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들의 소임표 - 용상방 > 불광소식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스님들의 소임표 - 용상방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07.08.30 조회9,792회 댓글0건

본문

 

용상방 (龍象榜) : 불교 사찰에서 승려들의 지위와 역할을 알려주는 방(榜)

  한국 불교의 특징 중 하나는 아직도 안거(安居)의 전통이 잘 이어져 오고 있는 점이다.

  안거는 여름 안거와 겨울 안거가 있는데 안거 기간 동안 소임은‘대중공사’라는 회의를 통해서 정해진다. 소임이 결정되면 선원에는 스님들의 법명과 소임자의 명단을 적은 표가 붙는데 이를 용상방(龍象榜)이라고 합니다.

  용상이란 수행자를 물에서 으뜸인 용(龍, 고참古參)과 뭍에서 으뜸인 코끼리(象, 신참新參)에 비유한 것입니다. 원래 용상방이란 절에서 불사가 있을 때 각자의 맡은 일을 써서 붙이는 안내문의 역할을 했는데, 맡은 임무에 최선을 다하고자 하는 의미로 붙였습니다.

  절에서 큰 불사(佛事)를 치를 때나 일상사를 운영함에 있어 그 나름대로의 독특한 행정체계를 갖추고 있는데, 용상방은 이를 방으로 붙여 모든 대중에게 공고하는 역할을 한다. 용상방의 직책은 선종(禪宗)의 전래와 함께 우리나라에 들어왔는데 큰 법회 때나 선원(禪院), 강원(講院) 등에서 필요한 직책을 마련하여 적절한 인물로 배치한다. 현재 한국의 절에 설치되어 있는 직책의 수는 모두 80여 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안거 때 소임을 정하는 일은 부처님 당시부터 있던 전통이었고, 오늘 날 한국 선원의 소임은 중국에서 총림(叢林)제도가 생기면서부터라고 합니다. 총림은 선원뿐만 아니라 강원, 율원 등이 있기 때문에 소임이 매우 세분화 되어 있고 용어 자체가 일반인들에게는 낯설 수 있습니다.

 ‘승가’라는 말은 팔리어의 ‘상가’에서 나온 말로 ‘같은 목적을 가지고 함께 모인 집단’을 의미합니다. 공동의 목적을 위해 사람들이 모이다 보면 직책과 소임이 생기게 마련, 그렇다면 스님들에게는 어떤 직책과 소임이 있을까?


 1.방장( 方丈 ) : 선원, 강원, 율원을 모두 갖춘 총림의 조실스님

 2.조실( 祖室 ) : 선(禪)으로 일가(一家)를 이루어서 한 파의 정신적 지도자로 모셔진 스님,

                  원래 의미는 선사(祖師)의 내실(內室)

