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기 2559년 1월 넷째주(1/25) 일요법회 > 불광소식

함께하는 불광지혜를 닦고 자비를 실천하는 신행공동체 불광


불기 2559년 1월 넷째주(1/25) 일요법회


페이지 정보

작성자 손경자 작성일2015.01.26 조회34,604회 댓글0건

본문


금주의 법어--불광문화 만들기

금주의 법사--주지 본공 스님


겨울답지 않은 포근한 날씨에 "내 생명 부처님 무량공덕 생명"에 이끌려 오늘도 불광 불자님은 멀리서 혹은 가까이서 불광법회에 모입니다. 제2의 불광운동을 시작하는 새로운 해를 맞이하여 불광법회가 40년 전처럼 뜨거운 열정과 환희심 가득한 법회가 되기를 기원해봅니다.


<보형행자의 서원>--오늘은 주세분을 함께 독송합니다.

~~~선지식께서는 우리를 가르치시며, 우리와 함게 일하시며, 우리를 보호하여 주십니다. 우리의 선지식께서는 불조의 정지견을 갖추셨으며, 마음에 상이 없으시고, 항상 청정범행을 찬탄하시옵니다. 설사 저희들이 친근코자 하여도 교만하지 않으시고, 저희들이 멀리하여도 원한이 없으시오나, 저희들은 이 모든 선지식에게 목숨 다 바쳐 공양하고 섬기겠습니다. ~~~


temp_1422186261965.-1620380434.jpeg

오늘은 주지 본공 스님께서 먼저 마하반야바라밀을 대중과 함께 7번 염송하시면서 불광법회만이 가지는 독특한 불광문화에 대해 16개의 항목으로 나눠 자세히 설명하셨습니다.

<법문내용>

0. 무엇보다 먼저 일찌기 한글로 잘 번역해놓은 불광의 법회요전은 반드시 챙기도록 합시다. 매월 첫째주에 하는 포살요목도 잘 챙겨서 읽읍시다.


1. 마하반야의 노래--일요법회시에 1절만 부르니까 2, 3절은 없는 줄 아는데 오늘 처음으로 무대에 선 거사 합창단과 함께  2, 3절을 불러 봅시다. 광덕 법주 스님께서 작사하신 겁니다.

  2절) 태양은 나의 두 눈, 걸림없는 지혜의 눈. 가슴에는 대자대비 보살 원력 타오른다.

         사자왕의 창조위력 영겁으로 파도치니, 아~아~아~ 우리는 영광의 불광, 불광의 본신이라.

  3절) 온누리 모든 국토 불국 이룰 터전이며, 형제와 이웃들은 문수보현 화현이라.

         구세원력 함께 뭉쳐 불국토를 이룩하니, 아~아~아~ 우리는 영원한 불광, 불국의 역군이라.

  후렴) 마하반야 마하반야 마하반야 바라밀, 마하반야 마하반야 마하반야 바라밀


2. 예불--예불할 때 다른 절과 다른 부분이 있는데 삼계도사가 아닌 삼계 대사라고 합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은 다른 사람을 이끄는 분일 뿐 아니라 큰 스승이라는 뜻으로 대사라고 하셨습니다. 제 생각입니다만 지금 하는 예불은 불교계의 과거 어르신께 예경하는 것에만 치중한 감이 있는데 동남아는 예불을 통해서 희망과 꿈을 전달하는 쪽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우리도 예불을 하면서 오늘 하루도 희망을 갖고 열심히 살겠다고 하는 원력을 나타내면 좋겠습니다.


3. 보현행자의 서원--화엄경에 나오는 내용을 법주스님께서 알기 쉽게 풀어놓으신 건데 서분, 예경, 찬양, 공양, 참회, 수희, 청법, 주세, 수학, 수순, 회향으로 11개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불광 일요법회에서는 한 부분씩을 항상 독송하고 있지요. 저도 보현행자의 서원을 통해서 우울감을 극복했는데 서원을 읽으면서 이렇게 살겠다고 다짐하는 겁니다.


4. 한글 축원과 발원문의 마지막에 나무 마하반야바라밀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불광법회의 특징입니다. 진리에 이르신 불보살님께 귀의하는 것도 좋지만 진리 , 지혜 자체에 의지하겠다는 뜻으로 하신 겁니다.


5. 정근--마하반야바라밀 정근할 때 "나무 삼세불모 성취만법 무애위덕 마하반야바라밀~~"로 시작하는데 마하반야바라밀이 무엇이냐고 하면 불모, 부처님을 낳는 어머니, 진리를 말합니다. 진리이기 때문에 만법을 성취하고 장애 없이 위엄스런 덕을 갖추고 있으므로 여기에 의지하는 겁니다. 광덕스님께서 이렇게 조합을 하셔서 새롭게 만드신 겁니다.


 일요법회시에 정근할 때는 2분 정도 하기 때문에 절하지 않고, 당당히 서서, 부처님을 바라보며, 큰소리로 부처님과 교감하는 시간이 되도록 합니다. 다른 법회 때에는 참회하고 발원할 수 있을 만큼 오래 정근하므로 그때는 절하면서 정근해도 됩니다.


6. 바라밀 염송할 때 가정 법회에서는 합장하거나 대삼마야인을 하라고 했는데 대삼마야인은 선정인, 법계정인입니다. 참선할 때 하는 손모습을 하고 염송을 하면 됩니다.


7. 포살 법회--포살은 계율, 생활에서 지키는 덕목인데, 총림이나 본사처럼 큰 절에서 스님을 대상으로 하는 포살은

있어도 재가불자를 위해 매달 하는 포살은 불광법회가 처음입니다.


8. 호법 발원 법회--호국 사찰은 있어도 호법, 부처님 법을 지키겠다는 법회는 불광법회가 유일한데 이것을 전국으로 전파시켜야 불국토가 될 수 있습니다. 매월 각자가 정한 일정액을 헌공하는데 이 기금을 모아서 호법 활동을 위해 다양하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9. 구도 철아 정진법회--다른 절에서도 철야정진은 많은데 구도, 도를 구하겠다는 정진은 불광법회의 특징입니다. 한 달에 한 번만큼은 부처님을 바라보면서 도, 깨달음을 구하겠다는 정진, 수행을 하는 겁니다.


