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항의방문 취소되었습니다. > 불광소식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조선일보 항의방문 취소되었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07.09.27 조회9,899회 댓글0건

본문

 28일 예정이던 불교계 차원의 조선일보 항의방문이 취소되었습니다. 불교 각종단과 조계종 차원의 대응이 있어왔고, 앞으로도 지속적인 감시체계를 구축하겠다고 합니다.

 추석연휴 기간동안 종단차원에서 별도의 대응이 있어왔고, 특히 10월 5일, 이번 사안과 관련한 조계종 교구본사 주지회의가 예정되어 있습니다.

 종단차원의 대응, 또한 교구본사 주지 회의를 통한 대응을 모색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종단차원에서는 대중들이 참여하는 집회는 추후 상황을 보아 판단하기로 하였으며, 이에 28일 예정된 규탄집회는 취소하였습니다.

 

 관심을 가져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주변분들에게도 많이 알려주세요

 

 <아래의 기사는 불교신문 홈페이지에 있는 관련기사입니다.>

 

 

 

조계종 “왜곡언론 강력대응 여론형성” 재강조

불교계 차원 공동실천방안 논의

 
최근 몇몇 언론의 소위 ‘신정아’ 사건 관련 보도과정에서 이 사건이 마치 불교계와 깊은 관련성이 있는 것처럼 추측보도하고 있는데 대해 조계종이 지난 22일 오후, 두 번째 논평문을 통해 “무책임 언론보도는 해당 언론사와 해당기자를 대상으로 법적인 책임을 물을 것”이라며 재차 강경입장을 천명했다.
 
조계종은 “대선정국에서 특정세력이 정략적인 의도를 가지고 이용하려는 저의가 있지 않나 의심하고 있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며 “언론이 해도 너무한다라는 강한 불만이 각 종단으로 폭주하는 가운데 불교계 전체 차원에서 강력히 대응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됐다”면서 “향후 조계종은 추석 직후 전국교구본사 주지회의를 소집하여 대응책을 논의할 예정이며, 불교계 전체차원의 공동실천 방안도 논의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조계종은 9월21일자 조선일보의 ‘월정사 3년간 국고지원액, 전국 사찰 중 최다’라는 추측성 왜곡보도를 비롯해 한나라당 박찬숙 정종복 의원의 무책임 발언 해명과 서울, 경향, 한국, 조선, 동아, 중앙일보 등의 왜곡보도에 대해 해명과 대응내용을 설명하며 사과와 정정보도를 강한 어조로 요구했다.
 
조계종은 특히 “불교 관련 기사를 보도하는 언론사 중 국민일보, 노컷뉴스, 세계일보, 헤럴드경제는 기사에 대한 반론 해명을 한 뒤에도 뒤늦게 관련기사를 악의적으로 보도하는 등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면서 “종단은 해명정정 보도를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확인 없이 뒤늦게 똑같은 보도를 하는 언론사 및 담당기자에 대해 명예훼손 등 법적 대응을 하기로 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조계종은 “노컷뉴스를 비롯 이웃종교가 운영하는 매체를 감안할 때 이웃종교 관련기사에 더욱 신중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근거 없는 의혹 기사를 뒤늦게 보도하는 것에 대해 종교간 갈등 유발에 대한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
 
배재수 기자 dongin21@ibulgyo.com

 
 
※ 다음은 조계종이 발표한 2번째 논평문 전문.
 

 

정견正見 

브 리 핑 

<제2호> 

불교 종단대표자 긴급회의 성명 발표

음해성 수사-보도 중단 촉구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  2007.  9.  22

총무원 기획실 02-2011-1733 / www.buddhism.or.kr

 


■ 불교 관련 언론보도 대한 해명 및 정보자료를 제공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불교관련 기사는 총무원 기획실 확인을 통해 오보 또는 과장된 기사가 나가지 않도록 해주시기 바라며, 책임있는 보도를 요청드립니다.