 3.선덕( 禪德 ) : 훌륭한 선의 수행자란 의미로 수행을 지도하는 어른 스님

 4.회주( 會主 ) : 법회를 주관하는 법사이며, 한 집단(모임, 일가)을 이끌어 가는 어른 스님

 5.법주( 法主 ) : 불법을 잘 알아서 어떤 불사나 회상의 높은 어른으로 추대된 스님

 6.수좌( 首座 ) : 선에 관한 지도를 맡은 스님, 요즘은 선원에 다니는 스님들을 지칭하는 일반 명사

 7.유나( 維那 ) : 사무를 총괄하는 스님, 총림에서 주지 격으로 여러 규율을 총괄하는 소임

 8.입승( 入繩, 立繩 ) : 선방 승려의 모든 일을 대표하는 스님, 큰 규모의 사찰인 총림에서는

                        열중(悅衆)이라고도 불리는데 선원의 대중을 통솔해 가는 실질적인 소임자

 9.청중(淸衆), 찰중( 察衆 ) : 대중의 불편을 해소하고 잘못을 찾아 시정하는 역할

10.증명( 證明 ) : 강원에서 자문을 구하기 위해 초빙된 고승

11.선현( 禪賢 ) : 법랍으로 보면 선덕이지만 소임을 보느라 그에 맞는 안거 수를 채우지 못한 스님

12.선감( 禪監 ) : 선원의 도감으로 절 살림을 총괄해서 운영해 가는 소임

13.강주( 講主 ) : 강원의 교육 전반을 관장하는 스님

14.중강( 仲講 ) : 강주를 보좌하는 스님

15.강사( 講師 ) : 강원에서 경론을 가르치는 스님, 강백(講伯)은 강사의 높임 말

16.도감( 都監 ) : 사찰에서 돈이나 곡식 같은 것을 맡아보는 스님

17.감원( 監院 ) : 사찰의 살림살이를 총괄하는 스님

18.산감 (山監 ) : 사찰 주위 산을 지키고 관리하는 스님

19.부전( 副殿 ) : 불전을 맡아 시봉하는 소임을 말하며,

                  예식, 불공 등의 법당에서의 의범을 집전하는 스님

20.지전( 知殿 ) : 전주(殿主)스님이라고도 함

                  선사(禪寺)에서 불전에 대한 청결, 향, 등 등의 일체를 맡은 스님

                  그리고 대웅전이나 다른 법당을 맡은 스님을 노전스님이라고 함

21.헌식( 獻食 ) : 사시예불을 마치고 나서 마지를 모아 아귀에게 주는 소임

22.주지( 住持 ) : 행정상의 대표로 사찰의 일을 주관하는 스님

23.총무( 總務 ) : 일반적인 사무를 관리하는 스님

24.교무( 敎務 ) : 교육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스님

25.재무( 財務 ) : 재정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는 스님

26.호법( 護法 ) : 법을 수호하고자 수행하는 스님

27.원주( 院主 ) : 사찰의 살림살이 전반을 맡은 스님

28.시자( 侍者 ) : 웃어른 스님들을 모시는 스님

29.다각( 茶角 ) : 대중이 마실 차를 준비하고 과일을 내는 역할하는 스님

30.지객( 知客 ) : 손님을 보살피고 안내하는 스님

31.간병( 看病 ) : 대중의 병을 돌보는 스님

32.병법( 秉法 ) : 법요의식을 집행하는 스님

33.종두( 鐘頭 ) : 종을 치는 스님

34.법고( 法鼓 ) : 북을 치는 스님

35.별좌( 別座 ) : 좌구, 침구, 음식을 마련하는 스님

36.화주( 化主 ) : 사찰에 사용할 비용을 마련하는 스님

37.탄두( 炭頭 ) : 숯과 땔나무 등을 준비하는 스님

38.부목( 負木 ) : 땔감을 마련하는 스님

39.공양주(供養主) : 밥을 짓는 스님

40.채두( 菜頭 ) : 반찬을 만드는 스님

41.갱두( 羹頭 ) : 국을 마련하는 스님

42.욕두( 浴頭 ) : 목욕물을 준비하고 관리하는 스님

43.수두( 水頭 ) : 마시거나 씻을 물을 준비하는 스님

44.명등( 明燈 ) : 절 안의 전등을 관리하는 소임으로 불을 켜고 끄는 스님

45.화대( 火臺 ) : 불을 때고 방 안의 온도를 알맞게 맞추는 스님

46.정통( 淨桶 ) : 화장실을 청소하는 스님

47.서기( 書記 ) : 문서나 우편물, 여러 잡다한 심부름을 도맡아 하는 스님

48.고두( 庫頭 ) : 절의 물건을 관리하는 스님, 울력시 물품 내오는 스님

49.마호( 磨糊 ) : 무명옷에 먹일 풀을 쑤는 스님

 

매 음력 14일, 그믐날 - 삭발・목욕일       매 음력 보름, 초하루 - 포살(布薩)계목 독송

결재 전날 - 용상방 짜는 날               해재 전날 - 자자회(自恣會)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