! 우선 고객에게 어떤 도움을 어떤 혜택을 줄 것인가? 에서 출발해야 합니다. 거의 모든 사람들이 일주일에 한 두번 주유소에 들립니다. 주유소에 들리는 이유는 휘발유를 사기 위함입니까? 아니면 자동차를 움직이는데 필요한 에너지를 사기 위함입니까? 휘발유를 사기 위해서 주유소에 들린다고 생각한다면 상에 머무르는 것이요, 에너지를 사기 위해서 주유소에 들린다고 생각한다면 상에 머무르지 않는 것입니다.

 

상에 머물지 않는 경영자는 창조적 파괴를 할 수 있는 힘을 얻고 큰 돈을 법니다.

나무마하반야바라밀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