최근 언론은 소위 ‘신정아’ 사건과 관련하여 사실이 아닌 사항을 아무런 확인조차 하지 않은 채 무차별 의혹보도를 하고 있습니다. 특히, 위 사건과 관련해 조계종단과 산하 사찰이 마치 부정이 있는 것처럼 근거 없는 추측보도를 하고 있어, 종단과 사찰의 명예를 심각히 훼손하고 있습니다. 우리 종단은 이러한 왜곡보도가 대선정국에서 특정세력이 정략적인 의도를 가지고 이용하려는 저의가 있지 않나 의심하고 있으며, 무책임한 언론보도에 대해 언론사와 해당기자를 대상으로 법적인 책임을 물을 것입니다.

불교 종단대표자 긴급회동, 음해성 수사.보도 중지하라

 


▶ 한국불교종단협의회(27개종단가입) 소속 종단 대표자들은 긴급회동을 통해 ‘불교를 음해의도가 있는 검찰의 수사와 언론의 무책임한 보도행태에 대해 강력히 대응하겠다’는 성명을 발표한바 있습니다. 이에 공중파를 비롯 대다수 언론에서 비중있게 다루어졌습니다.
 
▶ 언론이 해도 너무한다라는 강한 불만이 각 종단으로 폭주하는 가운데 불교계 전체 차원에서 강력히 대응해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됐다고 할 수 있습니다. 향후 조계종은 추석 직후 전국교구본사 주지회의를 소집하여 대응책을 논의할 예정이며, 불교계 전체차원의 공동실천 방안도 논의할 계획입니다.

월정사 3년간 국고지원액, 전국 사찰중 최다

<9.21 조선 1면 톱>


2005년 동국대 이사장이였던 현해스님이 회주로 있는 강원도 월정사가 2005년 신정아(35)씨가 교수로 임용됐던 해인 2005년부터 3년간 집중적으로 국고지원을 받았다고 한나라당 박찬숙의원의 자료를 근거로 보도함.

▶  9.21 월정사는 곧바로 반박 보도자료를 통해 ‘변양균-신정아와의 어떠한 근거도 제시하지 않은채 정상적인 국고지원을 매도하고 있다’고 말하고 ‘대선정국을 앞두고 어떤 목적이나 의도에 끼워 맞추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월정사, 현해스님, 주지스님에게 정식 사과 및 정정보도를 요구’하였습니다.
 
문화관광부도 언론보도 해명자료를 통해 ‘월정사는 총 24점의 지정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조선왕조실록 사고지로서 비지정 문화재까지 다수를 보유하고 있는 유서깊은 사찰’이라며, ‘문화재 및 주변경관 보호와 문화재 관리시설 보수를 위한 예산으로 문화재보호법에 의거 적법하게 지원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월정사는 조선일보에 대한 공식사과 및 정정보도를 요구한데 이어, 민형사상 고발을 포함한 법적대응을 의뢰하였습니다.

※ 별첨 : 월정사 국고지원 관련 문화관광부 국정브리핑 자료


조계종 기획실, 한나라당 박찬숙 의원실에

사과 및 정정 요청


9월 21일 조선일보는 『월정사에 신씨 교수임용때부터 국고47억 지원 문화재청 3년간 집중… 한나라당 “또다른 대통령 최측근 개입”』이라며 문화관광부와 문화재청이 한나라당 박찬숙 의원에게 제출한‘2003~ 2007 전통사찰 및 문화재 보수정비 국고 지원내역’을 인용하여 월정사가 최근 3년간 문화재청으로부터 정상적으로 47억여원의 국고를 지원 받은 일이 마치 신정아씨의 2005년 동국대 조교수로 임용과 연관된 것처럼 보도하였습니다.

▶ 이에 종단에서는 “문화재보존과 전통사찰보호활동에 앞장서야 할 국회 문화관광 위원이 기자들에게 의도적으로 자료를 제공하여 특정목적을 가진 신문사가 자신들의 목적을 이용하게 하는데 일조하지 않았는가?”항의하고 의원실 해명 브리핑을 요구하였습니다.

이에 박찬숙 의원실 실무자는 ‘이런 자료를 근거로 기사화 될 줄은 몰랐다, 당황스럽다, 사과드린다며 재발방지에 앞장설 것을 확인하며 해명브리핑 여부는 내부검토를 하겠다’고 답변하였습니다.

