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연 3, 생명조작과 불교 > 불광소식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강연 3, 생명조작과 불교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06.10.27 조회5,007회 댓글0건

본문

 

창립기념 강연 세 번째, 우희종(서울대)교수의 ‘생명조작과 불교’ 가 진행되었습니다. 교수님은  ‘생명조작 현황과 연기적 관점’이라는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였습니다. 제목 그대로 생명 조작이 현재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이러한 현상에 대하여 불교자로서 어떠한 자세를 가져야 하는지를 고민해야하는 강의였습니다.

 

 

 강의는 크게 세가지 주제로 진행되었습니다. 「① 줄기세포 조작에 따른 배아세포 및 치료용 장기개발 ② 형질전환 동식물을 통한 유전자 조작작물(GMO) 개발 ③ 형질전환 동물 이용 이종장기 개발」모두 범상치 않은 주제들입니다.


 첫 번째, 줄기세포 조작에 따른 배아세포 및 치료용 장기 개발문제는 작년에 황우석 사태를 통하여 여론에 많이 알려진 내용들입니다. 강의에서는 줄기세포가 무엇이고, 이를 통한 복제가 어떤 것인지, 또한 현재 과학의 수준은 어떠한지에 대한 강의가 있었습니다.

 

 

 교수님이 특히 강조한 것은 줄기세포 연구가 우리에게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라는 질문이었습니다. 줄기세포 조작을 통한 복제가 앞으로 멸종동물을 되살릴수 있다던가, 질병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겠지만, 현재에도 사라져가는 많은 동식물이 있는데 이것을 우선 방지하는 것이 급선무가 아닌가.

또한 이를 통한 질병치료는 누가에게 가능한가. 지금도 아프리카에 기아로 죽어가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를 방치하면서 하는 연구는 돈많은 사람들의 전유물이 될 수 밖에 없다는 것, 그리고 가장 우려할 문제는 우생학적 관점에서 인간개체를 대할 때 과연 어떠한 일들이 사회에서 일어나겠는가라는 문제... 등등.

 

 과학의 발전이 사회적 합의를 통하고 공론화되어야 하는데 한국의 현실은 과학맹신주의, 과학이 거의 종교적 수준의 믿음을 형성하고 있다라는 지적도 함께 해주셨네요. 이러한 지적은 강의 전체에 걸쳐 이루어졌습니다.


 두 번째, GMO는 현재 우리가 일상적으로 대할 수 있는 내용입니다. 슈퍼마켓 식품 진열대에도 있는 것들이죠.  동식물의 유전자 조작을 통하여 맞춤생산, 식량 증산등의 효과를 낼 수 있지만 유전자 조작이라는 특성상 안정성에 대한 검증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리고 이러한 것들이 생태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고민해보아야 한다는 강의 였습니다.

 

 세 번째, 이종장기 개발에 대한 강의였습니다. 인간의 장기를 돼지, 원숭이 개체에서 키워 이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이식하는 것이 대표적입니다. 동종 개체간에 이루어지는 동종이식과, 종과 종을 넘어선 이종이식이 있습니다.

 이 날 강의에서 교수님이 장기이식에 있어 지적한 가장 큰 문제는 면역체계의 파괴와 관련된 것이었습니다. 사람과 사람사이에도 장기 이식은 개체의 고유한 면역체계가 있기 때문에 쉽지 않은 문제이다. 그런데 돼지 개체에서 키운 장기를 사람 몸에 이식한다고 했을 때, 그 면역체계가 어떻게 될 것인가에 대한 끔찍한 이야기를 했습니다.

 

 예를 들어서 설명한 것이 AIDS, 광유병, 샤스였습니다. 사람에게 전염되지 않고 특정 동물들에게만 해당되는 질병인자가 사람에게 전염되었을 때의 그 폭발성, 그것은 인류에게 심각한 재앙을 초래할 것이다. 대표적인 것이 AIDS, 광우병이다. AIDS는 원숭이 개체에 있던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이전됨으로 나타난 것인데, 현재 거의 4,000만명이 걸려있고 치료약도 개발되지 않았다.

 

 광우병이라는 것도 채식동물인 소에게 양의 고기를 먹여 일어난 것인데, 이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치명적인 해를 끼치기 시작했다. 앞으로 이종장기 이식이 이루어질 때, 가장 우려할 만한 대목이다는 말씀이었습니다.


 그 외에도 많은 내용들이 강의에서 이루어졌습니다. 1,2차 강의에서는 물리학에 대한 강의가 주였고, 세 번째 강의는 생물학에 대한 강의였습니다. 사실 물리학은 좀 딴 나라이야기 같은 감이 있었는데 생물학 이야기는 조금 더 현실적 이야기여서 그런지 청중들의 반응이 뜨거웠습니다.


 네 번째 강의는 ‘불교의 생명의료윤리’입니다. 동국대 김종욱 교수님이 강의를 해주십니다. 생명복제를 불교적 관점에서 어떻게 보아야 할 것인가, 자살, 사형제도, 낙태, 뇌사 등 생명과 관련된 여러 현상들에 대하여 불교적 가르침은 무엇인가에 대한 내용이 주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