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2558년 10월 셋째주 일요법회 봉행
페이지 정보
작성자 불광사 작성일2014.10.21 조회33,757회 댓글0건본문
天高馬肥의 계절, 하늘은 맑고 높으며, 논밭의 먹걸이가 영글어가는 좋은 계절 가을이 시작되었습니다. 불광사 건너 공원도 여름내 푸르렀던 녹음을 내려놓고 붉게, 노랗케 단풍이 물들며 아름다움을 시민들에게 선물하고 있습니다. 어제 저녁(셋째주 토요일)에는 구도철야정진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오늘 저녁 7시에는 “불광창립 40주년 기념 보현행원송 대공연”이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펼쳐집니다. 불광의 자랑 마하보디합창단등 220여명 합창과 1,600여명의 불광식구가 함께하는 큰 행사입니다. 보현행원송에는 모든 중생을 부처님처럼 섬기며 열반으로 인도하겠다는 불광운동을 일으킨 광덕 큰스님의 “보리행원으로 보리이루리” 실천 이념이 스며 있습니다. 천수경을 시작으로 불기 2558년 10월 셋째주(10월 19일)일요법회가 봉행되었습니다.
◆ 오늘의 법문 ◆
뉴스에서는 설악산에 단풍이 절정이라 다들 단풍놀이가는데 이렇케 휴일에 부처님전에서 함께 한 불광형제 여러분 고맙습니다. 불광사 先德 혜담스님이 법문을 주셨습니다. 불교를 바로 알고 正法에 맞게 믿어야 되는데 요즘 불교방송을 보면 일부 삿되게 믿는 사람이 있다, 정법이 무엇인가. 어떤 것이 부처님의 참된 가르침인가
첫째 모든 사람의 본성이 불성인 것을 믿어야 한다.
- 부처님 성품은 불생불멸, 불구부정, 부증불감, 원만구족하다.
둘째 본성자리라는 것은 일체공덕에 상이 없는 지혜의 빛이다.
- 부처님의 공덕생명이 온우주, 온생명에 가득차 있음을 믿고, 감사 해야한다.
셋째 모든 부처님의 공덕생명을 모든 생명이 갖고 있다는 것을 믿어야 한다.
- 모든 것이 동일생명임을 알고, 보고, 받아들여서 우리생활에 반영해야 한다.
◆ 반야바라밀은 큰 일〔大事〕을 위해서 발생한다 ◆
우리들이 정법(正法)에서 알아 두어야 할 것은 첫째 지금 만인의 본성이 불성이며, 불성은 형상이 없다는 것이고, 두 번째는 일체의 지혜 일체의 공덕이 밖에서 오는 것이 아니고, 일체가 자성공덕이고 일체가 형상이 없는 본무상(本無相) 가운데서 나타나는 빛이며, 세 번째는 오직 본성 불성 진리만 있고 그 밖에는 없는 것이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모든 사람들이 뿌리에 들어가면 그 진리 본성뿐이요 대립된 자가 없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모두는 공동체고 동일자며 동일 법성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이 동일법성을 우리들이 볼 수 있을까? 『대품반야경』〈문상품 제49〉에는 부처님께서 수보리에게 하신 다음과 같은 말씀이 있다.
“수보리야, 이 반야바라밀은 큰일〔大事〕을 위하는 연고로 발생한다. 수보리야, 무엇이 이 반야바라밀이 큰일을 위하는 연고로 발생함인가? 수보리야, 모든 부처님의 큰일이란 이른바 일체중생들을 구제하여 일체중생들을 버리지 않는 것이다.” 무엇이 일체중생들을 구제하여 버리지 않는 것인가? 여기 대승불전 특히 반야경을 통 털어 가장 아름다운 문장으로 묘사된『대품반야경』〈부증품 제60〉에 보이는 다음의 법문이 그 대답을 주고 있다. “수보리야, 가령 건장하고 용맹스런 한 장부가 있었다고 하자. 그는 온갖 병법(兵法)을 다 갖추었고, 모든 기술을 연마했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공경과 존중과 찬탄을 받았다. 이 사람 또한 공경하고 존중할 이를 보면 환희심으로 그들을 공경하고 존중했다. 이 장부가 어떤 인연으로 노약한 가족을 데리고 다른 지방으로 가게 되었다. 갖가지 위험과 공포가 있는 곳을 지나가면서 부모를 위안하고 처자를 돌보면서 ‘두려워하지 마라, 내가 무사히 이곳을 지나 반드시 고통이 없는 곳에 도달할 것이니’하고 말했다. 험난한 도중에 도적들이 잠복하여 위험을 더했지만 그는 지력을 갖추었기에, 기쁘고 편안한 마음으로 그 악도를 지났으며 목적지에 다다를 때까지 도적들의 해를 만나지 않았다. 수보리야, 보살마하살도 이와 같이 일체중생을 대함에 즐거움을 주는 마음(慈). 가엾이 여기는 마음(悲). 함께 기뻐하는 마음(喜). 온갖 집착을 버리는 마음(捨)을 원만히 갖추어야 한다. 이렇게 보살마하살은 네가지 한량없는 이타(利他)의 마음〔四無量心〕에 머물러야 한다.”
