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일보- 佛子 노후 걱정, 불광사가 책임져드리겠습니다 > 불광소식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조선일보- 佛子 노후 걱정, 불광사가 책임져드리겠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14.09.27 조회33,624회 댓글0건

본문

[창립 40년, 불광 2.0시대 여는 지홍스님]
"이 시대 불교 존재 이유는 무엇?"… 불교+고령화사회 복지시스템 고민

 
"광덕 스님은 독특했습니다. 범어사에 계시던 어느 날 우리 젊은 사람들 보고 불교도 이제 신학문을 알아야 한다며 경제학이며 법학을 함께 공부하자고 하셨지요. 그래서 역시 대학 다니다 온 분은 다르구나 싶었죠."

이 시대 대표적 학승(學僧)으로 꼽히는 무비(無比·71) 스님은 광덕 스님을 이렇게 회고한 바 있다. 광덕(光德·1927~1999) 스님은 그렇게 산중(山中)의 옛날 불교를 현대화시켜 도심으로 끌어오려고 애썼다. 1974년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불교 종합교양 월간지 불광(佛光)을 창간하고, 이듬해 신행(信行) 모임인 불광법회를 만든 후에야 서울 송파 석촌호숫가 주택가에 불광사를 창건(1982년)했다. 1986년엔 유치원도 열었다. 불교가 현대 도시인들에게 어떻게 다가서야 할지, 고민 끝에 나온 산물이었다. 광덕 스님의 생전 업적을 불광 1.0으로 삼는다면, 이제 그의 상좌(제자) 지홍(至弘·60) 스님(불광사 회주)은 불광 2.0 시대를 준비한다.

 

서울 송파 불광사 회주 지홍 스님(앞줄 가운데)과 신자들이 손으로 하트 모양을 지으며 웃고 있다. 과거 웃는 게 어색했던 지홍 스님은 올 초 간 이식 수술 이후 미소가 자연스러워졌다
 
서울 송파 불광사 회주 지홍 스님(앞줄 가운데)과 신자들이 손으로 하트 모양을 지으며 웃고 있다. 과거 웃는 게 어색했던 지홍 스님은 올 초 간 이식 수술 이후 미소가 자연스러워졌다. /불광출판사 제공
 
첫걸음은 지난해 준공한 새 불광사 건물이다. 중창불사(重創佛事)에 대해 좋지 않은 선입견은 이 경우 잊어도 좋다. 콘크리트 4층 건물 옥상에 옥탑방처럼 대웅전이 올라앉아 있는 독특한 외양이다. 대웅전은 전통 목조 양식으로 지었다. 한계령휴게소, 올림픽체조경기장, 서울월드컵경기장을 설계한 류춘수씨가 디자인을 맡았다.

새 터전을 바탕으로 불광사는 승가공동체와 신행공동체의 현대적 복지를 실천한다는 계획이다. "스님들은 노년의 건강과 생활을 걱정하느라 주지(住持)만 되면 딴 주머니를 찬다. 종단 차원에서 할 일이지만 우선 불광사부터 건강과 노후 걱정 없이 교육, 수행, 전법(傳法) 등 각자 전문 분야에서 최선을 다할 수 있도록 보장하겠다." 지홍 스님의 다짐이다.

 

서울 송파 석촌호숫가 4층 건물 위에 ‘옥탑방’처럼 올라앉은 불광사 대웅전 사진
 
서울 송파 석촌호숫가 4층 건물 위에 ‘옥탑방’처럼 올라앉은 불광사 대웅전. /불광출판사 제공
 
신행공동체를 향한 계획은 더 당차다. 종무원과 신도들의 건강과 노후도 일정 부분 책임지겠다는 것. "절에서 일하거나 신행 활동하다가 늙어 혼자 돼 외롭고 힘들지 않도록 복지시설을 만들어 모시겠다"는 구상이다. 신도나 가족이 별세할 때 늘 대기하던 팀이 달려가 장례 절차와 천도재까지 일괄적으로 맡아주는 기존 시스템도 확대·강화할 계획이다. 고령자들이 부러워하는 천주교의 연령회(煉靈會) 같은 시스템이다.

지홍 스님은 평소 간(肝)이 좋지 않았다. 집안 내력이다. 간염에서 시작돼 간경화를 거쳐 암(癌) 초기까지 갔음에도 작년 불사를 마치고 올 초 이식수술을 받았다. 생사(生死)의 경계를 오갔다. "숨 안 쉬고 죽을까도 생각"했을 만큼 극심한 고통을 겪었다. 그 고통을 넘으며 그는 "이 시대, 서울 송파에서 불광사는 왜, 불교는 왜, 나는 왜 있어야 하나를 스스로 물었다"고 했다. 답은 보살행(菩薩行)이다. 그는 "과거엔 내 편의와 이익을 먼저 생각했다. 이젠 그런 걸 싹 다 잊었다. 내 모든 것을 공적(公的)으로 투여해야겠다는 생각"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 고민의 동심원을 불광사와 송파를 넘어 넓힐 생각에 골몰한 표정이었다. 그는 23일 간담회에서 "싹 잊었다" "싹 버렸다"는 말을 자주 했다. 불광 40년을 맞고 투병 과정을 거치며 그렇게 변화된 것 같다고 했다. 실제로 과거 찬바람 쌩쌩 불던 그의 표정엔 훈풍이 그득했다.

불광사는 27일엔 학술세미나를 열고 10월 12일엔 창립기념법회, 19일엔 국립극장에서 보현행원송 공연을 갖고 사진으로 보는 불광 40년 책자도 발간한다. (02)413-6060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