조계종 기획실, 한나라당 정종복 의원실 해명요청


9월21일 서울신문 보도 “템플스테이 예산은 2004년 처음으로 3억원이 지원된 이래 4년 새 무려 50배나 늘어난 셈이다. 템플스테이를 담당했던 문화관광부는 올해 템플스테이 예산을 지난해보다 10억원 삭감한 25억원을 기획처에 요청했으나 150억원으로 확정됐다.”

▶ 이 기사는 지난 2006년 11월 20일 한나라당 정종복의원이 지난 제262회 문광위(2006년 11월 20일) 발언한 내용인 『특히 이 부분 예산이 2006년도는 35억이었는데 올해는 문광부에서 25억을 기획예산처에 요구했더니 기획예산처에서는 오히려 7배나 많은 150억을 일방적으로 내려보냈습니다』 라는 발언에 기초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어 정종복 의원에게 강력히 항의, 해명을 요구하였습니다.
 
이에 정종복 의원실은 ‘이 발언은 회의에서 정정 수정되었던 내용인데, 문제 발언만 발췌하여 잘못 인용하였다’고 해명하였습니다.

※별첨 : 템플스테이 관련 문화관광부 국정브리핑 자료

“이명박, 신정아 사건 불교계 전체 매도 안돼”

‘사찰지원 합법적, 불교계 조심해 다뤄야‘

 

<서울, 경향, 한국, 조선, 동아, 중앙, 등>

 
▶ 21일(금) 이명박 한나라당 후보는 인터넷 언론간담회 자리에서 ‘신정아 사건, 불교계 부정으로 왜곡말라’며 ‘불교계 수사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는 최근 ‘대통령은 하나님이 결정한다’라는 또 한번의 종교 갈등을 유발하는 발언에 이어 검찰 수사와 언론보도가 특정 정치세력과 연계되어 진행된다는 항간의 소식에 선을 긋기 위한 것으로 보입니다.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까지 ‘종교계 수사에는 신중할 것을 당부한다’고 말했으며, 이는 최근 악의적인 기사가 한나라당 정종복-박찬숙 의원 자료를 근거로 나오고 있는 데서도 원인이 있습니다.

▶ 저희 종단은 검찰과 언론의 악의적인 수사와 보도에 정치권까지 의도적으로 일조하고 있다면 이에 대해 강력히 대응할 것임을 밝혀두는 바입니다.

국민일보, 세계일보, 헤럴드경제 기사에 대한 법적 대응 검토


▶ 불교 관련 기사를 보도하는 언론사 중 특히 국민일보, 노컷뉴스, 세계일보, 헤럴드경제는 기사에 대한 반론 해명을 한 뒤에도 뒤늦게 관련기사를 악의적으로 보도하는 등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습니다.
 
세계일보는 ‘월정사-템플스테이 불똥’, ‘신씨 임용 뒤 월정사 국고지원’ 이라는 기사를 21일 저녁 기사를 보도하였습니다. 해당 기사가 하루 또는 이틀이 경과하였고, 월정사 및 문화관광부가 언론보도 해명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의혹을 전제로 한 기사를 내보냈습니다. 특히 템플스테이 관련해서는 템플사업단에서 서울신문 항의방문 등 해당기사를 인터넷에서 삭제했음에도 불구하고 보도한 것은 어이없는 일이 아닐수 없습니다.

▶ 국민일보, 헤럴드경제 또한 세계일보와 비슷합니다. 노컷뉴스를 비롯 이웃종교가 운영하는 매체를 감안할 때 이웃종교 관련기사에 더욱 신중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근거없는 의혹 기사를 뒤늦게 보도하는 것에 대해 종교간 갈등 유발에 대한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종단은 해명정정 보도를 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확인 없이 뒤늦게 똑같은 보도를 하는 언론사 및 담당기자에 대해 명예훼손 등 법적 대응을 하기로 하였습니다.

