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광 창립32주년 기념강연 > 불광소식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불광 창립32주년 기념강연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06.09.11 조회4,550회 댓글0건

본문

 

과학, 생명 그리고 불교



 어느 시대보다 과학과 생명이 우리 삶의 구석 구석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세상을 바라보던 시각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불광사에서는 창립 32주년을 맞이하여 과학·생명 분야의 전문가를 초청, 불교와 비교·분석하는 소중한 시간을 마련하였습니다.


  

 · 10월 18일부터 수·금요일 오후 7시 ~ 9시

 · 수강료 무료(선착순 모집)

 · 접수 및 문의 : 불광교육원(417-2551)

 

 

 과학과 생명의 주요 관심이 무엇인가를 살펴보고, 이를 불교적으로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를 주요 주제로 하였습니다.


 

날짜

요일

주제

강사

1

10월 18일

물리학의 시공간과 불교

김성구(이화여대 물리학)

2

10월 20일

물질 개념과 공(空 )

조원호(서울대 재료공학)

3

10월 25일

생명조작과 불교

우희종(서울대 수의과대)

4

10월 27일

불교의 생명의료윤리

김종욱(동국대 불교학)

5

11월 1일

불교 수행의 현대 의학적 접근

장현갑(영남대 심리학과)

6

11월 3일

윤회와 무아의 현대적 이해

한자경(이화여대 철학)


 첫 번째와 두 번째 주제는 물리학의 개념과 불교를 비교합니다. 세계의 구성과 운동이 현대 물리학은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가, 그리고 불교는 이를 어떻게 해석하는가가 주요 내용이 될 것입니다. 두 번째, 세 번째 주제는 2005년 논란이 되었던 생명에 관한 문제입니다. 21세기는 생명과학의 시대라고 흔히 말해집니다. 이 부분에 대한 접근을 모색했습니다.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주제는 정신과학에 관한 주제입니다. 수행이 마음을 변화시키는 과정이라할 때, 우리 의식의 주요한 부분은 뇌과학과 뗄레야 뗄 수 없습니다. 그리고 윤회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를 관심사항으로 하였습니다.


 많이들 참가하시여 현과학의 진수와 불교의 정수를 만나보시기 바랍니다.


 



물리학의 시공간과 불교

   10월 18일(수) / 김성구(이화여대 물리학)

 서울대 물리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이론물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이화여대 명예교수로서 경남 함양에 약천사를 건립하여 수행·공부하고 있다. 최근「현대물리학으로 풀어본 반야심경」을 불광출판사에서 발간하였다.


② 물질개념과 공(空)

   10월 20일(금) / 조원호(서울대 재료공학)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섬유공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Polytechnic Institute of New York 대학원에서 고분자공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서울대 재료공학부 석좌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종신회원이다. 현재 불광법회 회장으로 재임하고 있다.


③ 생명조작과 불교

 10월 25일(수) /  우희종(서울대 수의과대)

 서울대 수의과대를 졸업하고 일본 동경대 대학원 생명약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미국 하바드 메디컬스쿨 강사, 보스톤 대학교 의과대 조교수를 거쳐 서울대 수의과대 교수로 재직중이다. 「생명과학과 선」이라는 책을 발간하였다.


④ 불교의 생명의료윤리

  10월 27일(금) / 김종욱(동국대 불교학과)

 동국대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대학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조계종 불교생명윤리연구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용수와 칸트> <하이데거와 형이상학 그리고 불교> <불교생태철학>등이 있다


⑤ 불교 수행의 현대의학적 접근

   11월 1일(수) / 장현갑(영남대 심리학과)

 서울대학교 심리학과와 동 대학원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영남대 심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한국 심리학회 공인 건강심리전문가이며,  2005년 마음챙김 명상을 기반으로 하는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인 MBSR-K를 국내 최초로 개발하였다.


⑥ 윤회와 무아의 현대적 이해

   11월 3일(금) / 한자경(이화여대 철학과)

이화여대 철학과를 거쳐 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학과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중이며, 저서로 <자아의 탐색> <유식무경><불교의 무아론> 등이 있다.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