10. 계층법회--연꽃 어린이(유치원생부터 초등학생까지), 목련 중학생, 싣달 고등학생, 금강 청년 (20세~35세)법회로 이루어져서 토, 일요일에 매주 열리고 있습니다.


11. 전법 실천--불광법회를 전법도량이라고 하는데 전법은 포교와는 조금 다릅니다. 포교는 교세확장이라는 목적이 있지만 전법은 법을 전하는 겁니다. 다른 사람의 종교를 바꾸라고 강요하는 것이 아니라 부처님의 법을 전해주면 다른 종교에서도 부처님의 말씀을 인용하면서 자연스럽게 부처님 법을 전하게 되는 계기가 됩니다.


12. 구(區)법회 조직--불광법회만의 독특한 지역별 신도구성인데 법등모임이 모여서 구법회가 됩니다. 가정에서 갖는 법등모임에 스님을 초청하면 축원도 하고 법문과 상담도 합니다. 조계사에서 이 모임을 빌려가서 성공하고 있다고 합니다.


13. 재가자--불광법회에서는 재가자에게 목탁 잡고 집전하도록 허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일요법회시에는 재가자가 집전하고 재가자 위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스님은 법문과 발원문만 하고 있지요.


14. 연화부 활동--상가(喪家)가 생기면 스님도 가서 염불하지만 연화부가 있어서 재가자들이 팀을 이뤄서 활동하므로 상가에 가서 기도 봉사를 많이 합니다.


15. 공양문화--공양을 드실 때 불광의 공양게송은 누구나 외기 쉽고 간단합니다. 

    "대자대비 부처님, 크신 은혜 이 공양, 일체 중생 발보리, 마하반야바라밀"


16. 합창단--법당에 피아노가 들어오는데 30년이 걸렸습니다만 마하보디 합창단은 40년의 역사가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 처음 거사합창단이 노래를 부르지만 거사합창단도 창단되었고, 65세 이상의 실버합창단도 곧 연습에 들어가게 됩니다.


이와 같이 다른 사찰에서 모방하거나 따라하기 힘든 불광법회만의 문화가 있습니다. 불광법회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고 훌륭한 보현행자가 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temp_1422186211015.318495985.jpeg

거사합창단의 우렁찬 노래가 울려 퍼졌습니다. 1달밖에 연습하지 못했고 인원도 마하보디 합창단보다 적지만 노랫소리는 힘이 넘쳐서 보광당을 꽉 채우고도 남았습니다. 이제 매월 네째주 일요법회에는 거사 합창단의 힘이 넘치는 찬불가가 울려퍼지게 되어서 환희심을 더해 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계층법회를 위해 애쓰시는 철영 스님의 발원문 낭독이 있었습니다.


계층법회의 날, 바라밀 한마당 공연이 있었습니다. 귀엽고 깜찍한 연꽃 어린이 법회의 율동, 목련싣달 청소년법회의 힘차고 흥겨운 사물놀이, 금강 청년법회의 뒤늦은(?) 재롱잔치인 율동이 있었습니다.

temp_1422186172739.-1887910639.jpeg

temp_1422186121439.223076920.jpeg

temp_1422186044776.175417850.jpeg

temp_1422186084205.-94747393.jpeg


우리는 횃불이다. 스스로 타오르며 역사를 밝힌다.

<금주의 다짐>

저희들은 오늘부터 미움, 노여움, 슬픔, 질투, 불안 등 일체 어두운 것을 깨끗이 비워 다시는 일어나지 않게 하겠습니다. 마음을 불심에 일치하도록 하겠습니다. 바라옵건대 거룩한 의지와 덕성과 지혜가 저에게서 넘치게 하옵소서. 거룩한 공덕을 누리게 하옵소서. 나무 마하반야바라밀.

내 생명 부처님 무량공덕 생명, 용맹정진하여 바라밀 국토 성취한다.

                                         


--법회소식--

*1월 26일(월, 음 12/7) 성도전야 철야정진--오후 9시~익일 새벽 4시, 보광당

  1월 27일(화, 음 12/8) 성도광명일 법회--오전 10시 30분, 보광당, 법문: 회주스님

*입춘기도--입재:2월2일(월), 회향:2월4일(수), 동참금 3만원

*설날 합동차례--2월 19일(목, 음 1/1), 오전 10시, 보광당, 동참금:친외가 각 10만원(양가는 15만원)

  법주스님 차례: 2월 19일(목) 오전 9시, 대웅전

*2015년 불교기본 교육, 불교대학 신입생 모집

1. 불교기본교육(3개월)--개강:3월 9일(월), 3월 7일(토)

2. 불교대학(2년제)--개강:3월 3일(화)

불광아카데미 수행원 수강생 모집--불교경전, 간화선, 위빠사나, 수행, 사경반 등,  문의:불광교육원(417-2551)


***다음주(2/1)에는 회주스님의 법문이 있는 포살법회가 진행됩니다.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39길 35(석촌동 160–1번지)불광사 TEL. 02)413-6060FAX. 02)413-6781 링크트리. linktr.ee/bulkwangsa Copyright © 2023 BULKWANGSA. All rights reserved.