※별첨 : 1. 월정사 국고지원 관련 문화관광부 국정브리핑 자료
           2. 템플스테이 관련 문화관광부 국정브리핑 자료

‘월정사에 문화재보수비 집중지원’ 사실과 달라
 
문화재청은 문화재를 원형보존하여 후손에게 온전히 물려줌과 아울러 문화재활용을 통해 국민의 문화향수권을 신장하는 일을 주된 임무로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매년 전국의 훼손된 문화재중 보수·정비·복원이 시급한 문화재에 대해 예산을 지원하고 있으며 이중 국가지정문화재의 39%를 차지하고 있는 불교 문화재의 보수·복원 정비를 위해 다음과 같이 예산을 지원한 바 있습니다.
 
<최근 3년간 문화재보수정비 예산 지원 현황>

연도별
전체 문화재정비예산(A)
불교문화재 지원예산(B)
(B/A)
건수
국비
지방비
건수
국비
지방비
%
2005
475
156,625
78,432
235,057
221
28,706
13,564
42,270
18
2006
526
171,868
84,070
255,938
204
30,868
14,271
45,139
17
2007
587
163,886
84,985
248,871
166
32,157
16,035
48,192
19
(단위 : 백만원)

위 도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국에 소재하고 있는 문화재보유 사찰 중 문화재보수정비가 시급한 사찰에 대해 불교문화재 보수정비 예산(국비·지방비 포함)을 05년 221건의 427.7억원, 06년 204건의 451.4억원, 07년 166건의 481.9억원을 지원하였으며 특정사찰에 집중 지원한 것은 아닙니다.
특히 조선일보 보도내용 중 ‘월정사에 신씨 교수임용과 관련하여 문화재보수비 집중지원’ 보도는 사실과 다르며 월정사 보유문화재 보수정비 예산 지원 현황과 경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최근 3년간 예산지원현황
(단위 : 천원)

연도별
사업내용
예 산
국비
지방비
2005
서별당보수
350,000
150,000
500,000
대법륜전 단청
280,000
120,000
400,000
2006
서별당 복원
700,000
300,000
1,000,000
홍예교 설계
200,000
85,714
285,714
2007
홍예교 건립
490,000
490,000
700,000
조사전 개축
210,000
210,000
420,000
석조보살좌상 복제
105,000
45,000
150,000
성보박물관 증축
500,000
500,000
1,000,000
2,835,000
1,900,714
4,735,714


□ 지원 사유
 
ㅇ 05 서별당 보수 : 문화재 인근(약10m) 서별당 노후로 건물 보수비 지원(지붕누수로 연목, 도리 부식, 기와동파, 단청퇴락)
대법륜전 단청 : 건물 단청이 퇴락하여 건물보수비 지원
ㅇ 06 서별당 복원 : 1930년 과거 사진기록에 의한 문화재 인근(약10m) 서별당 건물의 멸실된 부분을 원형복원
홍예교 설계 : 사찰 주 진입로의 동선이 길어 관람객의 편의를 도모하고 전통가람에 맞추기 위한 설계비 지원
ㅇ 07 홍예교 건립 : 06년에 이어 홍예교 건립 계속사업으로 지원
조사전 개축 : 조사전이 노후하고 건물의 양식이 맞지 않고 공간이 적어 영정의 보관이 어려워 개축비 지원
 
성보박물관 증축 : 일본에서 환수하여 온 조선왕조실록을 규장각에 보관키로 함에 따라 그 복제품을 제작·수장하기 위한 공간 등 비좁은 수장고를 확충하기 위함.
 
석조보살좌상 복제 :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는 좌상을 원래 위치인 탑 앞에 설치, 전시하기 위함.
월정사는 국보 2점, 보물 3점 등 총 24점의 지정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조선왕조실록의 사고지로서 지정문화재 뿐만 아니라 비지정 문화재를 다수 보유하고 있는 유서 깊은 사찰입니다.
 
이에 따라 지난 3년간(‘05 - ’07) 지원한 예산은 문화재 및 그 주변경관 보호와 문화재 관리시설 보수·확충을 위한 예산으로서 문화재보호법에 의거 적법하게 지원한 것입니다.
 
참고로 불교문화재 다수 보유 사찰에 대하여 05~07년간 낙산사 약 57억원, 불국사 약 34억원, 해인사 35억원 등 문화재보수정비 예산이 지원되었으며, 이외에도 경주 황남리고분군 175억원, 전라병영성지 51억원의 예산이 지원된 바 있습니다.