어느 대승경전을 보아도 이처럼 아름다운 표현과 훌륭한 내용을 가진 부분을 발견하기는 쉽지 않다. 천천히 이 문장을 음미해보면 제가 이렇게 이 문장을 찬탄하는 이유를 알 것이다. 장부에 비유되는 보살은 사무량심이라는 무기와 기술로 부모와 자식, 가족에 비유되는 중생을 목적지인 열반에 이르게 한다. 그 중간에는 온갖 고난과 역경과 시련이 기다리고 있지만, 장부는 자진하여 그것과 마주하고 그 모두를 이긴다, 장부의 이러한 행동이 어디에서 나오는가? 불성생명에서 모두가 동일자고 동일 법성이기 때문이다.
◆ 금주의 다짐
우리 앞에 나타난 복잡한 문제들은 모두가 자기 마음의 그림자다. 마음을 바꾸면 문제가 변화하고 마음에서 해결하면 문제도 필경 해결된다. 무엇보다 먼저 모두와 화합하자. 미움과 원망, 일체 대립을 버리고 감사하자. 화합 감사한 마음으로 기도할 때 부처님의 지혜의 문은 열린다.
◆ 법회소식
오늘 주요일정 및 공지사항
·보현행자의 서원 제 10 수순분 법회요전 174페이지
·생태길라잡이 오후 1시~3시 교육원 전륜당(2층) 석촌호수 일대
·보현행원송 대공연 안내 오늘 저녁 7시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공연이 펼쳐집니다. 공연에 오시는 분들은 오후 6시 30분까지 극장에 도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입장은 입장권 소지자에 한해 가능합니다.
10월 24일(금, 음9/1) 초하루법회 오전 10시30분 보광당(B4) 법문 주지스님
10월 25일(토) 학업성취 3000배 용맹정진 오후1시~밤 111시 보광당(지하 4층)
제3회 불광계단 보살계 수계산림 대법회 ·대법회 : 11월9일(일) 보광당(B4) ·전계 대화상 : 흥교스님(범어사 전계사) ·동참비 : 5만원(계첩 증정) ·문의 : 종무소(☏ 413-6060) ※ 접수시 108염주, 혜남스님의 범망경 보살계 이야기 책을 드립니다. |
불광 창립40주년 기념‘김석종 초대전’사진 전시회
·일시 : 10월 25일(토) ~ 11월 5일(수) 장소 : 불광사 경내
학업성취 100일 기도 ·학업성취 100일 기도 회향 11월12일(수) 오전 10시30분 보광당 ·대입수학능력시험 발원기도 11월13일(목) 시험시간에 맞춰 진행됩니다. |
연화당(영가위패) 조성불사 동참안내 ·접수 : 종무소(☏ 413-6060) 연화당 조성은 서방정토 극락세계를 관장하시는 아미타불을 주불로 봉안하고 후불 탱화 및 시왕탱화를 장엄할 예정입니다. 연화당 불사에 여러분들의 수희 동참을 발원합니다. 동참항목 및 동참(1구좌당)
|
불광사 만불 봉안 안내 【만불봉안】108만원 ·석가모니佛 ·아미타佛·비로자나佛 ·노사나佛 ·연등佛 ·미륵佛 ·약사佛 ·문수보살 ·보현보살 ·관세음보살 ·지장보살 ·문의 : 종무소(☏ 413-6060) |
불광교육원 강좌 안내 - 접수 : 불광교육원(☏ 417-2551) 1. 불교기본교육(3개월) ·개강 : 평일반 10월 20일(월) /토요반 10월 18일(토) ·시간 : 오전반10시, 저녁반7시30분 / 토요반3시 ·동참금: 5만원 2. 중관사상(8주) ·개강 : 10월30일(목) ·강사: 배경아(인도고전철학연구소 상임연구원) ·시간 : 오전반 10시, 저녁반 7시 30분 ·동참금: 8만원 ※ 교육 개강일은 혼잡하오니 강좌접수를 미리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2015년도 달력 주문받습니다.
. 구법회별로 법회 사무국으로 신청하여 주십시오(헌공금 접수 바랍니다)
광덕 큰스님 육성법문 공부 모임 - 문의 : 법회사무국(☏ 413-0309)
. 모임 : 매주 수요일 저녁 7시 . 장소 : 불광교육원 5층
불광사 법당보살(재담당), 반야원 직원모집 -문의 : 종무소(☏ 413-6060)
. 기간 : 채용시까지 .인원 : 2명 제출서류 : 이력서
바라밀 문화기행 안내 - 접수 및 문의 : 반야원(☏ 419-3344)
. 답사지 : 실상사지역(실상사, 황산대첩비, 벽송사, 서암, 구형왕릉)
. 답사일 : 10월 23일(목) 불광사 오전 7시 동참금 : 45,000원
요양센터 어르신의 휠체어 구입을 위한 송파소리 걷기 대회 안내
. 주관 : 구립송파노인요양센터 . 후원 : 불광사
.산보하는 날 : 10월 25일(토) 오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