기본적인 사실 확인도 없이 ‘예산급증’ 이라니

문화관광부는 2007년 9월 21일 서울신문과 경향신문이 보도한 템플스테이 관련 예산 증액 기사와 관련하여 2004년도 템플스테이 예산은 3억원이 아닌 18억원이었으며 올해 예산처에 요구한 예산은 25억원이 아닌 165억원임을 밝힙니다.

[경향, 서울신문 보도]
템플스테이 예산은 2004년 처음으로 3억원이 지원된 이래 4년 새 무려 50배나 늘어난 셈이다. 템플스테이를 담당했던 문화관광부는 올해 템플스테이 예산을 지난해보다 10억원 삭감한 25억원을 기획처에 요청했으나 150억원으로 확정됐다.

[문화관광부 입장]
문화관광부는 2004년에 템플스테이 예산으로 총 18억원을 지원했습니다. 따라서 예산이 2004년 3억원에서 4년 새 50배나 증액되었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릅니다.
또 문화부는 올해 템플스테이 예산으로 총 165억원을 기획예산처에 요구했습니다. 따라서 25억 원을 기획예산처에 요청했다가 150억원으로 증액되었다는 보도 역시 사실이 아닙니다.

2004년도 템플스테이 지원예산은 18억 원

문화관광부는 2004년 템플스테이 예산으로 총 18억원(국고 3억, 기금 15억 원), 2005년 25억원(10억 국고, 15억 기금), 2006년 35억원(기금)을 지원한 바 있습니다. 2004년 예산이 3억원이고 4년 새 50배나 증액되었다는 보도는 2004년 예산을 정확하게 파악하지 않은 데서 비롯된 것입니다.
 
2002년 템플스테이 시범실시 이후, 국내외 참가자들의 반응이 매우 긍정적이고 참가자들도 매년 큰 폭으로 늘어남에 따라 한국불교문화사업단은 2005년 8월 ‘템플스테이 활성화를 위한 수용태세 개선전략 연구용역’을 실시했습니다.
 
사업단은 연구용역보고서와 참가자들의 설문조사 등을 바탕으로 한국 전통불교문화 세계화사업 3개년 계획(안)을 수립하여 문화부에 예산반영을 요청했습니다. 이에 문화부는 3개년 600억원 규모의 계획안을 기획예산처와의 예산협의와 국회 심의의결과정을 거쳐 2007년 1차년도 사업예산으로 150억원을 반영했습니다.

2007년 문화부 요청 템플스테이 예산 165억원

문화관광부는 지난해 템플스테이 예산으로 일반예산 140억원, 기금예산 25억원 등 총 165억원을 기획예산처에 요구했으며 예산처와 국회심의과정을 거쳐 최종 예산은 150억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따라서 문화부가 25억원을 요청했으나 예산처가 150억원으로 증액했다는 보도는 사실이 아닙니다. 매년 템플스테이 참가자들이 늘어나고 참여 사찰의 수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문화부가 예산을 전년도보다 10억원을 줄여 요구했다는 것은 상식적으로도 있을 수 없는 일입니다.

템플스테이 사업은 2002 월드컵 당시, 당면한 숙박난을 해소하고 우리나라를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우리 문화체험기회를 제공해 한국전통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기 위해 시범사업으로 시작한 사업입니다. 이후 국내외 참여자들의 반응이 좋고 우리나라를 알리는 대표 문화관광상품의 하나로 자리매김하면서 템플스테이 사업을 위한 시설부족과 운영체계 개선필요성이 제기돼 지난 2004년 조계종 내 ‘한국불교문화사업단(단장 현고 스님)’을 설립하고 이때부터 템플스테이 예산이 지원되었습니다.

문화관광부는 정당한 예산 편성절차에 따라 템플스테이 예산을 편성해왔습니다. 그러나 사실과 다른 보도로 인해 우리의 전통불교문화를 세계화해 우리나라 대표 문화관광체험상품으로 만들고자 노력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문화관광부는 앞으로도 템플스테이 사업이 우리 전통문화를 대표하는 한류 문화관광 상품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투명성과 효율성 확보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2007-09-23 오전 8:51:05 / 송고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